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T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4초

이중목 노즐에서 발생하는 초음속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ersonic Flow Characteristics Through a Dual Throat Nozzle)

  • 신춘식;김희동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7
    • /
    • 2010
  • 최근 이중목 노즐(Dual Throat Nozzle, DTN)을 사용하여 추진체의 추력을 제어하는 방 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중목 노즐은 공동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노즐 목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본 연구에서는 DTN의 기초 유동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노즐압력비와 노즐목 면적비를 변화시켰다. 수치해석에서는 축대칭, 압축성 Navier-Stokes방정식을 풀기 위하여, 유한체적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수치해석은 실험결과를 잘 예측하였으며, DTN의 성능을 추력계수와 유출계수의 항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중목 노즐을 이용한 추력벡터 제어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f Thrust-Vector Control Using a Dual Throat Nozzle)

  • 신춘식;김희동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39-342
    • /
    • 2010
  • 최근 이중목 노즐(Dual Throat Nozzle, DTN)을 사용하여 추진체의 추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중목 노즐은 공동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노즐 목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본 연구에서는 DTN의 유동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2차유동의 질량 유량을 변화시켰다. 수치해석에서는 2차원, 압축성 Navier-Stokes방정식을 풀기 위하여, 유한체적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수치해석은 실험결과를 잘 예측하였으며, DTN을 이용한 추력벡터 제어는 추력계수와 유출계수의 항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 PDF

DTN에서 UAV 편대를 이용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 (Efficient Network Structure Using UAV Squad In DTN)

  • 도윤형;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07-90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DTN에서 UAV 편대를 이용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 MANET에서 불안정한 종단간 연결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DTN은 Store-Carry-Forward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Store-Carry-Forward 방식의 통신은 종단간의 연결 없이도 중계 노드가 확보되면 번들 계층을 통해 메시지를 저장하여 목적 노드까지 손실 없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러한 라우팅 구조는 재해재난 상황이나 전쟁 지역과 같이 네트워크 기반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에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런 연구의 일환으로 UAV 편대를 이용하여 유동적인 환경에서 더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센서로써 작동하는 이질적인 노드들의 환경 정보 이용해 UAV 분대를 조직하여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 PDF

이동성 정보를 이용한 DTN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Mobility Information based Routing for Delay and Disruption Tolerant Network)

  • 장덕현;심윤보;김길수;최낙중;류지호;권태경;최양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6권2호
    • /
    • pp.130-136
    • /
    • 2009
  • Delay and Disruption Tolerant Network (DTN)은 지속적인 종단간 연결성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으로 인해 store and forward 방식의 메시지 전달을 기본으로 하는 네트워크이다. 일반적인 네트워크와 달리 상대적으로 긴 전송 지연 시간, 불안정한 링크 연결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기존 TCP/IP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힘들다. 따라서 최근에 DTN을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동 노드의 상대적인 방향차이 또는 이동 노드의 목적지 등과 같은 이동성 정보를 이용한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방식을 통해 DTN의 특성을 잘 반영하면서도 기존에 제안된 기법에 비해 전송 확률과 지연 시간, 오버헤드 측면에서 향상된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를 검증한다.

DTN과 MANET이 혼재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뢰성있는 메시지 전송 기법 (Reliability Message Transmission Scheme for Mixed DTN and MANET Environment)

  • 박종권;이준;홍충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D)
    • /
    • pp.375-379
    • /
    • 2010
  • Delay-Disruption Tolerant Network(DTN)는 stored-and-forward를 통한 비대칭 통신을 하며 이러한 통신에 적합한 라우팅을 고려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되고 있다. 이러한 라우팅은 Bundle layer에 스토리지를 두어 종 단간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메시지를 보존 할 수 있으며, 현재 이러한 DTN의 특징을 Mobile Ad-hoc Network(MANET)에 적용하여 노드의 이동성을 보다 다이나믹하게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이 잦은 지역에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MANET과 DTN 의 특징이 적용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AODV 라우팅 테이블 안에 Score를 두어 경로 재탐색이나 메시지 전송이 반복될 경우 Score 값을 기준으로 보다 우월한 노드를 찾을 수 있게 하였다.

  • PDF

이동 예측 기반의 DTN 라우팅 알고리즘 (Delay tolerant network routing algorithm based on mobility prediction)

  • 도윤형;오영준;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2-523
    • /
    • 2013
  • Delay Tolerant Network (DTN)란 노드 간 통신의 지연 시간이 길고 연결 단절이 자주 일어나는 네트워크 상황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DTN은 노드들 간의 연결 정도의 강약을 파악하여 연결 정도가 높은 노드를 통해 목적 노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노드들의 움직임이 빠르고 서로간의 거리가 멀어 지속적인 종단 간 연결성이 보장 되지 않는 상황일 때 DTN을 사용하면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이때 이 노드들의 움직임을 예측 할 수 있다면 더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이 가능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 노드의 속도와 목적지 등과 같은 이동성 정보를 이용해 노드의 위치를 예측하여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 경로를 결정하는 이동 예측 기반의 DT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Mobility Strategy Sharing Location Service Protocol을 발전시켜 위치 정보 업데이트의 오버헤드를 최소화한다.

  • PDF

이중목 노즐을 이용한 추력벡터 제어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f Thrust-Vector Control Using a Dual Throat Nozzle)

  • 신춘식;김희동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25-30
    • /
    • 2010
  • 최근 이중목 노즐(Dual Throat Nozzle, DTN)을 사용하여 추진체의 추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중목 노즐은 공동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노즐 목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본 연구에서는 DTN의 유동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2차 유동의 질량유량과 노즐 압력비를 변화시켰다. 수치해석에서는 2차원, 압축성 Navier-Stokes 방정식을 풀기 위하여, 유한체적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수치해석은 실험결과를 잘 예측하였으며, DTN을 이용한 추력벡터 제어는 추력계수와 유출계수의 항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택시 이동 모델을 사용한 근무일 이동에서 DTN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f a DTN routing protocol in the working day movement using a taxi movement model)

  • 오상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265-270
    • /
    • 2014
  • ONE 시뮬레이터로 구현된 근무일 이동 모델은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실제와 비슷한 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근무일 이동 모델은 교통수단 중에 택시 이동 모델은 누락되어 있다. 그래서 선행 연구로 택시 이동 모델을 ONE 시뮬레이터로 구현하였다. ONE 시뮬레이터 안에서 라우팅 프로토콜의 실험결과는 이동 모델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ONE 시뮬레이터에 택시 이동 모델을 이용하였을 때, 전염 라우팅 프로토콜과 같은 DTN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 평가 결과를 분석한다.

DTN에서 효율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한 확률적 중계 노드 선택 기법 (Stochastic Method of Relay Node Selection for Efficient Message Forward in DTN)

  • 도윤형;신동렬;김면식;오영준;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5-10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DTN(Delay Tolerant Network) 환경에서 효율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해 확률적으로 중계 노드를 선택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DTN은 종단 간 연결이 불확실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Store-Carry-Forward 방식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목적 노드에 전달한다. 또한 종단 간 연결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중계 노드를 통해 메시지를 목적 노드에 전달하여 높은 전송률을 보장한다. 하지만 에피데믹(Epidemic) 라우팅이나 Spray and Wait 라우팅과 같은 기존 다중 복사 라우팅 알고리즘은 접촉한 모든 노드에게 메시지를 복사하여 메시지 복사로 인한 오버헤드가 높아진다. 반면에 PROPHET 라우팅과 같은 단일 복사 알고리즘은 적은 오버헤드를 발생시키지만 중계 노드 수 감소로 인한 메시지 전송률 감소 현상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 DTN 라우팅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확률적으로 노드 분포를 분석하여 현재 네트워크에 효율적인 메시지 복사 방식을 선택하여 작동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 DTN 라우팅 알고리즘과 오버헤드와 전송률을 비교하여 더 효율적임을 증명한다.

  • PDF

DTN에서 Hybrid Spray and Wait 라우팅 프로토콜 (Hybrid Spray and Wait Routing Protocol in DTN)

  • 현성수;정현진;최승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3-62
    • /
    • 2014
  • DTN(Delay/Disruption Tolerant Network)은 행성과 행성 간의 통신, 행성과 인공위성과의 통신과 같이 종단 간 연결이 보장되지 않고, 빈번한 연결 부재가 발생하고 기존 인터넷 인프라가 충분히 갖춰지지 않는 네트워크에 적합한 차세대 네트워크이다. 본 논문에서는 DTN 환경에서의 노드 간에 접촉한 기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만나는 것을 확인하고, 향후 만나는 시간을 예측하여, 예측한 시간을 토대로 메시지를 누구에게 보내야 효율적인지를 선별하여, 메시지를 보내도록 한다. 또한 기존 라우팅 기법인 Spray and Wait 라우팅을 선별된 노드에게 적용하는 Hybrid Spray and Wait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헬싱키 대학의 ONE(Opportunistic Network Environment) Simulator를 이용하여 이를 실험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전달성공률을 Binary Spray and Wait 라우팅의 성능과 비교하였고, 10% 적은 오버헤드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불필요한 메시지의 복사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