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wetland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HGM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기능평가 연구 (Functional Assessment of Yongdam Dam-wetland by HGM)

  • 김덕길;신한규;김재근;김형수;유병국;안경수;장석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65-675
    • /
    • 2011
  • 댐 상류지역 및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는 댐의 수질개선, 동식물의 서식처 확보 등과 같은 생태보전 및 경관 제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이 지니고 있는 습지의 역할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문지형학적 방법인 HGM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용담댐의 기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적인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댐습지와 자연습지를 비교했을 때, 댐습지가 자연습지의 약 6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댐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의 관리와 보전이 잘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1) - HGM을 이용한 기능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1) - Assessment of Functions by HGM : Focussing on Boryung Dam -)

  • 신한규;김덕길;김재근;김형수;안재현;유병국;안경수;박두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5-132
    • /
    • 2009
  • 댐의 습지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댐도 하나의 습지로 정의하고, HGM 습지 평가 방법에 따라 보령댐을 우포늪의 습지 기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보령댐의 습지로서 수문학적 기능은 단기적이고 작은 흐름들에 대해서는 취약성을 가지지만, 반면 장기적이고 큰 흐름들에 대해서는 강점을 가진다. 생지화학적 기능은 우포의 약 50%정도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서식처로서의 기능도 식물 군집의 유지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서식처로서의 기능은 우포늪에 준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다만 조류의 서식처로서의 기능이 다소 부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보령댐의 장점과 단점을 명확히 하여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강 할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가치평가 연구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of Yongdam Dam-wetland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김덕길;유병국;김재근;신한규;김형수;안경수;장석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7-158
    • /
    • 2012
  • 최근 들어,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습지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습지의 가치평가는 자연습지에 대해서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댐도 습지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를 댐습지라 정의하고 댐습지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 기법으로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지역은 용담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6대광역시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습지생태공원 시나리오에 대한 용담댐습지의 총 가치는 약 420억원으로 나타났다.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2) - CE를 이용한 가치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2) - Assessment of Value by CE : Focussing on Boryeong Dam -)

  • 김덕길;유병국;김재근;신한규;김형수;박두호;안재현;안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3-143
    • /
    • 2009
  • 최근들어,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습지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습지의 가치평가는 자연습지에 대해서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댐도 습지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를 댐습지라 정의하고 댐습지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 기법으로는 선택실험법(CE)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지역은 보령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6대광역시와 보령시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는 Conditional Logit(CL) 모형과 Random Parameter Logic(RPL)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령댐습지를 주변습지지역만 고려했을 경우, 총 가치는 약 728억원으로 나타났다.

  • PDF

양수리 호소형 습지에 관한 연구 (Study on Lacustrine Wetland around YangSu-Ri)

  • 문현숙
    • 동굴
    • /
    • 제64호
    • /
    • pp.49-59
    • /
    • 2004
  • 본 연구지역은 북한강과 남한강, 경안천이 합수하는 지역이다. 1973년 팔당댐의 건설로 거대한 호수가 발달하였다. 이는 유속의 감소와 퇴적, 침수 등의 현상을 가져와 호소변에 습지가 발달하는 요인이 되었다. 습지 수원은 지하수면과 함께 지표수, 강수 모두 영향을 받지만, 무엇보다도 댐의 통제계획하에서 발생하는 호소형 습지임을 알 수 있다.

천성산 화엄늪의 형성과정 (Formation Processes of Hwaeomneup Wetland, Cheonseong Mountain)

  • 손명원;장문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4-21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천성산 화엄늪의 형성과정을 밝혀 지속가능한 습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퇴적물 주상 시료와 부식의 탄소연대측정 결과로 볼 때, 화엄늪 습지보호지역의 초지는 지난 빙기의 기후변화와 관련없이 주민들의 화전농업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화엄늪은 천성산 정상부에 내린 강우가 지하로 침투하여 흐르다가 절리를 따라 능선 부분에서 용출하여 형성된 산지습지이다. 화엄늪 습지의 수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습지보호지역 남서부의 주능선에 밀생하는 숲을 유지하여야 하며, 습지 하류 말단부를 지지하는 계단상의 거력제(block dam)가 붕락되지 않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습지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화엄늪 습지보호지역 내 지형과 수문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 PDF

Determination of Heavy Metal Content in Astacus leptodactylus caspicus of Anzali Wetland, Iran

  • Riahi, A.R.;Fazeli, M.Sh.;Paydar, 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1호
    • /
    • pp.15-20
    • /
    • 2004
  • With attention to different human activities around Anzali wetland and introduction of different pollutants containing heavy metals into this water ecosystem and absorption and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shell and muscle of Astacus leptodactylus which is native benthose of Anzali wetland and enjoys food and economic importance; Sampling of waters and sediments from 18 stations and shell and muscle of Astacus leptodactylus from 5 stations had been conducted. After biometric evaluation of Astacus leptodactylus, the chemical analysis of the samples by using international and standard methods and then their heavy metals content was determined by Atomic Absorpotion Spectrophotometer (AAS), model P.U 9400 philips. Result of the analysis stated that; 1) The mean values of Cr, Zn, Pb, Ni, V in Anzali waters were 6.4, 184.5, 28.8, 28.9, 47.1 ($\mu$ gr/lit) respectively, which compar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s not suitable for drinking, but it can be used for agricultural and aquacultural purposes. Even though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were high, there are in range of acceptable limit for aquatics organisms; 2) Comparatively,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shell and muscle of Astacus leptodactylus in Anzali wetland (Cr, Zn, Pb, Ni, V in shell were 3.48, 109.3, 14.13, 7.17, 36.2 and in muscle were 2.98, 131.98, 3.12, 4.77, 9.05 ppm respectively) were more than what is determined for Aras dam (in shell were 1.6, 224.3, 7.8, 7.6, 10.3 and in muscle were 1.4, 60.2, 0.45, 2.7, 4.4 mg/kgr respectively); 3) For all samples,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all Astacus leptodactylus in Anzali wetland and Aras dam, was at tolerance level for human consumption; 4)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eight and size of Astacus leptodactylus with absorption and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eavy metals content in water and in sediments, and in sediments, shell and muscle of Astacus leptodactylus in Anzali wetland.

전곡 용암대지 물거미 서식지의 지형특성과 식생 분포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Geo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pider(Argyroneta aquatica) Habitat in the Jeongok Lava Plateau, Central Korea)

  • 이민부;이상영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7-73
    • /
    • 2017
  • The formation of the lava dam of the paleo lake blocked the entrance to the Chatancheon River on the Jeongok lava plateau and it suddenly transformed the terrestrial ecosystem into the aquatic one by the overflow. The spiders in the lava dam adapted in the wetland and evolved into water spiders that could survive by forming bubble houses. Since then, the lava dam was connected to the present Hantangang River due to the dissection and the lake became a terrestrial environment, a small area of marsh composed of primarily clay soil layer. Change in water level of the habitat and thus the extension of the terrestrial area made the species a endangered now. This study carried out frequency of occurrence, degree of wetness and plant habitats of the vascular plant in the water spider habitat. As a result of this study, total 180taxa are of 55 (30.6%) wetland plant groups and of 113 (62.8%) upland plant groups except facultative plant groups. Among the wetland plant groups, the Isachne globosa community occupied the largest area, where the water spiders were most observed.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the types of vascular plant specie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sustaining healthy wetland ecosystem and the restoration of the habitat for the water spiders.

댐 수위 변동에 따른 백곡습지의 수문지형 환경 변화 (The Variation of Hydro-Geomorphological Environment in Baekgok Wetland due to Water-Level Fluctuation of Reservoir)

  • 김동현;박종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9-5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ariation of hydro-geomorphological environment along Baekgok wetland, which experiencing periodical inundation, in that water-level fluctuation of reservoir caused by irrigation. Since the field data is unavailable, modeling techniques, involving models such as HSPF and TELEMAC-2D, have been applied to simulate hydrological cycle in watershed and hydrodynamics in channel scale. The result of simulation indicates that the water-level of reservoir determines both the water surface extension and water depth in the wetland. Furthermore, it also shows that water-level functions as a spatial limit factor for a fluvial environment and woody vegetation such as willow. The fact of which the scale of water-level fluctuation being larger than an average topographical relief along the wetland can explain the result. While the water-level kept high, the wetland is submerged and waterbody becomes lentic. In contrast, while the water-level is lowered, fluvial phenomena of which being dependent on flow rate and channel shape become active. Hence, the valid fluvial process is likely to take place only for 4 months annually just near the channel, and it advances to a conclusion expecting a deposition to be dominant among the wetland except for such area. It is anticipated that such understanding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plans to preserve the geomorphological and ecological value of the Baekgok wetland.

표토침식에 따른 내륙습지 훼손 가능성 평가 (Potential damage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by topsoil erosion)

  • 김성원;정안철;이대업;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7호
    • /
    • pp.521-531
    • /
    • 2020
  • 본 연구는 강우로부터 나타나는 표토침식과 퇴적의 영향을 고려하여 습지 훼손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용담댐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천천유역은 16개의 습지가 존재하며, 습지훼손 가능성에 대한 평가는 호수형습지와 소택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2002년, 2003년에 발생한 태풍사상을 적용한 결과, 벽남제습지의 경우 상류유역에서 유입되는 토사량은 저수용량의 2.30%(22,548 ㎥)로 가장 높았다. 산지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소택지의 평균 유입토사량은 저수용량의 0.03%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넓은 유역을 가지는 호수형습지보다 훼손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넓은 면적이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는 호수형습지는 모형의 결과에서 토사유입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토양침식에 의한 습지훼손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