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Life Notific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스마트 TV 생활 알리미 서비스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Smart TV Service System for Daily Life Notification)

  • 최종명;임도연;박경우;오수열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3-31
    • /
    • 2012
  • With the advance of Smart TV technologies, TV watchers can enjoy the Internet and games while watching TV programs. Besides retrieving with some keywords in the Internet, people may want to access local information such as notifications from town, messages from children's schools, shopping information from local marts, and even reminder messages for visiting from hospitals while watching TV without using web-brows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daily life notification service scenarios and its functional and non-functional requirements. Furthermore, we also propose a system that provides the notification services, consists of smart TV apps and server systems. We also introduce the system architecture and the component design of the system. Our work will help smart TV service developers because this paper will give them some service scenarios, requirements, and system architecture and its component design.

휴대용 심전도 측정기와 스마트 기기 기반의 심건강 모니터링 및 위험도 알림 시스템 (Portable Electrocardiograph and Smart Device-based Heart Health Monitoring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 조진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3-78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portable electrocardiograph and smart device-based heart health monitoring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portable electrocardiograph and a smart device for a system user, and a web-based monitoring system for observers. This system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measurement by using a light-weight portable electrocardiograph and a smart device. In addition, any authorized person such as caregiver or family member who is not related to medical institution can monitor users'heart health in real-time using the web-based monitoring system. Therefore, a user and authorized remote observers can efficiently monitor and manage user's heart health in daily-life even without any medical institution's help, and can preemptively deal with any possible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degeneration of a cardiac disorder and sudden cardiac death.

안드로이드 기반의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관리 앱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pp Development of Product Management using Barcode based on Android)

  • 김예일;서정희;박흥복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47-948
    • /
    • 2015
  • 사물 인터넷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사물에 각종 센서와 통신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물의 상태를 다양한 데이터로 분석 및 관리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논문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구매한 다양한 상품의 유통기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안드로이드 기반의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관리 앱 개발을 제안한다. 따라서 개별 상품들은 모바일 기반의 바코드로 인식되고 카테고리별로 분류된다. 그리고 유통기한 알림정보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서 상품의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 PDF

청각증강 기술 개발을 위한 청각장애인의 욕구조사: 위험상황 인식 및 의사소통 분야를 중심으로 (A Needs Assessment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for Hearing Augmentation Technology Development: Focusing on Risk Context Awareness Communication)

  • 이준우;이현아;박종미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225-2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이 경험하는 위험상황과 청각 대체기술로 사용하는 보조기기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청각증강 기술 개발의 적용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 등급을 판정받은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35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리 및 진동을 인지한 경험이 없는 상황으로 교통수단, 사물, 자연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중 교통수단의 소리와 진동을 인지하지 못한 비율이 높아 일상생활에서 청각장애인이 경험하는 위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청각장애인이 경험한 위험상황은 교통사고, 보행사고,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위험상황 인식과 알림을 위한 보조기기로 2G폰/스마트폰, 진동디지털알람시계, 경광등, 진동손목시계의 인지도가 높았으며, 2G폰/스마트폰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넷째,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기기로 보청기, 스마트폰, 영상전화기, 인공와우, 2G폰 순으로 인지도가 높았으며, 스마트폰을 사용하였을 경우 만족도와 의사소통 개선정도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청각증강 기술 개발을 위해 고려할 점으로 휴대/착용 편의성, 가격, 동작 정확도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알림 전달 방식은 시각(문자와 빛)을 활용한 알림방식을 선호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위험상황에서 청각장애인의 청각증강 기술 개발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현병 환자의 인지행동치료 기반 사례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Based Case Management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김성완;이가영;유혜영;박지현;이용성;김주완;박철;이주연;이요한;김재민;윤진상
    • 대한조현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6
    • /
    • 2016
  • Objectives :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the cas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Gwangju Bukgu-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developed and launched a smartphone application (HYM) for cognitive-behavioral case management and symptom monitoring. The development of the application involved psychiatrists, nurses, social workers, psychologists, and software technicians from a software development company (Goosl Corp.). Results : The HYM application for clients includes six main modules including Thought record, Symptom record, Daily life record, Official notices, Communication, and Scales. The key module is the 'Thought Record' for self-directed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CBT). When the client writes and sends the self-CBT sheet to the case manager, the latter receives a notification and can provide feedback in real time. 'Communication' and 'Official notices' are useful for promoting communication between case managers and clients with schizophrenia. Ratings in 'Symptom record', 'Daily life record', and 'Scales' modules are stored in graphic or table form representing changes in them and shared with case managers. Conclusion : The interactive function of this application is the key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es it from other mobile self-treatment tools. This smartphone applicat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youth- and customer-friendly case managemen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early psychosis.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Using Smartphone-Based Mobile Application for Affect and Stress Assessment

  • Yang, Yong Sook;Ryu, Gi Wook;Han, Insu;Oh, Seojin;Choi, Mona
    •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81-386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process of utiliz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 to collect data on stress and mood in daily life setting. Methods: A mobile application for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was developed and installed with a set of questions regarding momentary mood and stress into a smartphone of a participant. The application sets alarms at semi-random intervals in 60-minute blocks, four times a day for 7 days. After obtaining all momentary affect and stress, the questions to assess the usability of the mobile EMA application were also administered. Resul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7 police office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of South Korea. The mean completion rate was 60.0% ranging from 3.5% to 100%. The mean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were 18.34 of 28 and 19.09 of 63. The mean stress was 17.92 of 40.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mobile application correctly measured their affect ($4.34{\pm}0.83$) and stress ($4.48{\pm}0.62$) of 5-point Likert scale. Conclusions: Our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utilizing a mobile application to assess momentary affect and stress at repeated times. We found challenges regarding adherence to the research protocol, such as completion and delay of answering after alarm notification. Despite this inherent issue of adherence to the research protocol, the EMA still has advantages of reducing recall bias and assessing the actual moment of interest at multiple time points that improves ecological validity.

청각장애 운전자의 사용자경험에 기반한 자동차 내 청각정보 유형 분석 (Analysis of Auditory Information Types in Vehicle based on User Experience of Hearing Impaired Drivers)

  • 변재형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70-78
    • /
    • 2021
  • 청각정보는 시각에 비해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자동차 내에서 긴급한 알림이나 경고의 목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청각장애 운전자는 청각정보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이를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청각정보를 시각화할 때는 시각에 집중되는 인지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만을 선별해서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 내 청각정보의 유형 분석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운전자의 운전상황 관찰을 통해 자동차 내에서 경험하는 청각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33가지의 청각정보는 전문가 그룹에 의한 개방적 카드소팅을 통해 12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룹 간 상대적 중요도 비교를 통해 4개의 계층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자동차 내 청각정보 유형은 청각정보를 시각 또는 촉각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때 중요한 정보를 선별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운전자를 대상으로 일상에서의 실제 운전상황 관찰에 의한 사용자 경험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데 의의가 있다.

KANO-TOPSIS 모델을 이용한 지능형 신제품 개발: 차량용 음성비서 시스템 개발 사례 (KANO-TOPSIS Model for AI Based New Product Development: Focusing on the Case of Developing Voice Assistant System for Vehicles)

  • 양성민;탁준혁;권동환;정두희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1호
    • /
    • pp.287-310
    • /
    • 2022
  •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과학기술 분야 뿐만 아니라 산업의 고도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기업은 인공지능 기술의 효과적인 도입을 통한 지능형 제품 개발로 고객 경험 혁신 및 가치 창출을 실현하고자 한다. 그러나 지능형 제품은 인공지능과 같은 급진적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특성상 기존 제품과 개발 방식에 있어 차이를 나타내며, 기존 제품 개발 방법론을 그대로 적용하기에 명확한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음성비서를 예시로 기업들의 성공적인 지능형 신제품 개발을 위한 KANO-TOPSIS 기반의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KANO 모델을 통해 고객들이 신제품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을 선별 및 평가하고, TOPSIS를 통해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의 중요도를 구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새로운 기능의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분석을 위해 차량 상태 확인 및 기능 제어 요소, 주행 관련 요소, 음성비서 자체의 특성, 인포테인먼트 요소, 일상생활 지원 요소 등 주요 카테고리를 선정 및 고객 요구속성을 세분화하였으며, 분석 결과, 높은 인식 정확도가 차량용 음성비서 개발에 있어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나타났다. 운전자의 생체 정보, 사용 습관 등에 맞춤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요소는 예상과 달리 낮은 우선순위를 나타낸 반면 차량 상태 알림, 주행 보조 및 보안 등 운전자의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은 보다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요건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KANO와 TOPSIS를 결합한 우수한 모델을 통해 혁신적인 지능형 신제품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제품 개발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