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a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19초

DAA 자바 실험모듈 구현을 통한 모바일 DAA 모델 설계 (Design of a Mobile DAA Model through Java Test Module for the DAA Protocol)

  • 양석환;이기열;정목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8호
    • /
    • pp.773-777
    • /
    • 2008
  • 오늘날의 모바일 장비들은 무작위로 움직이는 이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보안에 대한 다양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모바일 장비에 대한 보안기술과 인증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하여 TCG(Trusted Computing Group)에서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동시에 강력한 인증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안칩에 해당하는 TPM(Trusted Platform Module)을 설계하고 영지식 증명을 이용한 DAA(Direct Anonymous Attest처ion)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를 이용하여 DAA 프로토콜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서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모바일 DAA 모델을 제시한다.

Improvement of Ultra-wideband Link Performance over Bands Requiring Interference Mitigation in Korea

  • Rateb, Ahmad M.;Syed-Yusof, Syarifah Kamilah;Fisal, Norsheila
    • ETRI Journal
    • /
    • 제32권1호
    • /
    • pp.44-52
    • /
    • 2010
  • Ultra-wideband (UWB) systems have witnessed a debate over whether they may cause interference to other existing and future narrowband systems sharing their band of operation. The detect and avoid (DAA) mechanism was developed as a solution to reduce interference to narrowband systems in order to ease regulatory concerns. It works by adaptively reducing the transmitted power at the overlapping bands upon detecting an active narrowband link. However, employing DAA degrades the performance of UWB transmiss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Korean UWB regulations as an example of regulations that require DAA in certain bands. We investigate DAA's impact on performance and propose a method to mitigate it, which provides UWB with the more efficient support of the DAA mechanism and enables it to avoid a larger number of narrowband users while sustaining the data rate. Results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rformance with the application of our technique compared to conventional performance.

LTE 기반 모바일 DaaS 환경에서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Linux TCP 구현물의 실험적 성능 분석 (An Experimental Analysis of Linux TCP Variants for Video Streaming in LTE-based Mobile DaaS Environments)

  • 성채민;홍성준;임경식;김대원;김성운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41-255
    • /
    • 2015
  • Recent network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evolved to cloud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echnologies. Furthermo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on mobile cloud computing due to explosive growth of smart devices and wide deployment of LTE-based cellular networks. Thus mobile Desktop-as-a-Service(DaaS) could be a pervasive service for nomadic users. In addition, video streaming traffic is currently more than two-thirds of mobile traffic and ever increasing. All such trends enable that video streaming in mobile DaaS could be an important concern for mobile cloud comput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 on cloud host servers greatly affects Quality of Service(QoS) of video streams for mobile users. With widely deployed Linux server platforms for cloud computing, in this paper, we conduct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twelve Linux TCP variants in mobile DaaS environments.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TCP Illinois outperforms the other TCP variants in terms of wide range of packet loss rate and propagation delay over LTE-based wireless links between cloud servers and mobile devices, even though TCP CUBIC is usually used in default in the current Linux systems.

원유내 내냉성 미생물의 오염에 따른 유리 D-amino acid의 생성 (Production of Free D-amino Acids in Raw Milk Related to Psychrotrophic Bacterial Contamination)

  • 김철현;송영민;백승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91-96
    • /
    • 2004
  • 유단백질에서 유래된 아미노산은 주로 L-이성체의 형태로 존재하나 일부 미생물 세포벽의 구성성분과 일부 항생물질내 D-amnio acid(DAA)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이는 유제품의 품질저하와 연관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품질저하와 연관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내냉성미생물 P. fluorescens와 P. putida에 의한 DAA 생성에 관해 실험하였다. 상업용 혼합 유산균주인 ABT-C를 접종하여 발효시간대별로 free D-amino acid를 분석하였으며, 실험결과 전체적인 DAA 함량은 매우 낮은 수준이고, 특히 발효시간대별 변화가 크게 없어 유산균의 증식에 의한 DAA의 생성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일부 L-amino acid의 경우 유산균의 생육에 이용되는데 DAA의 경우 발효시간대별 함량이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유산균의 이용성 역시매우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원유에서 분리한 P. fluorescens와 P. putida를 접종하여 배양시간대별로 free D-amino acid를 분석하였으며 실험결과 두 처리구 모두 배양시간에 따라 DAA의 생성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 putida의 경우 P. fluorescens에 비해 D-Pro의 증가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4종은 P. fluorescens에 의한 생성량이 더욱 높게 나타났고, 특히 유해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D-Asp 및 D-Ala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DAA는 내냉성미생물에 의한 품질저하 지표로서 이용가능성과 더불어 인체의 유해성에 대한 위험성을 배제하는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서비스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빈도수 기반의 추론공격 방지를 위한 인덱싱 기법 (An Indexing Method to Prevent Attacks based on Frequency in Database as a Service)

  • 정강수;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8호
    • /
    • pp.878-882
    • /
    • 2010
  • 데이터의 소유권이 외부 업체로 이양되는 DaaS 모델은 신뢰할 수 없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데이터 누출의 위험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복수 개의 칼럼으로 이루어진 암호화 된 테이블의 인덱스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추론 공격을 분석하여 b-anonymity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또한 데이터의 인덱싱에 R+-Tree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인덱스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탐률 (False-positive)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보장하였다.

사설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데스크탑 가상화 구현 및 분석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Desktop Virtualization using Private Cloud Computing)

  • 배유미;정성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82-488
    • /
    • 2012
  • 학교나 학원의 컴퓨터 교육 환경은 개인별로 한 대의 PC(Personal Computer)를 할당 받아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더 많은 PC의 확충이 필요하다. PC가 늘어남에 따라 관리의 어려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 비용 증가, 공간의 확충, 전력 소모 증가 등 다수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장하게 된 기술이 멀티 컴퓨터, 데스크탑 가상화, DaaS(Desktop as a Service)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사설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데스크탑 가상화를 위한 시스템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발효노니 다당체 분말의 deacetylasperulosidic acid, 총당 및 단당류 분석법 검증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Deacetylasperulosidic acid, Total Sugar and Monosaccharide Analysis in Fermented Morinda citrifolia Polysaccharide Powder)

  • 권희연;최지수;김수진;김은민;엄지현;김보경;이재연;김용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16-224
    • /
    • 2022
  • 본 연구는 발효노니 다당체 추출물(Vitalbos)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DAA, 총당 함량, 단당류 3종(galacturonic acid, glucose 및 galactose)을 지표성분으로 설정하고, 지표성분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법 설정 및 검증을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에 보고된 분석법 검증 방법을 수정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를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페놀-황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DAA 및 단당류 3종의 표준용액과 Vitalbos의 머무름 시간이 일치하였으며 스펙트럼 또한 동일하여 분석법의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지표성분의 검량선 상관계수(R2)는 0.9995-0.9998 범위로 0.99 이상의 우수한 직선성을 나타냈다. Intra-day 및 inter-day 정밀도는 0.14-3.01%의 범위로 5% 미만의 우수한 정밀도를 나타냈고 회수율은 95.13-105.59% 범위에서 우수한 정확도를 보였다. DAA 분석의 LOD와 LOQ는 각각 0.39 ㎍/mL 및 1.18 ㎍/mL이었으며 총당 함량의 LOD 및 LOQ는 각각 0.84 ㎍/mL 및 2.55 ㎍/mL로 측정되었다. 단당류 3종에 대한 LOD는 0.48-0.81 ㎍/mL의 범위였으며, LOQ는 1.45-2.44 ㎍/mL 범위에서 정량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법 검증 결과,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및 정확성 모두 우수한 분석법임을 검증하였으며, LOD와 LOQ 또한 Vitalbos 분석에 적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Vitalbos의 지표 성분 함량을 측정하였을 때, DAA, 총당 함량, galacturonic acid, glucose 및 galactose의 함량은 각각 2.31±0.06 mg/dry weight g, 475.92±5.95 mg/dry weight g, 72.83±1.05 mg/dry weight g, 71.63±2.44 mg/dry weight g 및 67.30±2.31 mg/dry weight g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분석법을 사용했을 때 Vitalbos의 지표성분 3종에 대하여 우수한 재현성으로 정량분석이 가능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품질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QoS Based IrDA in Mobile Phones

  • Kim Jong Sung;Yoon Sang Sub;Chun Byung Sik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528-531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QoS based IrDA in mobile phones. The IrDA standards have arised from the need to connect various mobile devices together. But currently, we have a difficult to connecting various mobile devices together. The difficult thing is to adjust the minimum turn around time. The minimum turn around time in IrDA deals with the time needed for a receiver circuit to recover following saturation by transmissions from the same device (turn around latency). This parameter corresponds to the required time delay between the last byte of the last frames sent by a station and the point at which it is ready the first byte of a frame from another station. This parameter comes into play when the link is turned around and is negotiated independency for each station. We solve this matter by using the Dynamic Adjustment Algorithm (DAA). The dynamic adjustment algorithm adjusts the minimum turn around time according to the numbers of devices. We apply our direct adjustment algorithm to our QoS based IrDA in mobile phones and show the improved performance of connection with various mobile phones together.

  • PDF

LLC/MAC 계층 구조에서의 정보 보호 포로토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curity Protocol in LLC/MAC Layer Architecture)

  • 류황빈;이재광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164-1174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LLC/MAC 계층 구조에서의 정보 보호 프로토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근거리 통신망에서의 정보 보호 위협과 취약성, 이의 해결을 위한 요구 서비스, 그리고 IEEE 802 근거리 통신망 구조에서의 정보 보호 프로토콜의 적용 대한을 기술하였다. 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LLC/MAC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이용한 정보 보호 프로토콜 (SP2 : Security Protocol 2) PDU 구성을 제안하였으며, SP2 프로토콜을 구성하기 위하여 DES 알고리즘의 ECB, CBC 모드와 FIPS의 DAA를 이용하였다. 제안된 SP2프로토콜은 데이타 발신처 인증, 데이타 비밀유지, 데이타 무결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