• 제목/요약/키워드: Dandelion leaf extrac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267초

민들레잎추출물의 흰쥐 체내 지질대사 개선 효과 (Effect of Dandelion Leaf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 조수열;박지윤;오연진;장주연;박은미;김명주;김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76-682
    • /
    • 2000
  • 흰쥐에세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첨가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식이와 민들레추출물을 분획별(열수추출물군,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 군, 에테르추출물군)로 나누어 급여하여 민들레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테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열수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증 가되었으며 식이효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과 간조직 \ulcornerㅇ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릴에스테르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 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에틸라세테이트추출물군의 간조직 중의 중성지질, 유리콜레스테롤 및 총콜레스테롤의 감소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혈청 인지질 농도는 민들레추출 물 급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간조직에서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되는 경향 이었다. 혈청 중 킬로미크론, VLDL-콜레스테롤 농도는 민들레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 소되었는데 열수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군의 감소정도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 면,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열수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동맥경화지수는 민들레추출물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 중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 열수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 었으며, ACAT 활성은 민들레추출물 급여군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 과 민들레추출물 특히, 열수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 급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 여한 흰쥐의 간조직 중 ACAT 활성을 감소시키므로써 혈청과 간조직의 총콜레스테롤과 유 리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콜레스테롤 흰쥐의 간조직 항산화효소계에 미치는 민들레잎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f Extracts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 조수열;오연진;박지윤;이미경;김명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58-463
    • /
    • 2003
  • 흰쥐에게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첨가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와 민들레잎 추출물을 분획별(열수추출물군,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군, 에테르추출물군)로 나누어 급여하여 민들레 잎이 체내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간조직 중의 cytochrome P-450 함량은 민들레 잎 분획별 추출물 급여에 의한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XO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굴들레잎 열수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 중의 SOD활성은 대조군과 비교시 추출물 급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분획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catalase활성은 민들레잎 추출물 급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에틸아세테리트추출물군은 에테르추출물군에 비하여 감소 정도가 유의적이었다. 간조직 중의 GSH-Px와 GST활성은 민들레 잎 추출물 급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열수추출물군에서 특히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GSH 함량은 추출물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산화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 잎 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는데, 특히 열쑤추출물군의 감소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고콜레스테를 혈증 유발 흰쥐에게 민들레잎 추출물 급여는 체내 항산화효소의 활성과 항산화제의 함량에 영향을 미쳐 체내 항산화능의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민들레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uaxacum officinale))

  • 강미정;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53-259
    • /
    • 2002
  • 민들레 잎과 뿌리로부터 물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저해율,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chemiluminescence를 이용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EPR을 이용한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민들레 잎의 물추출물이 뿌리의 물추출물 보다 지방산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 저해율이 높았고,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ion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들레추출물이 당뇨유발 흰쥐의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on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지윤;장주연;이미경;박은미;김명주;손동화;정현채;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12-1118
    • /
    • 2002
  • 민들레의 추출물을 급여한 흰쥐에게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하여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Wistar계의 이유한 웅성 흰쥐 64마리를 난괴법으로 8군으로 나누어 streptozotocin(55 mg/kg BW)과 식이 kg당 11.45g의 민들레가 함유되도록 부위와 분획별로 나누어 식이에 첨가하여 50일간 사육하였다. 당뇨-대조군의 총혐기성균은 14일간 증가하다가 당뇨로 인하여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잎 추출물 급여시 50일에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뿌리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급여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총혐 기성균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들레의 잎과 뿌리의 추출물 급여초기인 14일의 총호기성균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나 35일에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50일에 총호기성균수의 변화결과는 총혐기성균의 변화양상과 유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장내 미생물의 변화는 당뇨가 유발된 50일에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 잎-열수 추출물 군과 일-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군에서 Lactobacillus 증가가 현저하였으며, E. cofi 감소는 잎과 뿌리의 열수 추출물군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군이 당뇨-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이며 특히 열수 추출물군의 E. coli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실험 결과 민들레추출물이 당뇨유발된 흰쥐의 장내 미생물에 유익한 효과로 숙주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uteolin and Chicoric Acid, Two Major Constituents of Dandelion Leaf, Inhibit Nitric Oxide and Lipid Peroxide Forma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Park, Chung-Mu;Park, Ji-Young;Song, Young-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92-97
    • /
    • 2010
  • Luteolin and chicoric acid are the most abundant phytochemicals in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f. In this study, four kinds of extraction methods [hot water, ambient temperature (AT) water, ethanol, and methanol] were appli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both phytochemicals and verify thei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most potent nitric oxide (NO) inhibitory effect. The luteolin and chicoric acid concentrations were 3.42 and $12.86\;{\mu}g/g$ dandelion leaf in the methanol extract. The NO-suppressive effect of luteolin and chicoric acid was identifi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C_{50}$ values of $21.2\;{\mu}M$ and $283.6\;{\mu}M$, respectively,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without cytotoxicity.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 as an index for free radical injury on cell membrane, was also dose-dependently inhibited by the two compounds. The suppressive effect was further examined using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which were attributable to the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wo phytochemicals in dandelion leaf, luteolin and chicoric aci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melioration of LPS-induc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민들레 추출액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Patty with Dandelion Extrac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최영준;박현숙;이재상;박경숙;박성숙;정인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3-43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delion leaf, root and whole part extrac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stored at $4^{\circ}C$ for 10 days. Four types of pork patties were evaluated: ice-water-added (T0), dandelion leaf extract (T1), dandelion root extract (T2) and dandelion whole part extract (T3). The pH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but increased after 10 days of storage. The pH was highest in T0 during storage. The L value of T0 increased whereas T1, T2 and T3 did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storage. The a value decreased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and the a values for T1, T2 and T3 were higher than that of T0 during storage. The b valu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The TBARS increased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and the values for T0, T1, T2 and T3 were 0.87, 0.29, 0.47 and 0.31 mg MA/kg, respectively, after 10 days of storage. The VBN content value of T0 increased, but those of T1, T2 and T3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storage.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0 decreased, but those of T1, T2 and T3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storage. Cooking loss increased during storage and that of T0 was higher than those of T1, T2 and T3. Hard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hil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ncreased during storage.

서양민들레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 횐쥐의 뇌조직 중 유해 활성산소 생성 및 제거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ndelion on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System of Brai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명주;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0-505
    • /
    • 2002
  • 뇌조직에서 고혈당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민들레의 유해 활성산소 생성과 제거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한 Wistar계 횐쥐에게 민들레의 잎과 뿌리의 분말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4주간 급여하였다. 실험결과 유해 활성산소 생성효소계인 시토크롬 P450 함량, aminopyrine N-demethylase, aniline hydroxylase 및 xanthine oxidase 활성은 당뇨를 유발한 대조군에 비하여 서양민들레 잎과 뿌리 급여군 모두 감소되었다.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와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 역시 서양민들레의 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민들레의 부위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뇌조직 중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과 GSH 함량은 대조군에 비 하여 서양민들레 급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과산화지질 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서양민들레 급여군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서양민들레의 잎과 뿌리의 급여는 당뇨로 인한 횐쥐의 뇌조직 중 유리기 생성과 지질과산화로 인한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민들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분쇄돈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 최영준;박경숙;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51-659
    • /
    • 2015
  • 본 연구는 민들레 추출물이 분쇄돈육의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등심과 지방에 냉수 10% 첨가(대조군), 민들레 잎 추출물 10% 첨가(DL), 민들레 뿌리 추출물 10% 첨가(DR), 그리고 전체 부위 추출물 10% 첨가(DW)하여 네 종류를 제조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군, DL, DR 및 DW가 각각 2,07, 6.49, 3.85 및 5.77 mg/100 g으로 DL이 다른 분쇄돈육들보다 더 높았다. 명도($L^*$) 및 황색도($b^*$)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적색도($a^*$)는 DL이 가장 높았다. pH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VBN 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BARS는 대조군, DL, DR 및 DW가 각각 0.52, 0.20, 0.31 및 0.24 mg MA/kg으로 DL에서 가장 낮았다. 생육 및 가열육의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분쇄돈육의 수율, 보수력, 수분 보유율, 지방 보유율 및 직경 감소율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343.65~2,395.39 ppm으로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풍미는 DL이 가장 우수하였다. 민들레 추출물 첨가의 경우, 다른 부위보다 잎 추출물의 첨가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으며, 적색도와 관능적 풍미를 개선하고, 지방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육제품의 천연 항산화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잎과 민들레 추출물에 의한 S. mutans 성장억제 효과 (The Effect on Growth Inhibition of S. mutans by Lotus Leaf and Dandelion Extracts)

  • 최보람;조다영;차소영;최민지;정혜원;강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73-5778
    • /
    • 2011
  • 최근에 연잎과 민들레 추출물의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항산화작용, 항알레르기효과, 항균작용, 항암활성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lony forming unit와 흡광도를 측정하여 연잎과 민들레 추출물이 S. mutans에 미치는 성장억제효과를 연구하였다.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S. mutans의 성장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S. mutans의 성장억제율도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이로써 연잎과 민들레 추출물은 S. mutans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Antioxidant Activity of Salad Vegetables Grown in Korea

  • Xin Zao;Song, Kyung-Bin;Kim, Mee-R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289-294
    • /
    • 2004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orty two kinds of salad vegetables grown in Korea was evaluated. Methanol extract of freeze-dried vegetable was assayed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1,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Fe^{2+}$-catalyze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TBA method. Total phenolics were determined colorimetrically using Folin-Ciocalteu reagent.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expressed by perilla leaf, followed by dandelion leaf, red and green leafy lettuce, of which $IC_{50}$ was less than 0.10 mg/mL. Angelica leaf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on for lipid peroxidation with $95\%$, and then dandelion leaf, water spinach, and perilla leaf inhibited over $80\%$. However, lettuce (Iceberg) and young Chinese cabbage exhibited the lowest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both assay methods.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s were observed (p < 0.001). The results suggested that salad vegetables, especially perilla leaf, leafy lettuce, dandelion or angelica, could be used for easily accessible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