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 fragmentation ELIS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Comparative Studies to Evaluate Relative in vitro Potency of Luteolin in Inducing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aCaT and A375 Cells

  • George, Vazhapilly Cijo;Kumar, Devanga Ragupathi Naveen;Suresh, Palamadai Krishnan;Kumar, Sanjay;Kumar, Rangasamy Asho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631-637
    • /
    • 2013
  • Luteolin is a naturally occurring flavonoid present in many plants with diverse applications in pharmacology. Despite several studies elucidating its significant anti-cancer activity against various cancer cells, the mechanism of action in skin cancer is not well addressed. Henc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uteolin in HaCaT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s) and A375 (human melanoma) cells. The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of luteolin were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prior to a cytotoxic study (XTT assay). Inhibitory effects were assessed by colony formation assay. Further, the capability of luteolin to induce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were demonstrated by flow cytometry and cellular DNA fragmentation ELISA, respectively. The results revealed that luteolin possesses considerable cytotoxicity against both HaCaT and A375 cells with $IC_{50}$ values of 37.1 ${\mu}M$ and 115.1 ${\mu}M$, respectively. Luteolin also inhibited colony formation and induced apoptosi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by disturbing cellular integrity as evident from morphological evaluation by Wright-Giemsa staining. Accumulation of cells in G2/M (0.83-8.14%) phase for HaCaT cells and G0/G1 (60.4-72.6%) phase for A375 cells after 24 h treatment indicated cell cycle arresting potential of this flavonoid. These data suggest that luteolin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promote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skin cancer cells with possible involvement of programmed cell death, providing a substantial basis for it to be developed into a potent chemopreventive template for skin cancer.

Correction: Ethanolic Extract of Marsdenia condurango Ameliorates Benzo[a]pyrene-induced Lung Cancer of Rats -Condurango Ameliorates BaP-induced Lung Cancer in Rats-

  • Sikdar, Sourav;Mukherjee, Avinaba;Khuda-Bukhsh, Anisur Rahma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6-87
    • /
    • 2015
  • Objectives: Condurango is widely used in various system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against oesophageal and stomach ailments including certain types of cancer. However, until now no systematic study has been conducted to verify its efficacy and dose with proper experimental support. Therefore, we examined if ethanolic extract of Condurango could ameliorate benzo[a]pyrene (BaP)-induced lung cancer in rats in vivo to validate its use as a traditional medicine. Methods: After one month of scheduled BaP feeding (50 mg/kg body-weight), lung cancer developed after four months. BaP-intoxicated rats were then treated with Condurango (0.06 mL) twice daily starting at the end of the four months for an additional one, two and three months, respectively. Effects of Condurango were evaluated by analyzing lung histolog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antioxidant biomarkers, DNA-fragmentation, RT-PCR (Revere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western blot of several apoptotic signalling markers and comparing the results against those obtained for controls. Results: A histological study revealed gradual progress in lung tissue-repair activity in Condurango-fed cancer-bearing rats, showing gradual tissue recovery after three months of drug administration. Condurango has the capacity to generate ROS, which may contribute to a reduction in anti-oxidative activity and to an induction of oxidative stress-mediated cancer-cell death. Condurango-activated pro-apoptotic genes (Bax, caspase-3, caspase-9, p53, cytochrome-c, apaf-1, ICAD and PARP) and down-regulated antiapoptotic-Bcl-2 expression were noted both at mRNA and protein levels. Studies on caspase-3 activation and PARP cleavage by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Condurango induced apoptosis through a caspase-3-dependent pathway. Conclusions: The anticancer efficacy of an ethanolic extract of Condurango for treating BaP-induced lung cancer in rats lends support for its use in various traditional systems of medicine.

유기주석화합물이 웅성생식세포주에 미치는 영향 (Mechanisms of Tributyltin-induced Leydig Cell Apoptosis)

  • Lee, Kyung-Jin;Kim, Deok-Song;Ra, Myung-Suk;Wui, Seong-Uk;Im, Wook-Bin;Park, Hueng-Sik;Lee, Jong-Bi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8권2호
    • /
    • pp.89-94
    • /
    • 2003
  • 본 연구는 환경 호르몬으로. 분류된 67종 중의 하나인, 선저 도료나 어망, 어구 및 방오페인트 재료로 사용되어지고 유기주석화합물(tributyltin)을 사용하여 설치류의 웅성생식세포에서 세포자연사를 일으키는 작용기작을 조사하였다 먼저 흰쥐의 레이딕 세포주인 R2C에 유기주석화합물을 농도별(1∼500 nM)로 처리한 후 DNA fragment현상을 전기영동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기주석화합물을 처리한 군들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자연사현상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유기주석화합물이 세포 내 칼슘이온(Ca$^2$$^{+}$)및 유해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본 결과 유기주석화합물 처리시 세포 내 칼슘이온 및 유해 산소종이 시간에 의존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칼슘 킬레이터인 BAPTA를 전 처리한 경우 유기주석화합물에 의해 유도된 칼슘이온 및 유해 산소종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세포자연사 과정이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c방출에 의한 과정인지를 화인하기 위해 세포질 내 cytochrome c양을 western blot법을 사용하여 확인해 본 결과 유기주석화합물처리 시간 및 농도에 따라 증가하며, 이 또한 BAPTA를 전처리 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유기주석화합물이 세포자연사 유발 시 caspase-3 효소 활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ELISA법을 사용하여 확인해 본 결과 유기주석화합물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aspase-3효소 억제자로 잘 알려진 Z-DEVD FMK을 전 처리한 경우 유기주석화합물을 처리한 군에 비해 세포자연사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유기주석화합물은 세포 내 칼슘이온의 증가를 일으키고, 그로 인하여 세포질 내 유해산소종 및 cytochrome c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세포자연사 다음 단계인 caspase효소 활성의 증가를 통하여 흰쥐의 레이딕 세포주인 R2C의 세포자연사를 일으킬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

Hydroquinone이 인체 상피세포의 발암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DROQUINONE ON NEOPLASTIC TRANSFORMATION OF HUMAN EPITHELIAL CELLS IN CULTURE)

  • 손정희;김진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18-228
    • /
    • 2010
  • 발암물질로 알려진 Hydroquinone (HQ)은 치과용 합성수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으로서 지금까지 치과용 재료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구강 내에서 HQ의 유출이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구강암의 기원이 되는 인체상피세포의 발암화에 HQ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HQ에 의한 인체세포 독성을 평가하기위해 LDH assay를 실시하고 세포 독성이 높지 않은 용량을 실험 용량으로 설정하였다. 인체 세포의 발암화를 평가하기 위해 세포 발암화 지표로서 cell saturation density, soft-agar colony formation 및 cell aggregation의 분석을 사용한 결과 고용량인 50 ${\mu}M$을 제외한 모든 용량에서 발암화 지표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HQ의 발암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발암촉진제인 TPA와 함께 투여 시 발암력의 증가를 보여 주변 환경의 여건에 따라 발암력이 증가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HQ를 노출 후 세포사멸화를 측정하기 위해 DNA fragmentation변화를 분석한 결과 10 ${\mu}M$부터 50 ${\mu}M$까지 노출 시간 의존형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50 ${\mu}M$과 같은 고용량 농도에서는 노출시간 의존적 세포사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세포 발암화를 일으킨 용량에서 세포사멸도 함께 일어나 HQ에 의한 발암화에 세포사멸이 관여함을 보였다. HQ는 ROS를 생성하였으며 Trolox, NAC와 같은 항산화물에 의한 ROS의 차단 효과와 BSO와 같은 GSH 고갈 유발 물질에 따른 ROS의 급격한 증가는 HQ가 인체세포에서 ROS를 효율적으로 생성함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세포간의 신호전달기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protein kinase C (PKC)를 immunoblot으로 분석한 결과 PKC-${\alpha}$의 활성이 증가 된 반면 PKC-${\beta}II$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특정 이성질체에 대한 특이적인 효소반응이 발암화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결과 치과용 합성수지 구성성분인 HQ 유출에 따른 인체상피세포의 발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되나 발암촉진제 등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발암성 증가는 HQ의 구강암 발생 평가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강암의 예방을 위한 과학적인 접근 방법 및 기반 자료를 제시하였고 치과용 합성수지사용의 적정성에 대한 과학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 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치과용 합성수지 개발의 필요성 및 개선방향을 제시 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