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SP ceme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DSP 시멘트를 이용한 중금속 이온의 고화 (The Solidification of the Heavy Metal Ion by Using DSP Cement)

  • 소정섭;최상홀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889-894
    • /
    • 1996
  • This study was subjected to the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using DSp cement. Heavy metal Cr and Pb ions were mixed with cement paste and hydration behavior and leaching property by heavy metal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Cr ion accelerated the early hydration of the cement and has no accelerating effect in later hydration period. However Pb ion retarded the hydration of the cement for a early hydration periods. As a result of leaching test the quantity of leachant has a very low value and the influence of leached heavy metal effected on the environments is very weak.

  • PDF

시멘트 경화체의 강도특성에 미치는 혼합재료의 영향 (Effects of Blending Materials on the High Strength of Hardened Cement Paste)

  • 추용식;김정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536-1544
    • /
    • 1994
  • DSP technique was applied to improve the high strength characteristics of hardened cement paste using pozzolan materials as blending materials, and pozzolan reactivity was investigated. Pozzolanic materials such as diatomaceous earth, fly ash and hydrated silica were used as blending material. And also superplasticizer was added to cement for molding the specimens. After curing for 60 days, the specimens substituted with 10 and 15 wt% of diatomaceous earth showed better strength characteristics than the specimen with fly ash. The specimen substituted 7 wt.% of hydrated silica exhibited excellent strength with above 800 kg/$\textrm{cm}^2$.

  • PDF

비글견에서 DSP 유도 합성 펩타이드를 이용한 직접 치수 복조술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evaluation of direct pulp capping with DSP-derived synthetic peptide in beagle dog)

  • 김재훈;홍준배;임범순;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20-1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DSP (dentin sialoprotein)에서 유래된 합성 펩타이드를 동물실험 모델에 적용하여 치수노출 부위에서 상아질 재생을 확인하고, 기존 치 수복조제와의 성능 비교를 통해 새로운 치수복조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6마리 비글견의 73개의 치아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치수를 노출하고 직접 치수 복조술을 시행하였다. 사용한 치수복조제는 (1) $Ca(OH)_2$ (CH군) (2) DSP유도 합성 펩타이드 (PEP군) (3) 합성 펩타이드와 $Ca(OH)_2$ 혼합제 (PEP+CH군) (4) White MTA (WMTA군) 이다. 노출된 치수에 치수복조제를 적용한 후 와동은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로 충전하였다. 시술 후 2주, 1 개월 및 3개월에 각각 2마리씩 비글견을 희생시키고 조직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은 H&E 염색 후 광학 현미경으로 치수 염증 반응과 경조직 형성 정도를 관찰하였다. PEP군에서는 17개의 시편 중 3 개의 시편에서만 경조직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시편에서 적절한 치수 회복을 관찰할 수 없었다. PEP군은 CH군에 비해 심한 염증반응을 보이고, 경조직 형성은 불량하였다. CH군과 WMTA군은 기계적으로 노출된 치수에서의 염증반응과 경조직 형성에 있어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