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age Tolerance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3초

기본 훈련기 실기체 내구성시험 (Full Scale Durability Test of Basic Trainer)

  • 주영식;김민성;박병훈;설창원;김호연;정재권;정병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27-133
    • /
    • 2002
  • 항공기 구조 개발에 관련된 MIL-STD-1530A에는 구조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요구사항이 기술되어 있다. 기체 구조의 내구성 및 손상허용성은 요구사항 중의 하나로서 관련 규격서의 요구조건과 절차에 따라 해석 및 시험을 통하여 입증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 훈련기의 안전성 및 내구성 평가를 위한 실기체 내구성시험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내구성시험은 미군사규격서의 요구조건 및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내구성시험의 시험하중은 비행대비행 하중 스펙트럼으로 기본 훈련기의 피로하중 기준에 의거하여 개발되었다. 4배 설계수명 동안의 내구성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으며, 기본훈련기 구조가 내구성 요구조건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Ozone and Soil Salinity, Singly and in Combination, on Growth, Yield and Leaf Gas Exchange Rates of Two Bangladeshi Wheat Cultivars

  • Kamal, Mohammed Zia Uddin;Yamaguchi, Masahiro;Azuchi, Fumika;Kinose, Yoshiyuki;Wada, Yoshiharu;Funada, Ryo;Izuta, Takeshi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9권2호
    • /
    • pp.173-186
    • /
    • 2015
  • In Bangladesh, increases in the tropospheric ozone ($O_3$) concentration and in soil salinization may lead to crop damage. To clarify the effects of $O_3$ and/or soil salinity on Bangladeshi wheat cultivars, BAW1059 (salt-tolerant) and Shatabdi (salt-sensitive) were exposed to 70-day treatments with $O_3$ (charcoal-filtered air (CF), $1.0{\times}O_3$, and $1.5{\times}O_3$) and different levels of soil salinity (0, 4, and $8dS\;m^{-1}$). In both cultivars, the whole-plant dry mass and grain yield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exposure to $O_3$. Increased soil salinity caused significant reductions in whole-plant growth and yield in Shatabdi, but the reductions were negligible in BAW1059.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O_3$ and salinity were detected for growth, yield, and leaf gas exchange parameters in both cultivars. We concluded that the effects of $O_3$ are not ameliorated by soil salinity in two Bangladeshi wheat cultivars, regardless of their salinity tolerance.

SWAT 모형과 BFlow를 이용한 지하수 함양, 기저유출의 시공간적 변화 분석 (Analysis of Spatiotemporal Changes in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using SWAT and BFlow Models)

  • 이지민;박윤식;정영훈;조재필;양재의;이관재;김기성;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49-558
    • /
    • 2014
  • Occurrence frequency of flood and drought tends to increase in last a few decades, leading to social and economic damage since the abnormality of climate changes is one of the causes for hydrologic facilities by exceedance its designed toleranc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was used in the study to estimate temporal variance of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It was limited to consider recession curve coefficients in SWAT model calibration process, thus the recession curve coefficient was estimated by the Baseflow Filter Program (BFLOW) before SWAT model calibration. Precipitation data were estimated for 2014 to 2100 using three models which are GFDL-ESM2G, IPSL-CM5A-LR, and MIROC-ESM with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scenario. SWAT model was calibrated for the Soyang watershed with NSE of 0.83, and $R^2$ of 0.89. The percentage to precipit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were 27.6% and 17.1% respectively in 2009. Streamflow,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were estimated to be increased with the estimated precipitation data. GFDL-ESM2g model provided the most large precipitation data in the 2025s, and IPSL-CM5A-LR provided the most large precipitation data in the 2055s and 2085s. Overall,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displayed similar trend to the estimated precipitation data.

PP 333 처리가 대두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P333 Spraying on Growth of Soybean)

  • 정병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1-187
    • /
    • 1987
  • pp333 조정제가 대두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pp333 수용액을 파종후 35일과 개화기에 각각 8, 5, 3% 농도로 엽면살포하여 이에 대한 재생육형질과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경화는 조기 그리고 고농도 처리에서 다소 큰 경향 이었다. 2. 절간별 단경화의 효과는 조기처리에서 1∼3절, 5∼7절과 9∼11절 등 하, 중, 상위절에서 컸으며 후기처리는 1∼3절과 10∼12절에서 컸다. 3. 절간별 경태는 조기처리에서 1절 4절과 6절 이상에서 후기처리는 4적과 8절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4. 건연중은 무처리에 비하여 처리구는 개체당 0.2∼0.5g이 감소하였고 감소도는 조기처리에서 컸으며 농도간에는 별차가 없었다. 5. 건근중은 개체당 0.3g으로 처리간에 관계없이 무처리와 동일하였다. 5. 절간별 입수 및 입중은 조기처리에서 5절이상 후기처리에서 1∼3절 사이에서 감소경향이었고 농도간에는 고농도에서 증감변화가 컸다. 7. 도복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단경화가 촉진되고 100입중의 감소가 없이 안전한 수량성을 나타낼 수 있는 조기 5% 농도처리가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 PDF

Ecophysiological Changes in a Cold Tolerant Transgenic Tobacco Plant Containing a Zinc Finger Protein (PIF1) Gene

  • Yun, Sung-Chul;Kwon, Hawk-Bi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89-394
    • /
    • 2008
  • The ecophysiological changes occurring upon cold stress were studied using cold tolerant transgenic and wild-type tobacco plants. In a previous study, cold tolerance in tobacco was induced by the introduction of a gene encoding the 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 PIF1. Gas-exchange measurements including net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ance were performed prior to, in the middle of, and after a cold-stress treatment of $1{\pm}2^{\circ}C$ for 96 h in each of the four seasons. In both transgenic and wild-type plants, gas-exchange parameters were severely decreased in the middle of the cold treatment, but had recovered after 2-3 h of adaptation in a greenhouse. Most t-test comparisons on gas-exchange measurements between the two plant type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Wild-type plants had slightly more water-soaked damage on the leaves than the transgenic plants. A light-response curve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lant types. However, the curve for assimilation-internal $CO_2$ in wild-type plants showed a much higher slope than that of the PIF1 transgenic plants. This means that the wild-type plant is more capable of regenerating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Rubisco) and has greater electron transport capacity. In conclusion, cold-resistant transgenic tobacco plants demonstrated a better recovery of net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ance after cold-stress treatment compared to wild-type plants, but the ecophysiological recoveries of the transgenic pla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D(Crack Opening Displacement) 측정에 의한 강재표면의 피로균열진전속도 평가 (Evaluation of Fatigue Crack Growth Rate on the Surface of Steel Members Using COD(Crack Opening Displacement) Measurement)

  • 김광진;김인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79-188
    • /
    • 2011
  • 강부재의 피로가 주요원인이 되어 구조물이 붕괴되거나 교체되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처럼 사실상 피로에 대해서는 손상을 허용하고 있지만, 발견되는 피로균열에 대한 직접적인 상태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피로균열에 대한 진전 비진전성의 판단 및 균열진전속도의 평가가 이루어져야만, 합리적인 보수 보강 공법의 선정과 시행시기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되는 COD(Crack Opening Displacement)를 통한 피로균열진전속도 평가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2종류의 관통 균열 시험편과 면외거셋 용접이음 시험편의 균열진전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용적인 COD의 측정을 위해 변형률 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COD 측정을 통한 균열진전속도의 합리적인 평가법을 제안하였고, 변형률 게이지를 이용한 성공적인 COD 측정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내염성 cyanobacteria로 부터 danK heat shock protein 유전자의 cloning 및 특성 해명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dnaK Heat Shock Protein Gene in a Halotolerant Cyanobacterium)

  • 원성혜;윤병욱;김학윤;;이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64-469
    • /
    • 2001
  • 내염성의 광합성 cyanobateria 인 Aphanothece halophytica로 부터 molecular chaperone으로 가능하는 HSP70 homolog인 dnaK2 유전자를 cloning 하였다. 이 danK2 유전자는 61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추정되는 분자량 68 kDa 의 단백질을 code하고 있었다.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추정되는 DnaK2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여 본 결과, 다른 원핵생물의 DanK2 단백질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성인 N-terminal ATPase domain과 C-terminal의 peptide-binding domain이 잘 보존되어 있었으며, 다른 HSP70/DanK 단백질들과의 높은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danK2 유전자는 생장온도인 28$^{\circ}C$에서 낮은 수준으로 구성적으로 발현하였으며 heat stress에 의해 그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A. halophytica를 고농도의 염 스트레스로 처리한 결과, heat stress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DnaK 단백질의 고온 또는 염 스트레스에 따른 세포의 손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추정된다.

  • PDF

푸리에 광학의 디스플레이 기판 결함 검출에의 활용 (Application of Fourier Optics to Defect Inspection of Display Substrates)

  • 정영진;이광
    • 한국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결함 검출을 위해 푸리에 광학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고배율의 광학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적 부담이 적은 결함 검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안하는 방법은 고배율 광학계의 짧은 피사계 심도에 기인하는 기판과 카메라 간의 거리 변화에 대한 엄격한 허용오차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와 기판의 가까운 거리로 생기는 접촉으로 인한 손상의 가능성을 피할 수 있다. 푸리에 변환의 특성에 의해 규칙적 패턴인 기판의 위치변화는 회절된 빛의 세기분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검출 알고리즘을 기존의 방식보다 더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안하는 결함 검출 방법을 전산모사와 함께 설명하고 액정디스플레이의 컬러필터 기판을 예로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벼의 내냉성과 잎조직인지질의 지방산 조성과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olipid from Leaves and Cold Tolerance of Rice Plants)

  • 정진;김영기;박상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58-64
    • /
    • 1983
  • $28^{\circ}C$에서 자란 $3{\sim}4$엽기 벼잎조직의 인지질지방산분석을 통해 벼품종별 상대적내냉성정도와 인지질지방산조성간에 성립되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즉 내냉성이 강한 품종일수록 불포화도 및 불포화지방산의 구성비가 노은 인지질을 함유하고 있다. 인지질의 불포화상태를 나타내는 모든 지표들이 각품종의 냉해저항성과 잘 일치된다는 사실은, 곧 식물세포가 저온에서 생체막과 관련된 생리적활성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필수조건으로 알려진 '생체막의 유동성'은 인지질지방산조성에 의해 절대적으로 지배받는다는 것을 분명히 나타낸다. 한편 벼의 인지질은 최소한 유묘기의 잎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공히 phosphatidyl serine과 phosphatidyl choline을 주성분으로 phosphatidyl inositol을 부성분으로, 그밖에 3종의 미량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인지질의 종류 및 조성은 내냉성과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poglycemic Effects of Germinated Rough Rice Extrac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Lee, Youn-Ri;Hwang, In-Guk;Woo, Koan-Sik;Kim, Hyun-Young;Park, Dong-Sik;Kim, Jae-Hyun;Kim, Yun-Bae;Lee, Jun-Soo;Jeong, Heon-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3호
    • /
    • pp.272-277
    • /
    • 2011
  • The hypoglycemic effects of germinated rough rice extract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were investigated.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abetic groups than in the normal control (NC); however, they were higher in the 1% and 3% diabetic groups given germinated Goami2 rough rice extract (DM-3%GGRRE) than in the diabetic control (DC). While food intake in all diabetic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diabetic groups. The weight percentages of liver and kidney in all diabetic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C. In terms of blood glucose, the diabetic group showed about a three times larger value than the normal group. Moreover, in the 3% germinated rough rice extract group, the blood glucose level became lowered. The levels of alanine transaminase, aspartate transaminase,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phosphokinsae, and creatinine increased in general with the induction of diabetes using STZ; however, the 3% GGRRE-treated group display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se levels compared to the diabetic 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 3% GGRRE, rather than the 1% GGRRE, was considerably more effective at reducing blood glucose and improving impaired glucose tolerance, suggesting the germinated rice extracts may play a role in preventing liver and kidney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