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초

한반도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영상기반 식생가뭄반응지수 (VegDRI)의 활용 (Satellite-Based 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in Korea (VegDRI-Korea) for Drought Monitoring)

  • 남원호;;;홍은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2-382
    • /
    • 2017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뭄 재해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의 경우 가뭄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관 기간에서 가뭄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가뭄지수를 공간지도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기상청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등에서 기상/수문/농업관련 가뭄지수의 위험지도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각 지표별로 수문기상학적 특징과 용수공급시설 및 수요공급의 이수상황 등을 고려하여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제공되고 있는 가뭄지수의 공간분포는 지점 자료를 기반으로 내삽기법 (interpolation)을 통해 재 산정된 지도로 공간 해상도 측면에서 조악한 해상도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 공간적으로 특성이 동일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한 가뭄모니터링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생 정보 및 기후 정보 생물물리학적 정보를 활용한 식생가뭄반응지수 (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in Korea VegDRI-Korea)를 제시하고 국내의 적용성 검증을 위하여 국내 주요 가뭄 사상을 대상으로 시공간적 가뭄상황을 분석하였다. 식생가뭄반응지수는 유역단위 또는 행정구역 단위별로 실시간 가뭄 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고해상도 위성영상 기반의 가뭄지수로써 향후 한반도 전역의 가뭄모니터링 및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가뭄예상지역 판단에 대한 의사결정지원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공간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뭄 모니터링 체계 구축 (Development of drought monitoring system using spatial information big data)

  • 남원호;이희진;박창균;감종훈;이호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1-331
    • /
    • 2023
  • 일반적으로 가뭄을 해석하기 위하여 가뭄심도, 빈도, 피해면적 및 기간의 영향 등을 고려한 가뭄지수를 이용하며, 이러한 가뭄지수는 주로 지점자료 기반 지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한다. 하지만 지점자료 특성상 미계측 지역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취득이 어렵기 때문에 미계측 지역에 대한 가뭄 분석의 한계가 발생한다. 다양한 계측기반의 지상센서들이 확충되면서 통계학적 기법기반 공간분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정확한 가뭄평가 자료가 추가 및 개선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기술을 활용하여 지점자료의 한계를 극복한 격자기반의 공간정보를 표출함으로써 새로운 가뭄모니터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지상관측자료로 가뭄을 판단하기 어려운 미계측 지역에 대한 가뭄 판단 및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원격탐사기술을 활용한 공간정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한다. 미국 국립가뭄경감센터에서 제시한 식생가뭄반응지수 (VegDRI, 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는 식생지수, 기상학적 가뭄지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생물물리학적 정보를 통합한 하이브리드 가뭄지수로 가뭄과 관련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가뭄을 판단하는 지표이다. VegDRI 산정을 위하여 ERA5의 격자기반 강수자료, MODIS 센서 기반 식생지수 등 격자기반의 공간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전처리 모듈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표준강수지수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비교를 통해 VegDRI의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국내 가뭄사례에 적용하여 적절한 가뭄 판단지표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역적 용수공급능력을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 위험도 평가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 Risk Considering Regional Water Supply Capacity)

  • 김지은;유지수;이주헌;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2-152
    • /
    • 2020
  • 가뭄은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특징으로 인해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피해를 야기한다. 즉, 가뭄으로 인한 댐의 용수 공급 부족은 공업·농업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생활에도 상당한 피해를 미친다. 하지만, 가뭄으로 인한 지역의 피해정도는 해당 지역의 특성 또는 가뭄에 대한 지역의 대처 능력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가뭄에 의한 피해를 저감시키고 안전한 용수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역의 특성 및 용수 공급 체계를 고려한 위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람들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은 물수급 관련 인자들을 고려하여 가뭄의 잠재적 영향 및 피해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가뭄 위험도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용수공급 및 수요 현황을 반영한 가뭄 노출성 및 취약성 평가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각 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는데 설문조사 또는 단순평균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수공급 체계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고 객관적인 가중치 산정방안이 적용된 확률·통계적 가뭄 위험도를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용수공급 실패 사상의 발생 확률이 적용된 결합가뭄관리지수(Joint Drought Management Index, JDMI)를 통해 가뭄노출성지수(Drought Hazard Index, DHI)를 산정하고, 각 인자에 대한 영향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가우스 혼합 모델을 활용하여 가뭄취약성지수(Drought Vulnerability Index, DVI)를 산정하였다. 이 두 지수를 결합하여 가뭄위험도지수(Drought Risk Index, DRI)를 계산하고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충청지역에 적용한 결과, DHI는 용수공급 실패 사상의 발생확률이 큰 보령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VI는 농업적 요소의 가중치가 크게 산정됨에 따라 청주시가 가장 높게 산정되었다. DHI와 DVI가 결합된 DRI의 경우는 청주시가 가장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DRI가 가장 높은 청주시는 충정 지역의 가뭄 위험 경감을 위한 대응 수립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PDF

Resin infiltrant protects deproteinized dentin against erosive and abrasive wear

  • Ana Theresa Queiroz de Albuquerque;Bruna Oliveira Bezerra;Isabelly de Carvalho Leal;Maria Denise Rodrigues de Moraes;Mary Anne S. Melo;Vanara Florencio Passos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7권3호
    • /
    • pp.29.1-29.10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erosive/abrasive effect of resin infiltration of previous deproteinized dentin. Materials and Methods: Dentin slab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n = 15): Control (no deproteinization; no resin infiltrant applied), RI (no deproteinization; resin infiltrant applied), and DRI (deproteinization; resin infiltrant applied). After undergoing the assigned treatment, all slabs were subjected to an in vitro cycling model for 5 days.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citric acid (0.05 M, pH = 3.75; 60 seconds; 3 times/day) and brushed (150 strokes). Between the challenges, the specimens were exposed to a remineralizing solution (60 minutes). The morphological alterations were analyzed by mechanical profilometry (㎛)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Data were submitted to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ukey tests (p < 0.05). Results: Control and RI groups presented mineral wear and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each other (p = 0.063). DRI maintained a protective layer preserving the dentin (p < 0.001). After erosive/abrasive cycles, it was observed that in group RI, only 25% of the slabs partially evidenced the presence of the infiltrating, while, in the DRI group, 80% of the slabs presented the treated surface entirely covered by a resin-component layer protecting the dentin surface as observed in SEM images. Conclusions: The removal of the organic content allows the resin infiltrant to efficiently protect the dentin surface against erosive/abrasive lesions.

콜린의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제정 검토를 위한 문헌 고찰 및 향후 과제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tasks necessary to establish of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choline)

  • 심유진;박재희;이윤정;박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2호
    • /
    • pp.211-226
    • /
    • 2022
  • 콜린은 세포막의 구조적 완전성, 메틸 대사, 아세틸콜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 합성, 세포막 (인지질, phospholipids) 투과 신호전달, 지질 및 콜레스테롤 운반과 대사 등에 있어서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중요한 영양 성분이다. 콜린은 체내 합성이 가능하지만 요구량을 만족시키기에 불충분하므로 식사를 통해 섭취해야 한다. 미국/캐나다, 호주/뉴질랜드, 유럽, 중국, 대만 등에서는 콜린 충분섭취량과 상한섭취량이 제정되었으나, 일본은 콜린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콜린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 제정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도 2020년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 제·개정 연구에서 콜린의 제정 여부를 검토하였으나 여전히 우리나라 식품을 대상으로 한 콜린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콜린 섭취량 조사 등의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콜린 섭취기준의 제정은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2020년 DRI 개·제정을 위한 준비 작업의 일환으로 콜린 섭취량과 질병발생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1949년부터 최근까지 보고된 문헌검색, 평가 및 문헌요약 작업을 통해 차후 콜린 DRI 제정을 위한 근거를 마련한 것은 본 사업의 성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RCT, 코호트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및 단면적 관찰 연구를 통해 충분한 양 (400-500 mg/day)의 콜린섭취는 간기능 손상 (지방간), 신경관손상, 심혈관질환 및 유방암 예방의 효과 및 인지기능 개선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반면, 높은 수준의 콜린 섭취가 오히려 전립선암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부정적인 연구결과도 있었다. 현재로서는 콜린 섭취와 건강결과와의 상관성을 결론짓기에는 연구결과들이 일관성이 부족하고 매우 제한적이고 더욱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콜린 섭취와 건강결과와의 관련성을 조사한 논문은 전무한 실정이므로 콜린 DRI 제정을 위해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충분한 임상실험 결과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부산지역 일부 노인들의 신체조성, 신체활동수준, 기초대사량 및 에너지소비량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Activity Level, Basal Metabolic Rate, and Daily Energy Expenditure of Elderly in Busan)

  • 임화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8-189
    • /
    • 2016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assess body composition, physical activity level (PAL), basal metabolic rate (BMR), and daily energy expenditure (DEE) an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PAL and body composition, BMR, and DEE of elderly in Busa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226 elderly aged 65-93 years.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by Inbody 720. PAL was calculated by daily activity diary. BMR was calculated by Harris-Benedict (H-B) formula,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 formula, and Inbody 720 measurement. DEE was calculated by H-B formula, DRI formula, Inbody 720 measurement, and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EER) formula. Results: The mean fat free mass (FFM) in elderly 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elderly women (p<0.001). The mean percent body fat and fat mass (FM) in elderly women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elderly men (p<0.001, p<0.001). The mean PAL in elderly men (1.5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elderly women (1.53) (p<0.001). The mean DEEs calculated by 3 methods except for H-B formula in elderly men were higher than EER for elderly men (2000kcal). The mean DEEs calculated by 4 different methods in elderly women were higher than EER for elderly women (1600kcal). Ag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height (p<0.001, p<0.001), FFM (p<0.001, p<0.001), BMRs calculated by H-B formula (p<0.001, p<0.001), DRI formula (p<0.001, p<0.001) and Inbody 720 measurement (p<0.05 p<0.01) and DEEs calculated by H-B formula (p<0.001, p<0.001), DRI formula (p<0.001, p<0.001), Inbody 720 measurement (p<0.05, p<0.05), and EER formula (p<0.001, p<0.001) in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PAL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FFM (p<0.05), BMR by Inbody 720 measurement (p<0.05) in elderly men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FM (p<0.05) in elderly wome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PAL was associated with greater FFM in elderly men and lesser FM in elderly women.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promotion in late life is needed in the elderly.

폐기물을 보조연료로 이용한 환원철 제조 및 환원거동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duced Iron by Using Wastes as Auxiliary Fuels)

  • 제현모;김경석;추용식;노동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1호
    • /
    • pp.47-5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원 재활용 및 생산비용 절감을 위해 폐기물을 국내 저급 철광석의 고품위 환원철(Direct Reduction Iron, DRI) 제조를 위한 보조연로로 사용하였으며, 폐기물이 환원철 제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석탄을 주연료 및 환원제로 사용하였으며, 폐기물을 보조연료로 사용하여 주연료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폐기물의 성상 및 발열량 분석을 통하여 연료 및 환원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선별된 폐기물은 보조연료로 이용하여 반응온도 및 시간 제어를 통해 고품위 환원철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환원철은 금속화율 측정을 통해 산화철이 Fe 금속으로 환원이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환원철의 금속화율은 폐기물의 발열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발열량과 휘발분 함량이 높은 페타이어와 폐비닐의 경우 $1,200^{\circ}C$에서 1시간 반응 조건에서 폐기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보다 더 높은 금속화율이 관찰 되었다. 고발열량의 휘발성 폐기물은 연료로써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며, 반응온도 및 시간의 최적화를 통해 고품위 환원철 제조를 위한 보조연료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New Approaches to Assessing Nutrient Intakes Using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 Murphy, Suzanne P.
    • Nutritional Sciences
    • /
    • 제6권1호
    • /
    • pp.48-52
    • /
    • 2003
  •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are new nutrient intake standards that are being set for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here are currently four types of DRI's: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EAR),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RDA), Adequate Intakes (AI), and Tolerable Upper Intake Levels (UL). The EAR is the nutrient intake that would be adequate for about half the population, while intake at the RDA should be adequate for 97-98% of the population. When the data are insufficient to set an EAR and RDA, then an AI is set. The UL is the highest intake level that does not pose a risk of adverse effects. The EAR, AI, and UL may be used to assess intakes of both individuals and of groups of people. For individuals, the EAR is used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that intake is inadequate, the AI is used to decide if the probability of inadequacy is low, and the UL is used to determine if a risk of excess intake is present. For groups. the EAR is us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inadequacy, the AI is used to decide if the prevalence of inadequacy is low, and the UL is us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excessive intakes. Because this approach to setting and applying nutrient standards is new, research recommendations include improving estimates of risk, improving dietary data, and improving statistical methods.

Analysis of micromineral contents of school meals

  • Shin, Dongso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4호
    • /
    • pp.439-444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Korean ordinary diets are referred to be good for human health in worldwide. However it is uncertain whether they provide microminerals enough for growth and health of teenagers. A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icromineral contents in school meals. MATERIALS/METHODS: The fifty cuisines were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in Gyeongnam area. The contents of Fe, Zn, Cu and Mn among microminerals were analyzed by using ICP-OES method. Data were expressed a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range value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RESULTS: Fe level of Pangibuseotpaprika-salad was the highest among side-dishes (average $346.6{\mu}g$) and Zn level of Sullung-tang was highest among soups (average $229.1{\mu}g$). Cu level of Buchu-kimchi was the highest among kimchies (average $217.5{\mu}g$) and Mn level of Gumeunkongyangnyum-gui was highest among side-dishes (average $198.4{\mu}g$). Generally cooked-rices as main dish had relative smaller amounts of microminerals than the other cuisin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Cu : Fe : Zn was approximately 12 : 4 : 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e versus Zn or Fe versus Cu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NCLUSION: Comparing to Korean Dietary Recommended Intakes (KDRI) level, school meals provided not sufficient amount (<25% DRI) of Fe, Zn or Mn, while they did excessive amount (>125% DRI) of Cu.

Optimization of adipogenic differentiation conditions for canine adipose-derived stem cells

  • Kim, Jong-Yeon;Park, Eun-Jung;Kim, Sung-Min;Lee, Hae-Jeu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4호
    • /
    • pp.53.1-53.13
    • /
    • 2021
  • Background: Canine adipose-derived stem cells (cADSCs) exhibit various differentiation properties and are isolated from the canine subcutaneous fat. Although cADSCs are valuable as tools for research on adipogenic differentiation, studies focusing on adipogenic differentiation method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are still lacking.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ablish an optimal method for adipogenic differentiation conditions of cADSCs and evaluate the role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nd estrogen receptor (ER) signaling i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Methods: To induc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cADSCs, 3 different adipogenic medium conditions, MDI, DRI, and MDRI, using 3-isobutyl-1-methylxanthine (M), dexamethasone (D), insulin (I), and rosiglitazone (R) were tested. Results: MDRI, addition of PPARγ agonist rosiglitazone to MDI, was the most significantly facilitated cADSC into adipocyte. GW9662, an antagonist of PPARγ, significantly reduced adipogenic differentiation induced by rosiglitazone. Adipogenic differentiation was also stimulated when 17β-estradiol was added to MDI and DRI, and this stimulation was inhibited by the ER antagonist ICI182,780. Conclusion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PPARγ and ER signaling are related to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cADSCs.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 on obesity or anti-obesity mechanisms in do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