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검색결과 5,948건 처리시간 0.036초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감태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분석 (Phenolic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cklonia cava Extracted with the Ultrasonic Wave Method)

  • 김소정;김동균;박종범;이택견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13-918
    • /
    • 2013
  • 해조류 유래 유용성분 추출을 위한 초음파 추출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동결건조한 감태 분말로부터 열수($65^{\circ}C$), 물($24^{\circ}C$), 50% 에탄올 및 100% 에탄올 뿐만 아니라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분석하고, 초음파 추출과 전통적인 추출법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초음파 추출에 의한 감태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142.80 mg/g)은 열수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10.03 mg/g)의 약 14배 이상 높았다. 열수 추출물에 비해 초음파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약 4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약 1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에서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tyrosinase 저해 활성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각각 $R^2$=99.47 및 99.99)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전통적인 용매 추출법보다 초음파 추출법이 감태의 유용성분 추출에 더 적합함을 의미한다.

피막이풀의 DPPH 라디칼과 hydroxyl radicals (OH) 항산화 활성 및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s (OH) Activity of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arck)

  • 조경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22-1026
    • /
    • 2016
  • 피막이(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는 산형과(Araliaceae)의 여러해살이 초본이다. 생약명은 천호유, 예초, 계장초, 변지금으로 한방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식물의 잎과 줄기로부터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환원력,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하이드록시 라디칼(-OH)은 거대분자, 탄수화물, 핵산, 지질, 단백질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데 피막이의 잎 추출물은 8.0 mg/ml 농도일 때 78.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1, 1- diphenyl 2-picrylhyorazyl (DPPH)은 인체 내 항산화에 잘 알려진 라디칼로 피막이풀의 하이드록시 라디칼 활성 저해는 8.0 mg/ml농도일 때 86.0%였다. 다중불포화지방산 대사 효소에 관여하는 Lipoxygenases (LOXs)의 활성 저해는 8.0 mg/ml농도일 때 55.5%였다. 50%저해를 나타내는 농도(IC50)를 산출할 때 OH 활성, DPPH 활성, LOX 저해에 대해 각각 5.23 mg/ml, 6.44 mg/ml, 3.71 mg/ml이였다. 피막이 잎과 줄기 추출물은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이런 피막이의 항산화 및 환원력 활성, LOX의 높은 저해율, 강환 환원력은 약리학적 소재로 좋은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당귀(當歸)와 황기(黃芪)의 배합 변화가 DPPH 자유기 소거에 미치는 영향 연구 (Compositions of Astragali Radix and Angelicae Radix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강순아;오명숙;김도림;강지웅;김원남;박은화;장문석;박성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4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tioxidant activity of ratio-related Angelicae Radix and Astragali Radix compositions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thods : The species of Angelicae Radix was compared as Angelica gigas, A. sinensis and A. acutiloba. Then various compositions of Angelicae Radix with Astragali Radix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 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after 10, 20 and 30 minutes. Each extracts were tested by 1, 5, 10, 50, 100, 500 and 1,000 ${\mu}g/ml$ concentration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Angelica gigas, A. sinensis and A. acutiloba scavenged DPPH radical with 66.8, 61.7 and 56.7% in 1,000 ${\mu}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result, Angelicae Radix and Astragali Hadix compositions with 100:0, 10:1, 5:1, 3:1, 1:1, 1:3, 1:5, 1:10 and 0:100 ratio were scavenged DPPH radical with 56.3, 49.9, 61.2, 55.7, 54.7, 55.0, 52.8 ,md 50.2% in 1,000 ${\mu}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extract of Angelicae Radix and Astragali Radix compositions with 100:0, 10:1, 5:1, 3:1, 1:1, 1:3, 1:5, 1:10 and 0:100 ratio scavenged DPPH radical with the $IC_{50}$ being 85,21, 1016.26, 656.51, 785.67 and 956.74 ${\mu}g/ml$ respectively.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extract of Angelicae Radix and Astragali Radix compositions with 1:1 ratio showed dose-depend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PDF

열풍건조 처리시간에 따른 식용꽃 금잔화의 항산화능 검정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Calendula Flowers by Hot-air Drying Time)

  • 오상임;김서영;이자희;이애경
    • 화훼연구
    • /
    • 제26권4호
    • /
    • pp.202-208
    • /
    • 2018
  • 본 연구는 금잔화를 꽃차로 이용하기 위해 열풍 건조 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 물질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최적 처리 시간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식용꽃 금잔화를 $60^{\circ}C$에서 5시간, 10시간, 15시간 열풍건조 한 뒤 Hunter value를 측정하고 95%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다. 항산화 물질인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 이를 통한 항산화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Hunter value L 값과 +b값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5시간 처리구에서 다소 많이 감소하였다. 또한, 항산화 물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처리 시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5시간과 10시간 처리 시 함량이 다소 높았으며,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15시간 처리시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분석 결과, 5시간과 10시간 처리시 대조구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총 카로티노이드가 DPPH radical 소거 활성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leq}0.01$, r=0.610). 따라서, 열풍건조한 금잔화는 총 카로티노이드가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며, 5시간 및 10시간 열풍건조 처리가 금잔화의 항산화 물질 함량 및 활성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식물의 열처리 가공에 있어 오랜 시간은 내부 조직 및 항산화 물질 파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금잔화 열풍건조 처리 시 5시간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and Pear Peel

  • Kim, Kyung Soon;Roh, Kwang 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7-354
    • /
    • 2013
  • Apple and pear are popular fruits consumed in Korea and are common fruit in daily diet. In order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pple and pear peels,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measured from hot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two fruit peel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95% methanol extracts of the apple peelsand 70% ethanol extract of the pear peels,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pear peels were higher than that of apple peel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apple peels were higher than that of pear peels. The apple and pear peels had the highest $ABTS^{+{\cdo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95% methanol extracts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BTS^{+{\cdo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ear peels was higher than that of apple peels, and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pple and pear peels were detected in hot water, 95% methanol,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scorbic acid, a synthetic antioxidant used as positive control, had significantly higher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apple and pear peels. In conclusion, the apple and pear peelshave great potential as natural antioxidants. Therefore, abov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the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high functional antioxidants.

당귀약침액의 Elastase 효소 활성과 DPPH, NO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elica$ $Gigantis$ Pharmacopuncture Extracts on the Elastase Activity and DPPH and NO Scavenging Activities)

  • 이세민;임성철;이윤규;김재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6호
    • /
    • pp.35-42
    • /
    • 2011
  • 목적 : Elastin 섬유는 피부, 폐, 동맥, 정맥 등 조직에서 발견된다. Elastin 섬유의 손실은 대동맥, 동맥, 세동맥의 탄력 등과 연관되어 폐기종, 혈액순환 부전 및 폐동맥 고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당귀약침액의 elastase 효소활성에 대한 효과와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계획되었다. 방법 : 당귀약침액의 elastase 억제효과와 DPPH, 및 NO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 당귀약침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elastase 활성 억제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통계적으로 강한 DPPH free radical 소거 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NO 소거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그 효능은 pH 6.0에서 가장 강한 효능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당귀약침액에는 유효한 elastase 활성 억제효과와 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어, 폐기종 및 폐동맥 고혈압 치료에 유효한 작용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꼬마리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f oxidative stress from fraction of Xanthium strumarium L.)

  • 민영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15-220
    • /
    • 2017
  • 도꼬마리 (X. strumarium )는 국화과에 속하며, '창이자'라는 한약명으로 사용되는 다년생 식물이다. 열매부위와 지상부위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융합 식물활성작용을 관찰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실험법으로는 1, 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 ABTS assay를 사용하였다. 도꼬마리의 추출물은 단일분리가 아닌 ethanol, petroleum ether, 그리고 ethyl acetate로 추출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연구에 사용되는 radical scavenging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and ABTS를 투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꼬마리는 천연유래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활락탕(活絡湯)의 NO 억제, DPPH 소거 및 Microarray상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n NO,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in Whallak-tang)

  • 김철홍;윤현민;장경전;송춘호;안창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69-78
    • /
    • 2004
  • Objectiv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Whallak-tang against Nitric Oxide, the scavenging effect of Whallak-tang on DPPH radical. Methods : Both nitric concentration 1, 3, 6 and 24 hours after treatment with Vit. C and Whallak-tang at 0.1, 1, 10 mg/ml and scavenging effect 10, 20, 30 and 60 minute after treatment with Vit. C and Whallak-tang at 0.1, 1, 10 mg/ml were estimated. Results : The inhibitory effect of Whallak-tang against Nitric Oxide was dose-dependent. The scavenging effect of Whallak-tang on DPPH radical was dose-dependent. Conclusion : These results would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on the possibility of the clinical treatment of Whallak-tang in musculoskeletal disease.

  • PDF

바질의 항산화 물질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Antioxidation Substances in Basil)

  • 서봉순;박명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4-59
    • /
    • 2010
  • Basil is known to contain six types of polyphenols that engage in physiological activation; protocateuic acid,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courmaric acid, rosmarinic acid and quercetin.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s in eight types of basil were evaluated. Specifically,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of basil was evalu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oxygen scavenging (DPPH radical-scavenging), which was used as an index showing the content and functionality of the polyphenol compounds in basil, and $Fe^{2+}$/ascorbate (FTC) and 2-thiobarbituric acid (TBA).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different types basil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Dark-opal> Lettuce> Bush> Greek> Lemon> Sweet> Geno> Holy. The highest content Dark-opal was 173.3 mg, which was about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lowest content Holy, which was 49.85 mg. In addition, DPPH radical-scavenging by Dark-opal 51%, which was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occurred in the folling order: Dark-opal> Lettuce> Bush> Greek> Lemon> Sweet> Geno> Holy.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values measured using the FTC and TBA were the same as the value obtained using the DPPH method. Finally, the level of antioxidative activation measured using FTC, TBA and DPPH method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ntent of polyphenol substance was, the stronger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became.

해당화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Rosa rugosa)

  • 서영완;이희정;안종웅;이범종;문성기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67-7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해당화의 항산화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해당화의 dichloromethane과 methanol의 조추출물을 합하여 n-hexane, 15% aq. MeOH, n-BuOH, $H_2O$로써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DPPH 라디칼, peroxynitrite의 소거 활성과 지질 과산화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실험에서 해당화의 유의적인 항산화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4개의 분획물들 중 n-BuOH 획분이 가장 뛰어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당화의 항산화 효과는 비교적 극성이 큰 2차 대사산물에 의한 것임을 추측할 수 있으며, 해당화의 많은 생물학적인 활성들 중 peroxynitrite 소거 효과와 마우스 간 균질물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활성에 관한 보고는 이것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