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bili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막걸리 열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 및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 (Nitrite Scavenging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Makgeoly and I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 조은경;김희연;변현지;김수원;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68-774
    • /
    • 2010
  • 전통발효주 막걸리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S사막걸리로부터 구입한 막걸리 침전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radical 소거능은 10 mg/ml에서 48.0%으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10 mg/ml 농도에서 98.7%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고혈압제인 captopril은 0.1 mg/ml에서 93.4%의 ACE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 10 mg/ml에서는 74.0%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고혈압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ositive control인 Vit. C1 mg/ml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74~64%, pH 6.0에서는 45%의 소거능을 보인반면,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51~42%, pH 6.0에서는 28%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막걸리 침전물의 우수한 기능성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기대된다.

$H_2O_2$에 의한 결막 세포주의 세포고사에서 녹차추출물 EGCG의 보호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EGCG Extracted from Green Tea on Apoptosis Induced by$H_2O_2$ in Conjunctival Cell Lines)

  • 박수경;채수철;고은경;유근창;김재민;나명석;이종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95-101
    • /
    • 2008
  • 목적: 활성산소종의 하나인 $H_2O_2$는 DNA, RNA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어 유전자를 변형시키고 세포고사를 일으켜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발병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결막 세포주에서 일어나는 $H_2O_2$에 의한 세포고사에서 EGCG의 보호효과를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방법: 세포의 생존율은 MTT assay로 확인하였고, 세포고사의 형태적인 특징은 DNA 단절화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EGCG의 자유라디칼 제거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실시하고, 세포내 활성산소량의 평가를 위한 DCFH-DA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내의 mRNA 발현은 RTPCR을 시행하여 밴드 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세포생존율과 프리라디칼 소거능은 EGCG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DNA 분절화와 세포내 활성산소량은 감소하였다. mRNA 합성에서 bcl-2, bcl-xL의 발현은 증가하였고, bax 발현은 감소되었다. 결론: EGCG는 $H_2O_2$로 세포고사를 유도한 결막 세포주에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EGCG가 anti-apoptosis 관련한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켜 결막 세포주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함으로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녹두분말의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Powders After Various Hydrolysis Protocols)

  • 김옥미;구영아;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1-307
    • /
    • 2007
  • 국내산 녹두의 효율적 활용방안으로 녹두분말(A)와 효소제 무첨가 가수분해분말(B) 및 최적조건에서 가수분해시킨 분말(C)의 기능적 특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수분 등 성분의 함량은 녹두 분말의 처리 방법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색도는 (B)와 (C)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당의 함량은 (C)가 292.63 mg%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페놀 함량은 (A)와 (C)가 각각 38.63 mg%와 38.38 mg%로 나타내었다. SDS-전기영동 패턴을 살펴본 결과 (A)와 (B)에 비하여 (C)구간은 17 kDa 이하의 저분자 분자량을 나타냈다. 유리당 함량은 (A)와 (B)가 각각 86.36 mg%, 54.20 mg%에 비하여 (C)가 1,125.16 m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C)<(B)<(A)순으로 각각 22,116.35 mg%, 2,731.29 mg%, 578.54 mg%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필수아미노산 함량도 (C)가 8,231.42 mg%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능은 (A)와 (C)가 각각 62.16%, 57.63%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B)는 19.26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 활성은 (C)가 24.0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A) 20.69% 그리고 (B) 18.06%의 활성순으로 나타났다. 최적조건에서 가수분해 녹두분말(C)이 가수분해 되지 않은 무처리 녹두분말(B)과 녹두분말(A)에 비해 기능적 및 품질 특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식품 소재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