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aged tree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2초

훼손 수목 이식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연구 (Stakeholder Perception on the Transplanting Damaged Trees)

  • 문윤정;박홍준;차재규;나진주;이선미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6호
    • /
    • pp.361-379
    • /
    • 2021
  • 환경영향평가 시 개발사업으로 훼손되는 수목의 약 10%를 이식 또는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식 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2020년 10월 9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 협의기관, 검토기관, 사업자·대행자 그룹별 각각 36명, 44명, 83명(총 163명)이 참여하였다. 세 그룹 모두 개발사업으로 인한 훼손이 심각하므로 개발 부담금이 증가하더라도 훼손 수목의 일부를 이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심각하다고 응답한 문제점은 고사율이었다. 고사 시 대체 방안으로 세 그룹 모두 동일한 수종과 수량을 식재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고사율을 줄이기 위해 이식 수목은 크기가 작은 것을 이식하고, 이식 수종은 식재종과 조경 수종을 포함하여 확대시키고, 이식 수목량은 자생 수목량 대비 이식 비율을 산정하자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관리자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높았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는 훼손 수목의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 이시영;이명욱;염찬호;권춘근;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2-39
    • /
    • 2009
  • 본 연구는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에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강릉시, 삼척시 및 경북 울진지역에 총18개소의 세부조사구를 선정하여 숲 가꾸기 실행 유무, 피해수종, 산불진행방향, DBH, 총수고, 지하고,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율, 수관피해율, 임목밀도, 지하고, 숲 가꾸기 산물의 방치유무, 조사지의 위치(GPS), 해발고도, 조사사면의 방위, 산지경사, 지형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숲 가꾸기 실행지의 편면연소율은 24.7%인 반면, 미실행지의 편면연소율은 60.2%로 숲 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해 약 35.5% 높게 나타났고, 수종별로는 소나무가 참나무류 보다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임목고사율의 경우도 숲 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해 약 41.4%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숲 가꾸기 실행지의 산물들이 근접해 있는 임목이 그렇지 않은 임목에 비하여 10${\sim}$20%의 편면연소 피해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임목주변에 숲 가꾸기 산물이 있을 경우, 독립적으로 있는 임목보다 연소물량이 많아 산불강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적재된 간벌목이 산림 내에 많이 쌓여있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재발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숲 가꾸기 산물을 임외로 걷어 내리거나 다른 용도로의 활용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화기에 저온 피해를 받은 '후지'/M.9 사과나무의 하계전정 시기가 신초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mmer Pruning Time on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 Damaged by the Low Air Temperature at Flowering Period)

  • 권헌중;사공동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8-334
    • /
    • 2022
  • BACKGROUND: The low temperature at flowering period break the balance betwee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f apple tree. Summer pruning has been used to control vegetative growth.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mmer pruning time on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s damaged by the low temperature at flowering period. METHODS AND RESULTS: The following treatments were applied to tree : a) control (no summer pruning), b) pruned 26 June, c) pruned 30 July, d) pruned 28 August, and e) pruned 26 September. The summer pruning significantly increased light penetration and fruit red color by reducing the total shoot growth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 summer pruning control the outbreak of apple valsa canker. But the summer pruning at the end of June increased regrowth of shoot and pruning weight compared with the summer pruning at the end of August. The summer pruning at 30 July had the highest fruit weight, but return bloom was the highest in the summer pruning at 28 August.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e optimum summer pruning time of 'Fuji'/M.9 apple trees damaged by the low temperature at flowering period were the end of August.

목재문화재 보존을 위한 수목추출물의 부위별 생리활성 탐색 (Studies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ree extracts for conserva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 강소영;최윤아;정용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8호
    • /
    • pp.59-73
    • /
    • 2007
  • Wooden artifacts are biologically damaged by animals, insects, and micro-organisms. We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tree extracts to control deteriora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12 kinds of methanol extracts from 9 species of tree were investigated for their biocidal activities against two micro-organisms and two spices of insect. Most tree extracts showed fungicidal activities to Tyromyces palustris and Trametes versicolor. Among 12 different tree extracts, the stronges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palustris and T.versicolor was observed from the extracts of Pinus densiflora stem-bark extract and Pinus koraiensis leaf extracts. However, in the insecticidal activity test, Pinus densiflora stem-bark extracts against termite was relatively effective. Chemical compositions of methanol extrac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evelopment of biocide based on the natural extracts can be expected to conservate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 PDF

해송의 종자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대한 오존저항성의 개체간 차이 (Individual Differences of Ozone Resistance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Development of Pinus thunbergii)

  • 김두현;한심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7-2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종자생산, 발아와 유묘 발달에 대한 오존 저항성의 개체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대기오염지역에서 12년간 자란 해송 중에서 가시적 피해와 생장을 기준으로 건전목과 피해목을 선정한 후, 구과분석, 종자발아, 지질과산화, 항산화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과분석 후, 종자와 유묘를 대상으로 대조구, 150, 300ppb 농도의 오존 처리를 실시하였다. 피해목 종자의 발아율은 건전목 종자보다 발아율이 21.6% 낮았다. 건전목과 피해목 종자의 발아율은 300ppb 오존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각각 10, 19% 감소하였다. 종자의 SOD, GR, CAT 활성도 건전목 종자가 높았다. 오존처리 시 GR, APX와 CAT 활성은 두 종류의 종자 모두에서 감소하였고 MDA 함량은은 종자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유묘 생육은 침엽 길이, 줄기와 뿌리의 길이 및 무게에서 종자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300ppb의 오존 처리 시 침엽과 줄기의 길이 및 무게는 감소 되었다. 피해목 유묘의 SOD, APX, CAT 활성과 MDA 함량은 건전목 유묘보다 높았고, 오존처리 시피해목 유묘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오염지역의 건전목과 피해목은 종자 발아 특성과 유묘의 항산화 능력 차이가 뚜렷하며, 그들의 종자의 발아 특성과 유묘 생장은 오존농도 증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조림을 위한 개체 선정 시 고려해야 한다.

AgNO$_3$을 이용한 수트리의 실시간 열화계측 (The Aging Measurement of Water Tree Using AgNO$_3$Solution)

  • 김덕근;오수홍;이진;이은학;김태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9-412
    • /
    • 1997
  • The phenomenon of water tree degradation of underground distribution power cables is taking place in polymeric insulation materials under the existence of water and application of electric stress, but water tree is not easy to observe, o water tree features in power cables are shown after cutting and dying with methyleneblue. In previous method, it is impossible to acquire continuous treeing data, and when the insulation material has been cut, the micro crack(water tree) has been damaged. In this paper, to overcome these deflects, the etching method is made use of making needle electrode about 170[${\mu}{\textrm}{m}$] diameter, and AgNO$_3$(silver nitrate) solution is used as liquid electrode to accelerate the growth of water trees. As a result of this study, water tree is observed in real-time with microscope. Electrical tree owing to water treeing is initiated at low electric field and grown with discontinuous. Namely, water tree is shown up a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ree growth.

  • PDF

골프장 조경수를 가해하는 해충 종류에 관한 연구 (Study on Insect Pests of Landscaping Trees in Golf Courses)

  • 김종주;이동운;추호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67
    • /
    • 2007
  • 본 연구는 골프장의 조경수에 피해를 주는 해충의 종류와 피해를 조사하여 골프장 조경수 해충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 양산의 통도골프장과 진해의 용원골프장, 경북 경산의 대구골프장, 부산 금정의 동래베네스트골프장에서 수행하였다. 조사지 골프장의 22목 33과 54속 88종의 조경수에서 확인 된 해충은 6목 34과 44속 60종이었다. 대부분의 조경수에서는 2종 이하의 해충이 확인되었으나 아까시나무, 벚나무, 밤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에서는 5종 이상의 해충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해충들은 2종 이하의 조경수를 가해하였으나 주둥무늬차색풍뎅이는 41속 67종의 조경수에서 피해가 확인되었다. 조사 골프장의 조경수에서는 딱정벌레목과 매미목 해충이 36.4%와 36.3%로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발생 빈도가 높은 해충은 9%였고 매우 드물게 발생한 해충은 73%였다. 섭식형태별 해충의 비율은 저작형이 49%, 흡즙형 해충이 51%였다.

토취장 개발에 따른 훼손생태계 이식방안 연구 (Transplantation Method of Damage Ecosystem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the Borrow Pits)

  • 이수동;강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94-405
    • /
    • 2012
  • 본 연구는 매립공사로 인해 훼손되는 토취장을 대상으로 생태계 훼손에 따른 이식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전라남도 광양시 중군동에 위치하며 전체 면적은 약 $199,026m^2$이나 토취에 의해 훼손되는 지역은 약 $84,200m^2$로 이들 지역에 대하여 생태계 훼손에 따른 이식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지내 분포하는 식생구조 및 발달과정, 지형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연륜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훼손이 불가피한 대상지의 이식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군락이식과 수목이식으로 구분하여 기존 신갈나무림과 곰솔림을 모델로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훼손지의 군락이식에 있어서는 신갈나무숲을 조성하여 자연림의 복원을 도모하며, 이식량에 있어서는 교목층의 신갈나무 89주, 아교목층 153주, 관목층 661주가 적정할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목이식은 기존의 곰솔 이식으로 교목층의 곰솔 2,648주이었고, 전체 표토 이식량은 $15,353m^3$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매립에 따른 훼손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생태계 보상 및 훼손 저감장치로서 유용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나무재선충 피해목의 수집 및 활용에 대한 현황 분석 (An Analysis on the Situation of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 김재환;서인교;박상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7-134
    • /
    • 2016
  • This study is conducted to get current state of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and to efficiently collect and utilize of the trees damaged by the pine wilt disease and abandoned fumigation-treated trees at forecasts. The method to control pine wilt disease damaged area is mostly fumigation treatment system, and there is no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damaged trees because of absence of efficient collection system, lack of collection cost, and absence of policy, etc. A survey is conducted that asked about the satisfaction degree for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collection and use divided into 6 topics. It was positively recognized that the need and problem of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and results and satisfaction of forestry mechanization while it was mostly negatively recognized that the policy satisfaction for prevention and collection, satisfaction of collection and use, collection and forestry mechanization, and satisfaction of foundation equipment for forestry mechanization, etc.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high-tech forestry mechanization to improve satisfaction level of results and satisfaction of forestry mechanization for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collection and utilization, it is also need to make an effort in various ways for improve satisfaction level of satisfaction of collection and utilization.

지표화 산불피해지의 수종별 임목 고사율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ortality in Species of Trees after Surface Forest Fire)

  • 이시영;안상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39-43
    • /
    • 2009
  • 본 연구는 지표화 산불피해지에서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해송, 삼나무, 참나무류 등 7개 수종의 임목고사율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임목고사율은 삼나무>잣나무>소나무>해송>낙엽송>리기다소나무>참나무류 순이었다. 또한, 수간피해율이 높을수록 고사율이 높게 나타났고, 흉고직경이 클수록 고사율은 낮은 경향이었다. 특히 참나무류의 경우 수간 및 수관피해율이 30%이하에서는 거의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