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cheong Dam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초

다시기 Landsat영상을 이용한 유역의 수계 변화 탐지 (Hydrosphere Change Detection of the Basin using Multi-temporal Landsat Satellite Imagery)

  • 강준묵;박준규;엄대용;이용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1-3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 유역의 수계 변화를 GIS 기반에서 정량적 정성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다시기의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대청댐 건설이후부터 근래까지 유역의 수계 변화를 탐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1년, 1987년, 1993년, 2002년에 해당하는 각각의 Landsat 위성영상에 대하여 수계, 식생, 도로 및 인공지물 등의 클래스를 지정하고 감독분류기법을 적용하여 유역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감독분류의 결과로부터 4개 시기의 위성영상 중 수계만을 추출하여 중첩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청댐 유역의 수계에 대한 시계열적 변화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대청댐 유역 굴참나무림의 군락분류학 및 군락생태학적 연구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Quercus variabilis Forest in Daecheong-dam basin)

  • 김성열;문건수;송원경;최재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5-34
    • /
    • 2021
  • Syntaxonomy and Synecology on Quercus variabilis forests in Daecheong-dam basin was carried out using the methods of Braun-Blanquet phytosociology. 6 syntaxa classified as species compositions described were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Platycarya strobilacea-Quercus variabilis community(typicum subcommunity, dictamnus dasycarpus subcommunity), Quercetum variabili-serratae, Zelkova serrat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Dendranthema boreale-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ll syntaxa were shown habitat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steep inclination of more than 30°, high rock exposure rate of more than 50% and South-facing slope. These communities excepting Dendranthema boreale-Quercus variabilis community classified as natural vegetation were identified as low emergence rate of annual plants and species compositions composed native species, so it was confirmed that relatively natural succession were proceeding well. Quercetum variabili-serratae and Dendranthema boreale-Quercus variabilis community distributed forested hillslope of open water edge were representative Quercus variabilis syntaxa in Daecheong-dam basin.

기후인자의 변화에 따른 대청댐유역의 유출민감도 모의평가 - 4th IPCC 보고서의 결과를 기준으로 - (Sensitivity Assessment on Daecheong Dam Basin Streamflow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limate Components - Based on the 4th IPCC Report -)

  • 정상만;서형덕;김형수;한규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1호
    • /
    • pp.1095-1106
    • /
    • 2008
  •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현상은 지구 전체에 걸쳐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문 변화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 유출의 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SWAT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대청댐유역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보정은 1982-1995년의 월평균 하천유량을 이용하였고 1996-2005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 변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1988-2002년을 기준시나리오 기간으로 설정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농도, 기온, 강수의 변화에 따른 총 7개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7개의 시나리오 중 배증 이산화탄소와 기온의 5.4℃ 증가를 반영하는 시나리오는 연평균 4~5%의 하천유량 증가를 예측하였고, 강수량의 변화를 반영하는 시나리오는 -42, -17, 17, 42%의 변화에 따라 -55, -24, 25, 64%의 비선형적인 하천유량 증감이 예측되었다. 기후인자의 변화를 복합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시나리오에서는 평균 12%(봄, 여름, 가을)와 63%(겨울)의 하천유량 변화를 예측하였다. 또한 유황분석 결과 대청댐유역의 유출은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기후변화는 가뭄과 홍수의 심도와 발생기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용담댐 운영이 하류 기준유량 설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ongdam Dam Operation to Level of Reference Flows Downstream)

  • 노재경;유재민;오진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72-1776
    • /
    • 2006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determining reference flows and goal water qualities in many stations over all around riverbasin to control TMDL. Reference flow is now defined to 10 years averaged 275th minimum flow$(Q_{275})$. Dam operation takes direct effect on flows downstream. The Yongdam mutipurposed dam was constructed in 2002 and TMDL managing stations between the Daecheong dam and the Yongdam dam are the Geumbon B, C, D, E, and F in main stream of the Geum river. Geumbon F is the Daecheong dam site. Observed flows are ideal to be used to set reference flows, but simulated flows are more practical to be used to set reference flows from the cause of the Yongdam dam's operation. A system for simulating daily storages of the Yongdam dam was constructed and the DAWAST model was selected to simulate daily streamflows. Analysis period was selected for 10 years from 1996 to 2005. Scenario was set as follows; Firstly, observed outflows from the Yongdam dam are used from 2002 to 2005 and the Yongdam dam does not exist from 1995 to 2001. Secondly, the Yongdam dam existed also from 1995 to 2001 and simulated outflows from the Yongdam dam are used from 1996 to 2005 with provision of constant outflow of $7.0m^3/s$ and water supply to the Jeonju region outsided watershed of $900,000m^3/day$. In case of scenario 1 reference flows at the Geumbon B, C, D, E, F are 4.52, 6.69, 7.96, 11.17, and $13.21m^3/s$, respectively. And in case of scenario 2 reference flows at the Geumbon B, C, D, E, F are 6.27, 8.48, 9.58, 12.73, and $15.12m^3/s$, respectively.

  • PDF

댐 방류조건에 따른 저수지 유속과 수온 영향 (The Effect of Current and Temperature of a Reservoir by the Simulation of Dam Outflow)

  • 유순주;하성룡;정동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060-1067
    • /
    • 2006
  • Water quality in the Daecheong reservoir has been deteriorated by algal bloom due to nutrient supply from the upstream of the Daecheong reservoir after heavy rainfall. Algal bloom is propagated from eutrophicated tributary into the main body of the reservoir according to the hydrological conditions. This study is aimed to estimate the water current and temperature effect by the simulation of dam spill flow control using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in 2003. Water current was resulted in nutrient transport from upstream of main reservoir and nutrients were delivered up to downstream by fast water velocity. Algal blooms occurred in stagnate zone of reservoir downstream as the current of downstream was retarded according to dam outflow control. Consequently water balance in stagnate zone triggered a rise of water temperature in summer. It affected algal bloom in the embayment of the reservoir. The simulation result by outflow control scenarios showed that spill flow augmentation induced in water body instability of stagnate zone so that water temperature declined. It could be suggested that outflow control minimize algal bloom in the downstream in the flooding season as long as water elevation level is maintained properly.

댐 배수조작에 따른 저수지내 탁수변화 모의 - 대청댐을 대상으로 - (Simulation of Turbid Water in the Stratified Daecheong Reservoir during Gate Operation)

  • 이재일;서세덕;이규성;하성룡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6호
    • /
    • pp.377-386
    • /
    • 2009
  • Due to severe flooding, the long-term residence of turbidity flows within the stratified Daecheong Reservoir have lengthened. A long-term residence of turbidity flows within the stratified Daecheong Reservoir after floods has been major environmental issu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to water supply from the hydrodynamics and turbidity outflow. Two gate operation scenarios were investigated. Scenario A refers to gate operations according to rainfall events, and scenario B refers to gate operations according to inflow. From the results of secenario A, the SS concentrations decreased from 0.44mg/l to 0.54mg/l at the front of the dam, whereas SS concentrations increased from 0.24mg/l to 1.24mg/l at the intake points at Munhi and Daejeon. From the results of scenario B, the SS concentrations decreased from 0.61mg/l to 0.83mg/l at the front of Dam; howeve, SS concentrations also decreased from 0.16mg/l to 0.48mg/l at the intake points at Munhi and Daejeon. It seems that it may be more efficient to control turbidity by creating additional outflows of generated discharge after intensive rainfalls than not.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금강유역의 미래 용수공급 변화전망 (Water Supply Change Outlook for Geum River Basin Considering RCP Climate Change Scenario)

  • 노선희;정관수;박진혁;류경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505-5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금강유역의 미래 유출량을 산정해 댐별 용수공급 변화량을 산정하였다. GCM은 최근 국립기상연구소가 도입한 영국기후변화 예측모델인 HadGEM2-AO를 사용하였고 새로운 온실가스 시나리오인 RCP시나리오를 금강유역내 기상관측소로 추출하였다. ArcSWAT모형을 이용해 1988년부터 2011년까지의 과거 유출모의를 수행하였으며 금강권역 내 대표 지점인 용담댐 및 대청댐 지점의 유입량과 최종 방류부의 유출량 분석값을 비교한 결과 모의치와 실측치가 각각 92.25%, 95.40%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새로운 온실가스 시나리오하에서의 미래 유출량을 분석한 결과 RCP4.5 시나리오 하에서 평균 47.76%, RCP8.5 시나리오 하에서 평균 36.52%가량 유출증가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특히 가을철과 겨울철에 증가율이 높았다. 유출변화에 따른 용수공급 변화를 전망하기 위하여 KModSim으로 물수지 모형을 구축하여 추가 취수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수안전도 95%유지조건 하에서 취수가능량을 분석한 결과, RCP4.5 시나리오 하에서 용담댐과 대청댐 각각 $9.41m^3/s$, $24.82m^3/s$가 더 취수가능하며 RCP8.5 시나리오 하에서는 $6.48m^3/s$, $21.08m^3/s$가 더 취수 가능한 것으로 전망되었다.

금강유역의 하천유지유량 산정 (stimation of River Maintenance Water in the Geum River Watershed)

  • 안상진;김종섭
    • 물과 미래
    • /
    • 제24권1호
    • /
    • pp.83-92
    • /
    • 1991
  • 본 연구는 금강유역의 주요수위표 지점에서 하천유지유량을 산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천유지 유량을 산정하는 방법에는 수요적인 측면과 공급적인 측면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하천유지유량의 개념은 평균갈수량과 환경보존유량중 큰 값으로 결정하였다. 하천유지유량의 산정에서 대청댐 상류지역은 평균갈수량으로, 대청댐 하류지역은 평균갈수량과 QUAL2E 모형으로 산정된 수질보전유량값 중 큰 값을 하천유지유량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대청댐 하류인 공주와 규암지점 모두 평균갈수량 값이 크게 나타났으며 그 값은 공주지점에서 33.82$m^3$/sec, 규암 지점은 51.51$m^3$/sec 이였다. 그러므로 금강유역의 하천유지유량의 산정은 평균갈수량으로 결정하는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토지피복도 자료원에 따른 대청댐유역 수질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Water Quality of Daecheong-Dam basin According to the Data Sources of Land Cover Map)

  • 이근상;박진혁;최연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25-3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자료원에 따른 수질특성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먼저, 비점오염부하량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별 기대평균농도(EMC)를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영상분류를 통해 대청댐유역의 토지피복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환경부 대분류 자료와 비교한 결과 88.76%의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토양도와 영상분류에 의한 토지피복도를 공간 중첩하여 유출곡선지수와 직접유출을 계산하였으며, 분석 결과 석천과 대청댐 유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접유출과 기대평균농도를 조합하여 계산한 BOD에 대한 비점오염부하량은 삼가천합류점과 소옥천하류 유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TN과 TP에 대한 비점오염부하량에서는 삼가천합류점과 봉황천하류 유역이 높게 나타났다. 영상분류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의 효용성 평가를 위해 환경부 토지피복도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과 상호 비교한 결과, 대청댐상류 유역에서 BOD, TN, TP에 대한 오염부하량의 오차가 각각 10.64%, 11.70%, 20.00%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역내 수질특성을 효과적으로 모의하기 위해서는 논과 밭이 포함된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비점오염부하량 평가에 바람직하다고 본다.

대청호 유속에 따른 조류이동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Algae Transport and Current in the Daecheong Reservoir)

  • 유순주;황종연;채민희;김상용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887-894
    • /
    • 2006
  • Water quality in the Daecheong reservoir has been deteriorated by algal bloom every year. Algal bloom is propagated from eutrophicated tributary into the main body of the reservoir during the wet season. Nutrients from diffuse sources trigger the propagation of the algal bloom.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current by the simulation and algae transport from the main body in the Daecheong reservoir including tributary where algal bloom has occurred seriously every year.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was applied to analyze water movement in draught season (2001) and flooding season (2003). The result of simulation corresponded with the observed water elevation level, 63~80 m and showed stratification of the Daecheong reservoir. In the draught season, as velocity and direction off low in the reservoir was estimated to affect algae transport including nutrient supply from small tributary, algal blooms occurred in the stagnate zone of middle stream of the reservoir. On the other hand, in the flooding season, it was resulted in nutrient transport from upstream of main reservoir and nutrients were delivered up to downstream by fast water velocity. In result, algal blooms occurred in stagnate zone of reservoir downstream as the current of downstream was retarded according to dam outflow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