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검색결과 4,119건 처리시간 0.03초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하여 발효한 청국장의 항산화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Cheonggukjang, Fermented Using the New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 김한수;윤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343-535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나무 줄기표면에서 처음 발견 하였으나, 아직까지는 연구가 미흡한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의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청국장 전통 발효 균주인 Bacillus subtilis NG24를 대조군으로 하여 항산화효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 실험 결과에서 Total Polyphenol 추출물 함량의 측정 결과는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 시료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32). SOD 유사활성과 DPPH radical 소거능 및 NO radical 소거능에서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을 포함한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추가적으로, 각 항산화 실험의 $IC_{50}$은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 시료에서 SOD 유사활성(p=0.045), DPPH radical 소거능(p=0.041), NO radical 소거능(p=0.019)과 같이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다.

부위별 꽈리(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Part Extracts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Winter Cherry))

  • 정해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67-873
    • /
    • 2010
  • 본 실험에서는 꽈리를 열매, 꽃받침, 잎, 줄기, 뿌리 등 부위별로 구분하여 메탄올로 추출하고 추출 수율,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철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 등을 측정하였다. 추출 수율은 열매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꽃받침, 잎, 줄기, 뿌리 순이었다. 총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꽃받침 추출물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1 mg/mL 및 5 mg/mL의 농도에서 잎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꽃받침 추출물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부위에서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 없이 높게 나타났다. 꽈리 추출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은 꽃받침과 잎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잎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철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는 꽃받침,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꽈리의 잎 추출물에서 총 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탁월하게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꽃받침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향후 이를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로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건조 및 추출 방법을 달리한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Drying and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of Gnaphalium affine D. DON)

  • 김혜진;박병건;한인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95-701
    • /
    • 2015
  • 본 연구는 떡쑥을 동결건조, 음지건조, 열풍건조 후 상온교반과 초음파를 각각 적용하며 물, 80% 메탄올, 80% 에탄올로 추출한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각 건조 방법 및 추출 조건에 따라 비교하였다. 총 페놀 물질 함량에서는 동결건조 상온교반 80% 에탄올 추출물(13.87 mg QE/g)이 가장 많은 양을 나타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음지건조 상온교반 80% 메탄올 추출물(12.78 mg QE/g)이 가장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에 있어서는 건조 방법 및 교반 조건에 따라서 DPPH radical 소거능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0% 에탄올과 80% 메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환원력은 음지건조 초음파 80% 메탄올 추출물($225.5g{\mu}g$ TERP/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결건조 초음파 물 추출물($22.2{\mu}g$ TERP/g)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떡쑥의 환원력에서는 용매에 따라 80% 메탄올, 80% 에탄올, 증류수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능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떡쑥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페놀물질로부터 기인하며 떡쑥은 물보다 80% 에탄올과 80% 메탄올이 항산화 물질 추출에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80% 에탄올 추출물의 모든 항산화 효과는 건조 및 교반 조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80%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은 열풍건조와 음지건조 처리 시 동결건조보다 높게 나타났다.

Electron Spin Resonance을 이용한 제주 자생 해조류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검색 (Screening fo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Autogenous Seaweeds in Jeju Island Using a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scopy)

  • 차선희;허수진;전유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252-259
    • /
    • 2006
  • 본 실험은 electron spin/paramagnetic resonance(ESR/EPR)를 이용하여 기존의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고, 이를 해조류 유래 천연자원으로부터 새로운 항산화물질을 탐색하는데 적용해 보았다. 연구 결과, 녹조류 추출물에서는 참홑파래, 납작파래 및 청각의 고온 메탄올 추출물에서만 약간의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이 외의 추출물에서는 소거활성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갈조류는 총 71개의 추출물 중 37개의 추출물에서 80% 이상의 소거율을 보여 아주 우수한 항산화 물질을 가진 family로 여겨지며, 특히 모자반류 (Sargassum spp.)는 수용성과 메탄올, 고온과 상온의 모든 추출물에서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여 앞으로의 신소재 물질 후보로 선별되었다. 홍조류에서는 수용성보다는 메탄올 추출물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소거활성이 검색되어, 나중에는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해조류는 라키칼 소거 능력을 가지는 성분을 여러 형태로 다량으로 함유 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 되며 앞으로의 연구에 기대가치를 더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timicrobial Effect,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Phytolacca americana L.

  • Boo, Hee-Ock;Park, Jeong-Hun;Woo, Sun-Hee;Park, Hyeon-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66-373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antimicrobial effect,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biological composition having the Phytolacca americana, and to enhance the natural materials utilization of foods and cosmetic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different parts of P. americana were evaluated using the agar diffusion tes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 americana was relatively high in Malassezia furfur known as a skin fungi and Vibrio parahaemolyticus compared to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However,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 Vibrio parahaemolyticus did not show at all parts of P. americana. Bot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ve been increased with the higher concentration of methanol extract. In particular, leaf extract of P. americana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bot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decreased when the pH was changed from pH 1.2 to pH 6.0. The highes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exhibi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fruit, followed by root, stem, and leaf at pH 1.2. However,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t pH of 6.0 was not almost detected. All plant parts of P. americana show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e highest activity was found in the stem, and followed by root, leaf, and fruit in order. Thes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progressivel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is experiment on the methanol extracts of different organ from P. americana, we confirmed that the extract of P. americana showed poten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aken together, we conjectured that the P. americana had the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therefore this plant having various functional components could be a good material for development into source of natural food additives and cosmetics.

Antioxidant Compounds from Distylium racemosum Leaves

  • Park, Youngki;Lee, Wi Young;Ahn, Jin Kwon;Lee, Hak-Ju;Chin, Hwi Seung;Kwon, You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67-72
    • /
    • 2003
  • The leaves of D. racemosum showed strong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order of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DPPH radical is ethyl acetate (EtOAc) fraction>crude extracts>residue fraction>hexane fraction>ether fraction,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Since EtOAc fraction has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these fractions, the isolation was performed from the EtOAc fraction of the leaves of D. racemosum and four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follows: methyl gallate, kaempferol, quercetin and quercitri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se compounds were 79.9%, 93.1%, 93.6% and 66.7% at 10 ㎍/ml, respectively. The IC50 of compound 1, compound 2, compound 3 and compound 4 were 6.1, 4.1, 3.6 and 6.5 ㎍/ml,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have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compared with reference compounds, ascorbic acid (IC50 = 9.6 ㎍/ml).

정향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Eugenia caryophyllata Thunb.)

  • 오희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81-488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ugenia caryophyllata Thunb.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ater extract than in 70% ethanol extrac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similar to that of Vit. C at a concentration of $1,000{\mu}g/mL$.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 were similar to that of Vit. C at a concentration of $1,000{\mu}g/mL$. SOD-like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70% ethanol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1,000{\mu}g/mL$ but lower than that of Vit. C.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increased as concentration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increased. Cell cytotoxicity was not observed at all concentrations except at $100{\mu}g/mL$ concentration of water extract. Inhibitory activity on NO production effect of water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70% ethanol extract. These results show that E. caryophyllata Thunb. has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and their activit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extraction solv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utanol Fraction from the Fruit of Citrus junos

  • Cho, Eun-Ju;Li, Li;Piao, Xiang-Lan;Lee, Sang-Hyun;Kim, Hy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86-89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radical (${\cdot}OH$) and superoxide anion (${O_2}^-$)] scavenging activity of MeOH extract and 3 fractions of Citrus junos. Of the tested fractions, the BuOH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DPPH scavenging activity, showing the $IC_{50}$ values of 63.4 mg/mL. Therefore, we continuously carried out DPPH, ${\cdot}OH$ and ${O_2}^-$ scavenging activity tests of BuOH fraction of Citrus junos. The BuOH fraction of Citrus junos inhibited DPPH radical to 97.5% at a concentration of 1000 mg/mL and the scavenging activities were increased concentration-dependently. In addition, BuOH fraction from Citrus junos also scavenged ${\cdot}OH$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from 5 to 1000 mg/mL. Furthermore, BuOH fraction showed about 56% ${O_2}^-$-scavengimg activity at 25 mg/mL concentration but, the scavenging activities were not enhanc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BuOH fraction of Citrus junos would have the protective potential from oxidative stress induced by free radicals.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Pueraria Radix

  • Lee, In-A;Chun, Hyun-Ja;Lee, Jeong-Ho;Lim, Jin-A;Baek, Seung-Hwa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10.4-211
    • /
    • 2003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of leaves, trunk and root Pueraria Radix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l.l-diphenyl-2-picrylny drazyl(DPPH) radical. Extacts prepared from root showed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But, extracts prepared from leaves and trunk did not show activity. The ethyl acetate ewtract of Pueraria Radix root showe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an IC 50 value of 75.7 $\mu\textrm{g}$/$m\ell$.

  • PDF

버섯균사체 발효 뽕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ves Extract Fermented by Hericium erinaceum)

  • 강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25-10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뽕잎(Morus alba)을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Hericium erinaceum)로 발효시킨 열수 추출물(MA-HE)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A-HE의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500{\mu}g/mL$ 농도에서 61.73%,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250{\mu}g/mL$ 농도에서 97.39%로 나타났다. MA-HE은 DNA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생체고분자물질인 사람의 혈청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다. 세포에 $H_2O_2$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에 비하여 발효물을 $100{\mu}g/mL$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생존율은 8% 증가했으며, 발효물을 $5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세포 내 활성산소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MA-HE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작용도 뛰어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