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 types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3초

산지습지의 친환경복원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o-friendly restoration o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forested bog)

  • 정유경;이헌호;강원석;박기형;권세명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3-47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co-friendly restoration in forested bog on the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llected from the surveyed sites were composed of 1,071 individuals, 60 species, 40 families, 13 orders, 6 classes and 5 phyla. At the control and Site 3(small dam),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larger than that of other sites, and EPT group ratio was same as well. Considered by index, the dominance index (DI) was found the highest at the biotope area. The diversity index (H') and richness index (RI) were the highest at the control and Site 3. In addition, the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ESB) showed the highest at site 3, while the lowest at biotope area. The stability and recovery of benthic macrointebrates showed different according to restoration types at forested bog. After restoration project,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observed to get recovery at Site 3, and to have the highest communities stability at control and Site 3. At biotope areas (Site 4, Site 5 and Site 6) communities stability were the lowest, but showed different community stability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water. It is confirmed that the eco-friendly restoration projects indeed provided the better environment for the inhabita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The change of community index depending on the restoration projects suggests that the eco-friendly restoration can provide a more suitable environment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ecosystem that prefers the stream environment.

홍천강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상과 피라미 개체군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by Habitat Type and Population of Zacco platypus in the Hongcheon River)

  • 이황구;장창렬;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0-240
    • /
    • 2013
  • 2008년 8월부터 2009년 6월까지 홍천강의 8개 미소서식처 유형에 따른 어류상과 피라미 개체군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6과 21종 1,033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Acheilognathus signifer,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Pseudopungtungia tenuicorpa, Squalidus gracilis majimae, Zacco koreanus, Iksookimia koreensis, Silurus microdorsalis, Liobagrus andersoni, Coreoperca herzi, Odontobuitis interrupta, O. platycephala 등 총 13종(61.9%)으로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은 Z. koreanus, 아우점종은 Z. platypus로 조사되었다. 서식처 유형별 우점종은 샛강, 낙차형 웅덩이, 급여울에서 Z. platypus, 개방형 하도습지, 평여울, 사행형 웅덩이, 거석형 웅덩이에서 Z. koreanus, 댐형 웅덩이에서 Microphysogobio yaluensis, 폐쇄형 하도습지에서 Rhynchocypris oxycephalus가 우점하였다. Z. platypus의 전장-체중 상관도의 회귀계수 b값이 3.27의 값으로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 결과 홍천강은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홍천강의 서식처 유형별 유사도 분석 결과 개방형 하도습지와 사행형 웅덩이가 66.2%로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샛강과 폐쇄형 하도습지가 32.1%로 가장 대조적으로 분석되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물 갈등과 지속가능한 정책 : 서울과 시드니의 비교 (Freshwater Conflicts and Sustainable Polic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 Cases of Seoul and Sydney)

  • 최병두;데이니스넘리;손명원;사라럼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6-164
    • /
    • 2001
  • 이 논문은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도시들에서 상수원 정책의 지속가능성의 평가를 위한 연구 과제를 개관하고, 이에 근거하여 한국의 서울과 호주의 시드니 지역의 맑은 물 공급을 둘러싼 갈등을 공동 연구한 것이다. 우선,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대도시 물 갈등에 관한 연구 과제가 소개될 것이다. 둘째, 도시의 맑은 물을 위한 갈등과 관련된 서술 및 분석을 위한 기본 틀이 제시될 것이다. 셋째, 맑은 물 갈등에 관한 분석틀에 기초하여 시드니 및 서울의 사례가 고찰될 것이다. 넷째, 끝으로 이 지역의 도시에서 맑은 물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미래의 정책적 요구 사항들에 관한 예비적 제안들이 제시될 것이다.

  • PDF

담양하천습지의 식생유형과 분포양상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 in Damyang Riverine Wetland)

  • 안경환;임정철;이율경;최태봉;이광석;임명순;고영호;서재화;신영규;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2호
    • /
    • pp.89-102
    • /
    • 2016
  • 담양하천습지는 영산강 본류에 위치하는 하천습지로서 2004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총 30개의 식생자료가 획득되었으며, 총 101종(미동정종 1종)을 포함하는 22개의 식생유형이 구분되었다. 현존식생도는 6개의 범례(하천림, 대상식생, 터주식생, 연안대식생, 습생초원, 개방수역)로 구분되었으며, 습지식생의 면적은 약 35%($386,841.86m^2$)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담양하천습지에 분포하는 식물사회는 보호지역 상단에 설치된 물막이보와 상부 유역에 운영 중인 담양댐 등으로 인해 급격한 수환경 변화로 형성된 것으로 유추되었다. 고수부지는 최근까지 경작이 진행되었으나 보호지역 지정 이후 방치됨으로써 현재와 같은 하천변 휴경작지의 식생경관이 형성되었다. 조사지역 내 환경부 지정생태계 교란 야생식물인 털물참피가 우점하는 군락이 넓게 발달하고 있으며, 국내 미기재된 새로운 귀화식물군락인 앵무새깃군락이 관찰되었다. 이들 식물군락들은 나도겨풀군락이 발달하는 환경과 중복되어 그 밖의 유사한 생태적 지위를 가지는 고유식물군락의 서식처를 점유하게 될 것이다. 담양하천습지의 다양한 식물사회들은 인공 시설물 등에 의한 하천환경 변화 및 교란, 훼손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대청댐 유역 토양 침식량 산정을 위한 SWAT 모델의 적용 (Application of SWAT for the Estimation of Soil Loss in the Daecheong Dam Basin)

  • 예령;윤성완;정세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2호
    • /
    • pp.149-162
    • /
    • 2008
  • 미국농무성에서 토양과 토지이용 특성을 고려한 대규모 유역의 유출해석과 토양침식량 및 비점오염원 부하를 해석하기 위해 개발한 SWAT 모델을 대청댐 유역에 적용하여 토지이용 특성별 토양침식량을 산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저수지관리자와 정책입안자들에게 저수지 탁수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유역관리 대안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유출과 토양 유실량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매개변수들을 보정한 후, 모델은 실측 연간 유출성분과 월별 유황변화를 비교적 잘 예측하였다. 모의결과, 토지 이용별 단위면적당 토양침식량은 밭이 33.1 ton/ha/yr로 가장 많았으며, 임야는 수목의 종류에 따라 $2.3{\sim}5.4ton/ha/yr$, 도시지역 1.0 ton/ha/yr, 논 0.1 ton/ha/yr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면적 가중 연간 토양침식량 산정결과, 밭은 유역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단지 10% 정도에 해당하지만 연간 총 토양침식량의 55.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본 연구에서 적용한 토양침식량 산정 방법에 농작물의 종류와 경작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지 못하는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으나, 연구결과는 최소한 저수지의 탁수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상류 유역의 토양침식 조절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유역의 점유율에 비해 토양침식에 기여도가 가장 큰 밭농사 지역에 대한 토양침식 억제 대책을 우선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2차원 한계평형 및 사면안정해석을 통한 지오텍스타일 튜브 복합구조물의 안정성 분석 (Stability Behavior of Geotextile Tube Composite Structure by Slope Stability and 2-D Limit Equilibrium Analysis)

  • 오영인;신은철;강정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1-18
    • /
    • 2006
  • 지오텍스타일 튜브공법은 지오텍스타일의 필터 및 배수기능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공법으로 과거의 모래주머니, 훼브릭 폼, 게비언 등의 개념에서 최근 수리학적 채움기법을 적용하여 해안침식방지 구조물, 슬러지의 탈수, 교량축조를 위한 가도, 여수로 공사를 위한 임시구조물 등의 신구조물 공법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오텍스타일 튜브와 지반재료와의 복합구조물의 안정거동에 대하여 2차원 한계평형, 침투해석 및 사면안정해석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2차원 한계평형이론을 통하여 설계영향인자 및 현장여건에 따른 지오텍스타일 튜브 복합구조물의 지반공학적 안정성을 분석하였으며, 사면안정해석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부정류 침투해석을 통하여 조위변동에 따른 복합구조물내의 간극수압분포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범용 사면안정해석 프로그램인 Slope/W를 이용한 침투분석결과와 연동하여 사면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2차원 한계평형해석 및 평면변형해석 방법을 통한 분석결과, 세가지 형태의 지오텍스타일 튜브 복합구조물 모두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오텍스타일 튜브 구조물 자체는 수위조건 변화에 대해서는 크게 영향이 없이 안정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 PDF

암의 종류 및 증상에 따른 삶의 질 평가 척도에 관한 연구 현황 분석 (Analysis of Studies 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ancer Types and Symptoms)

  • 이남헌;조정효;손창규;유화승;이연월;윤담희;이종훈;방선휘;조종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55-560
    • /
    • 2006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quality of life(QOL) scales are frequently used in cancer patients and lay a cornerstone to develop new QOL scales adequate for oriental medical anti-cancer treatment in the future. Methods : We searched 151 articles concerned with 'QOL and scale and cancer' from PubMed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periods. nations. cancer types and symptoms. Results: 138 articles(91%) were published after 1996. 65 articles(43%) were published in USA. For breast. lung, prostate. esophageal cancer and melanoma.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quiality of life questionaire(EORTC-QLQ) was used most frequently to evaluate quality of lif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reatment(FACT) for bladder cancer.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for colorectal cancer and of Washingt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UW-QOL) for Head & Neck cancer were used repeatedly. And for the patients with the symptoms such as bone marrow depression. depression. pain. dyspnea. nausea & vomiting and voice change. the investigators used EORTC-QLQ mainly to evaluate QOL. FACT-An(anemia) for anemia. FACT-BMT(bone marrow transplant) for bone marrow depression were applicated generally. Conclusions It is anticipated that further investigations will be performed to develop adequate QOL scales for oriental medical anti-cancer therapy.

  • PDF

사천 가화천하구습지의 식생 및 생물상 특성: 생태계 보전 대책의 제안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Biota in the Gahwacheon Estuarine Wetland, Sacheon, South Korea: Proposals for the Ecosystem Conservation)

  • 추연수;조광진;임정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4호
    • /
    • pp.237-246
    • /
    • 2022
  • 하구습지는 생물생산성이 높고 물리적 환경도 독특하여 국가 생물다양성 관리 및 그들의 서식처 확보 관점에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하구습지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열린 하구이며 다양한 서식공간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화천하구습지의 식생 및 생물상 조사를 통해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수역 다년생 초본식생, 염습지식생, 암극지식생 등 5개 상관식생형의 12개 식물군락이 확인되었다. 남강댐 방류, 조수의 영향으로 수변부의 좁은 입지를 따라 식생이 대상분포하고 있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 포함 총 715종이 확인되었다. 다양한 하상구조와 미소서식처가 분포하고 있는 I, III구간에서 종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해수 유입에 따른 기수역의 형성으로 다양한 기능군을 가지는 멸종위기 야생생물도 분포하여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화천하구습지의 생태정보의 수집은 하구 생태계의 보전·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忠淸北道의 國民學校 廢校類型과 그 地域的 特性 (The Abolition Type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Chungbuk Province)

  • 채순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4-104
    • /
    • 1994
  • 1960년대 이후 공업화 정책의 영향으로 농어촌 지역주민의 향도이촌현상에 의한 인 구감소와 함께 학생수도 감소되어 학교의 소규모화 등장과 나아가 폐교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구감소에 따른 폐교의 유형과 그 지역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분석한 결 과 다음과 같은 점이 밝혀졌다. 1980년대 전반기에는 댐과 같은 인공시설물 건설로 인한 폐 교가 많았으나, 198O년대 후반기의 폐교는 학생수가 감소하고 10년이 지난후에 나타났으며, 경지율이 낮고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폐교가 더 빠르게 진행되었다. 그리고 폐교시설의 활용은 교사 건축년도와 관계없이 자연경관의 수려함과 접근성에 의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 PDF

피부병의 형상의학적 치료 (Treatment of Skin Diseases in Hyungsang Medicine)

  • 석민희;황원덕;정행규;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46-669
    • /
    • 2004
  • By treating skin diseases with Hyungsang medicine and reviewing the clinical cases of them through classifying skin diseases into general care and into Hyungsang medical care, the writer ca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ings. The skin is a house of Kyungnak, and it' s a place which Ki comes in and out, which human body controls conditions of his physiological function and which doctors can make a diagnosis from seeing it. The skin is subject to lung and large intestine in the point of organ, but in the point of movement, to spleen and stomach. Skin diseases come from unbalance of Ki and Hyul, mostly from fever in blood and also from Dam, Wind, Dampness and Dryness because of including fire. Generally skin diseases are treated according to classifying into distinctive symptoms, region, cause or time being occurred, and concomitant symptoms. After being divided into man and woman, age and youth, fatness and leanness, Jung Ki Shin Hyul type, visceral figures, Yukkyung shapes on Hyungsang medicine method, the remedy of skin diseases which is combined common meditation with Hyungsang medical method is efficacious. In distinguishing into man and woman, age and youth, man gets sick mainly by drinking liquor and exhausting Jung, woman is taken ill generally by indigestion and Damwha, especially by drinking liquor. Young child gets ill mostly from inherent weakness, but in many cases he is occurred by disturbed digestion, so he must be taken care of ingesting food. The aged becomes ill from weakening, so he must be treated according to reasons of diseases. To fatness and leanness, skin diseases are showed symptoms by weakened Yang, insufficient Yin or excess fever on the theory of upper and lower parts, by unbalance of Ki and Hyul on the theory of left and right, by Dryness and Dampness on the theory of front and rear and by insufficiency of vitality and combined fever on the theory of inside and outside. Therefore doctors must cure the symptoms according to the theory of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and inside and outside. In type of Jung Ki Shin Hyul, the balances between Jung-Hyul and Shin-Ki are important points. Concretely Jung type comes to easily shortage of Jung or gathering abnormally Dampness and Dam, Ki type is easy to make a mass with Ki or to be deficient of Ki, Shin type comes to press seven emotions togather or to be insufficient of Yin and fever inside, and Hyul type is inclined to be deficient of Hyul and to become feverish or to be deficient of Ki. Therefore on the ground of the above reasons skin diseases come into existence. Inclusively in Jung-Hyul type , Ki must be moved on the base of full Jung-Hyul, so Wukmijiwhangtang or Samultang is prescribed basically. In Shin-Ki type , Jung-Hyul is saved on the base of moving Ki, so Hyangsosan or Yijintang is the proper prescription. Considering the visceral figures, doctors judge for diagnosis and remedy by putting together the elements, that is, great and small sizes of a set of features (eye, ear, mouth, nose), color and temper. The yukkyung typ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many or few of Ki-Hyul, and then skin diseases appear by being inclined toward one side between Ki and hyul, or among the six atmospheric elements(wind, cold, heat, dampness, dryness, and fire). Especially because Yangmyung type is full of much Ki and Hyul, and also has much fever in stomach, he gets skin symptoms frequently. So his prescription is based on taking off fever in stomach, and also he must be careful about regimen certain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