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activity

검색결과 5,154건 처리시간 0.046초

천연약용식물의 활성산조종에 의한 산화적 손상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Natural Medicinal Plants against Oxidative Damage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 이시은;주은미;김정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5권4호
    • /
    • pp.147-155
    • /
    • 2000
  • In order to evaluate anti -oxidant activities and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ve damag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were measured among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natural medicinal plants. Fourteen natural medicinal plants which were reported to have anti -oxidative or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selected based on our previous report. In addition to the total methanol extracts,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n-butanol and water fractions were prepared from each total extract.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was performed against 14 total extracts and all samples showed dose-dependent activities in various extent. Among those, 6 samples, methanol extracts of Euryale ferox, paeonia suffruticosa, Areca catechu var. dulcissima, Cinnamomun cassia, Alpinia katsumadai and Betula platyphlla var. japonica showed IC$\sub$50/ value lower than 6.0 $\mu\textrm{g}$/ml.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in ethylacetate fraction of paeonia suffruticosa with IC$\sub$50/ value of 1.1 $\mu\textrm{g}$/ml. Analysis of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on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V79-4) cells revealed that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was observed in methanol extract of Betula platyhpylla var. japonica.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was observed as a dose-dependent manner in all samples used in this study. Among fraction samples, ethylacetate fraction of Alpinia katsumadai ha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with IC$\sub$50/ value of 0.9 $\mu\textrm{g}$/ml.

  • PDF

Screeing and Isolation of Antioxidant from Medicinal Plants

  • Chun, Hyun-Ja;Lee, In-A;Lee, Jeong-Ho;Baek, Seung-Hwa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11.1-211.1
    • /
    • 2003
  • On the purpose of develcpement of antioxidative compound from natural sources, medicinal plants known to have antioxidant actuvity have been examined concen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d activities. Among 8 plants exhibiting the activity, Houttuynia cordata THUNB was selected as resources to search for active compounds due to rareness of study. The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quercitrin was assayed using a DPPH free radical.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quercitrin was similar to that of BHA and Ascorbic acid

  • PDF

건조 및 추출 방법을 달리한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Drying and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of Gnaphalium affine D. DON)

  • 김혜진;박병건;한인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95-701
    • /
    • 2015
  • 본 연구는 떡쑥을 동결건조, 음지건조, 열풍건조 후 상온교반과 초음파를 각각 적용하며 물, 80% 메탄올, 80% 에탄올로 추출한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각 건조 방법 및 추출 조건에 따라 비교하였다. 총 페놀 물질 함량에서는 동결건조 상온교반 80% 에탄올 추출물(13.87 mg QE/g)이 가장 많은 양을 나타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음지건조 상온교반 80% 메탄올 추출물(12.78 mg QE/g)이 가장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에 있어서는 건조 방법 및 교반 조건에 따라서 DPPH radical 소거능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0% 에탄올과 80% 메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환원력은 음지건조 초음파 80% 메탄올 추출물($225.5g{\mu}g$ TERP/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결건조 초음파 물 추출물($22.2{\mu}g$ TERP/g)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떡쑥의 환원력에서는 용매에 따라 80% 메탄올, 80% 에탄올, 증류수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능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떡쑥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페놀물질로부터 기인하며 떡쑥은 물보다 80% 에탄올과 80% 메탄올이 항산화 물질 추출에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80% 에탄올 추출물의 모든 항산화 효과는 건조 및 교반 조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80%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은 열풍건조와 음지건조 처리 시 동결건조보다 높게 나타났다.

피막이풀의 DPPH 라디칼과 hydroxyl radicals (OH) 항산화 활성 및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s (OH) Activity of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arck)

  • 조경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22-1026
    • /
    • 2016
  • 피막이(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는 산형과(Araliaceae)의 여러해살이 초본이다. 생약명은 천호유, 예초, 계장초, 변지금으로 한방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식물의 잎과 줄기로부터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환원력,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하이드록시 라디칼(-OH)은 거대분자, 탄수화물, 핵산, 지질, 단백질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데 피막이의 잎 추출물은 8.0 mg/ml 농도일 때 78.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1, 1- diphenyl 2-picrylhyorazyl (DPPH)은 인체 내 항산화에 잘 알려진 라디칼로 피막이풀의 하이드록시 라디칼 활성 저해는 8.0 mg/ml농도일 때 86.0%였다. 다중불포화지방산 대사 효소에 관여하는 Lipoxygenases (LOXs)의 활성 저해는 8.0 mg/ml농도일 때 55.5%였다. 50%저해를 나타내는 농도(IC50)를 산출할 때 OH 활성, DPPH 활성, LOX 저해에 대해 각각 5.23 mg/ml, 6.44 mg/ml, 3.71 mg/ml이였다. 피막이 잎과 줄기 추출물은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이런 피막이의 항산화 및 환원력 활성, LOX의 높은 저해율, 강환 환원력은 약리학적 소재로 좋은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Polygonum aviculare using LC-MS Coupled with DPPH Assay

  • Shin, Hyeji;Chung, Hayeon;Park, Byoungduck;Lee, Ki Y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64-69
    • /
    • 2016
  • A method for simultaneously identifying antioxidative compounds was developed using time-based LC-MS coupled with DPPH assay regardless of the time consuming process. The methanolic extract of Polygonum aviculare (Polygonaceae) showed significa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ime-based DPPH assay for simultaneous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unds from the extracts of P. aviculare was used. Major peak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P. aviculare showed hi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 simple phenolic compound (1) and six flavonoids (2-7)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P. aviculare by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The structures of seven compounds were determined to be protocatechuic acid (1), catechin (2), myricitrin (3), epicatechin-3-O-gallate (4), avicularin (5), quercitrin (6), and juglanin (7)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1H$-NMR, $^{13}C$-NMR and ESI-MS data. All compounds exhibited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on DPPH assay and active compounds were well correlated with predicted one.

사전 열처리 공정 처리한 야채류 복합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y Evaluation of Vegetable Complex Extract of Pre-Heat Treatment Process)

  • 김현경;황혜영;김흥태;김혜진;서수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409-416
    • /
    • 2022
  • 식재료로서 안전성이 확립되고 항산화성이 입증되어 있으며, 유익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는 과일 및 야채의 복합 추출물을 항산화 활성이 더욱 증가하도록 가공한 항산화성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항산화성 복합 추출물은, 사전 열처리 과정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측정되는 항산화능이 41% 증가하여 항산화성이 현저하므로, 항산화능을 이용한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기능성 성분분석과 항산화 및 대식세포 활성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 Analyses of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Cultivars)

  • 이현주;정미자;조재열;함승시;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095-1100
    • /
    • 2008
  • 국내산 밤 일부 품종(단택, 대보, 석추, 옥광, 병고)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이들 물질들의 항산화력 및 밤 추출물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내피와 과육에서 coumarin, gallic acid 그리고 catechin이 HPLC에 의해 검출되었다. 밤 내피에 가장 풍부한 기능성 성분은 catechin이고 그 다음 gallic acid와 coumarin 순이었으나, 과육에서는 gallic acid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밤의 기능성 성분인 gallic acid와 catechin의 항산화력을 DPPH radical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통해 알아보았다. Gallic acid과 catechin을 6.0 mg/100 g 처리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작용이 각각 69.4%와 38.3%였으며, gallic acid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농도 의존적이었다. Gallic acid를 동일한 농도의 catechin과 비교하면 모든 농도 구간에서 catechin보다 gallic acid가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은 gallic acid보다 catechin이 높았다. 더하여 밤의 과육, 노란과육 및 흰과육 추출물들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병고 흰과육 추출물은 현저하게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병고, 단택, 대보 및 옥광의 노란과육 추출물 역시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현저히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켰다. 노란과육 추출물이 흰과육 추출물보다 더욱 더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5품종 중 병고가 대식세포 활성을 가장 증가시켰다.

Antioxidant Effects of Salicornia bigelovii Seed Extracts

  • Kim, Ran
    • KSBB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40-145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extracts of Salicornia bigelovii se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helating activity of ferrous, superoxide anion radical-scavenging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were measured for different extracts. Ethanol extract (10 mg/mL) was found to have the maximum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65.26 and 62.36%, respectively). However, hot water extract (10 mg/mL) showed the highes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nd chelating activities (51.50 and 53.24%, respectively).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ethanol extract were 522.8 and $480.35{\mu}g/mg$, respectively. They were 401.51 and $352.60{\mu}g/mg$, respectively, in the hot water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S. bigelovii seed have good potential to be used as a new source of antioxidants for functional foods,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찰흑미를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Bread with Waxy Black Rice Flour Added)

  • 김원모;이윤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8-185
    • /
    • 2007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bread made from waxy black rice flour(WBRF) and wheat flour were investigated. The waxy black rice bread was manufactured with 10, 20, 30, or 40% waxy black rice flour(w/w). As the additive amount of WBRF were increased,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EAC(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were also increased. WBRF group showed the higher ac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EAC. The group with 10% WBRF adde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in metal chelating activity, but over 20% of addition, it had the higher metal chelating activ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PDF

민들레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uaxacum officinale))

  • 강미정;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53-259
    • /
    • 2002
  • 민들레 잎과 뿌리로부터 물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저해율,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chemiluminescence를 이용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EPR을 이용한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민들레 잎의 물추출물이 뿌리의 물추출물 보다 지방산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 저해율이 높았고,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ion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