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Auditory Information Types in Vehicle based on User Experience of Hearing Impaired Drivers

청각장애 운전자의 사용자경험에 기반한 자동차 내 청각정보 유형 분석

  • 변재형 (동아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1.01.14
  • Accepted : 2021.03.23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The auditory information is used for urgent notification or warning in vehicle because it is not restricted by the direction compared to the visual. However, since the hearing impaired drivers cannot recognize sound signal, various methods of visualizing the auditory information have been attempted to replace it. When visualizing auditory information, only important information should be selected and provided to prevent cognitive overload concentrated on the vision. For this purpose, analysis of the type of auditory information in vehicle should be given in advance. In this study, the types of auditory information in vehicle were analyzed based on the user experience of hearing impaired drivers.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driving behavior of hearing impaired drivers, 33 auditory informations experienced in vehicle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auditory informations were classified into 12 groups through open card sorting by an expert group, and the types of auditory information in vehicle consisting of four levels were presented through a relative comparison of importance between groups. The presented type of auditory information in vehicle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selecting important information when the auditory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visual or tacti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user experience analysis was conducted by observing actual driving in daily life of hearing impaired drivers.

청각정보는 시각에 비해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자동차 내에서 긴급한 알림이나 경고의 목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청각장애 운전자는 청각정보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이를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청각정보를 시각화할 때는 시각에 집중되는 인지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만을 선별해서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 내 청각정보의 유형 분석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운전자의 운전상황 관찰을 통해 자동차 내에서 경험하는 청각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33가지의 청각정보는 전문가 그룹에 의한 개방적 카드소팅을 통해 12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룹 간 상대적 중요도 비교를 통해 4개의 계층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자동차 내 청각정보 유형은 청각정보를 시각 또는 촉각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때 중요한 정보를 선별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운전자를 대상으로 일상에서의 실제 운전상황 관찰에 의한 사용자 경험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R. L. Henderson and A. Burg, Vision and audition in driving,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pp. 1-230, 1974.
  2. 장애인 운전면허 취득 문 열려있다(2020), http://www.imedialif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652 (accessed Oct., 15, 2020)
  3. 행정안전부, "신체상태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운전면허 및 조건부과 기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54조 제3항 별표 20, 2013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고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제2019-25호, 2019
  5. 정영기, "3D 수화교육 스마트폰 앱콘텐츠 개발,"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권, 제3호, 8-14쪽, 2012년 9월
  6. 김명윤,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디자인의 접근 사례," 스마트미디어저널, 제3권, 제1호, 46-51쪽, 2014년 3월
  7. 유용재, 황인욱, 서종만, 최승문, "모바일 기기에서의 다중 진도 신호 피드백,"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권, 제4호, 8-17쪽, 2012년 12월
  8. Digest of Motor Laws (2020), https://drivinglaws.aaa.com/?s=Wearing+headphones+or+earphones+in+both+ears (accessed Oct., 15, 2020).
  9. H. R. Booher, "Effects of visual and auditory impairment in driving performance," Human-Factors, vol. 20, no. 3, pp. 307-319, 1978. https://doi.org/10.1177/001872087802000306
  10. 박군석, 청각장애인 운전면허제도 개선방안 연구, 경찰청, 1-172쪽, 2008
  11. 오승현, 추보은, 김동호, 최훈동, 황성수, "청각장애인을 위한 소리 신호 감지 어플리케이션,"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35-738쪽, 정선, 대한민국, 2017년 2월
  12. 이세훈, 공진용, 염대훈, 강은호, 백영태, "청각장애인을 위한 사운드-시각화 및 재난 경보 웨어러블 시스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25권 제2호, 258-259쪽, 충주, 대한민국, 2017년 7월
  13. 허다경, 김창걸, 김승언, 송병섭, "청각장애 학생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음성인식 보조시스템 개발,"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70-271쪽, 부산, 대한민국, 2018년 11월
  14. 전성욱, 이정민, 김수빈, 봉진선, 강동원, 한석영, "AI를 적용한 청각 장애인 안전 보조장치," 한국생산제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8-68쪽, 평창, 대한민국, 2020년 7월
  15. 손정섭, 이은실, "청각장애인을 위한 긴급상황 경고 픽토그램 시스템 개발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제31권, 제3호, 151-163쪽, 2018년 8월 https://doi.org/10.15187/adr.2018.08.31.3.151
  16. 이지은, 허정윤, "청각장애 운전자를 고려한 청각신호 시각화 컨셉 제안,"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54-155쪽, 서울, 대한민국, 2020년 6월
  17. 김민지, 김예담, 권효은, "외부 소음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한 청각장애인 운전자 보조 장치 개발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570-571쪽, 대전, 대한민국, 2019년 6월
  18. 하재민, 최정인, "청각 장애 운전자를 위한 청각정보 인지 모델,"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705-1707쪽, 제주, 대한민국, 2019년 6월
  19. 청각장애인 운전자를 위한 기술 개발 (2019), https://news.hmgjournal.com/MediaCenter/News/Press-Releases/hmg-taxi-190107 (accessed Oct., 15, 2020)
  20. 박정순, "사용성 평가 평가참여자가 과연 몇 명이면 충분할 것인가,"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5-8쪽, 용인, 대한민국, 2006년 5월
  21. 박은정, 서종환, "카드소팅테스트를 위한 정량적인 분석 기법의 개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8권 제1호, 111-121쪽, 2008년 1월
  22.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NHTSA), Human Factors Design Guidance For Driver-Vehicle Interface, pp. 1-260,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