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 content

검색결과 798건 처리시간 0.031초

시금치 nitrate reductase cDNA 클로닝 및 염기서열 분석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L. cv Ace) Nitrate Reductase cDNA)

  • 박누리;정종배;박상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29-133
    • /
    • 2002
  • 키토산 분해물을 시금치와 상추에 살포하였을 때, nitrate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감소는 nitrate reductase 활성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채소 중 질산염을 가장 많이 축적하는 채소 중 하나인 시금치의 nitrate reductase를 식물체내에 과량 발현시켜 질산염 축적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단계로 시금치 mRNA로부터 RT-PCR을 이용하여 cDNA를 분리, 증폭하고 벡터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시금치 nitrate reductase cDNA의 염기서열은 다른 식물체에서 분리된 nitrate reductase 유전자들과 상당히 높은 상동성($71{\sim}82%$)을 보였고, 이미 발표된 시금치 nitrate reductase cDNA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단지 두 염기만이 달랐다.

Linoleic acid과산화물의 DNA 손상작용 (The DNA Damage by Linoleic Acid Hydroperoxide)

  • 김선봉;강진훈;변한석;김인수;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69-572
    • /
    • 1987
  • 지질산화생성물의 DNA 손상작용기구를 밝힐 목적으로 자동산화시킨 linoleic acid로부터 과산화물을 분리하고 DNA와 $37^{\circ}C$에서 반응시켜 경시적인 관산화물이 DNA 원상작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산화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NA가크게 송상되었으며, 반응 2일째에는 $422{\mu}g$ 이상의 농도에서는 DNA가 더욱 크게 손상을 받아 gel plate 상에서는 DNA band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 이러한 DNA 손상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반응 1일에 대조구가 $30\%$의 감소율을 나타낸 반면, $844{\mu}g$의 농도에서는 2배량인 $60\%$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과산화물과 DNA의 반응계에 각종 활성산소소거제를 첨가한 결과, 과산화물의 DNA 손상작용에 대한 활성산소종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무지개송어의 간세포 초대배양에 의한 Vitellogeinin 합성 유도 (Vitellogenin Induction by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Hepatocytes in Primary Culture)

  • 여인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57-564
    • /
    • 1998
  • 무지개송어의 초대배양 간세포에 있어서 Vitellogenin (VTG)의 합성 유도는 전기영동적 수법에 의해 행하였다. 간세포는 7일 동안 phositively charged dish를 이용한 배양으로 단층 확산되었다. 배양 7일의 간세포 생존율은 $E_2$의 유무에 따라 각각 20.7% 및 23.6%가 감소하였으며, DNA함유량도 각각 13.7% 및 14.0%가 감소하였다. $E_2$ 첨가군과 대조군간에는 생존율과 DNA 함유량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총 단백질에 대한 VTG의 비율은 $E_2$$10^{-6}$ M의 첨가시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고농도($10^{-5}$M)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식이섭취 빈도수가 흰쥐의 성장 및 각 기관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eding Frequency on the Growth and Composition of Individual Organs in Rats)

  • 정은희;이연숙;전승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1호
    • /
    • pp.14-22
    • /
    • 1985
  • 동물의 성장정도에 따라 식이섭취양식이 성장및 각 기관의 DNA와 RNA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경토하기 위하여 , 성장기와 성장완료기의 흰쥐에게 ad-lib. feeding과 1일 3회 급여 그리고 1일 1회 급여등 3가지 섭취 양식으로 정제 식이를 급여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1 ) 모든 실험동물에서 3희 식이군은 ad-lib. 군과 비슷한 증체량을 나타냈으나, 1회 식이군은 다른 군보다 낮은 증체량을 나타냈으며, 식이섭취량도 더 적었다. 2) 성장기 쥐의 경우. 1회 식이군은 ad-lib.군에 비해 간, 신장, 비장 등 내장기관의 DNA, RNA, 단백질 함량이 강소되었으나, DNAmg당 각 조성은 다른군과 차이가 없었다. 한편, 성인쥐의 경우는 1회 식이군에서, 간의 크기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DNAmg당 각 조성은 증가하였으나, 간의 DNA함량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신장과 비장은 식이섭취양식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성장기 쥐와 성인쥐의 위와 소장은 meal-feeding에 의해 크기가 증대된 경향을 나타냈으며, 혈청콜레스테롤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본 결과는 식이섭취양식이 성장기 동물에서는 내장기관의 세포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성장완료기 동물에서는 내장기관중 특히 간의 세포크기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 PDF

범가자미에 대한 유전학적 동정 (Genetic Stock Identification of Spotted Flounder, Verasper variegatus from Yeocheun, Korea)

  • 김경길;김윤;남윤권;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1-233
    • /
    • 1993
  •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에 대한 유전학적 동정을 위하여 세포 크기, DNA함량, 염색체수 및 핵형분석 등의 세포유전학적 조사와 PCR 기법을 이용한 mtDNA 125 ribosomal RNA gene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종의 적혈구와 핵의 평균 부피는 각각 $211.10{\mu}m^3$$23.03{\mu}m^3$였으며, haploid DNA content는 0.79 pg/cell로서 잉어의 $46.5\%$, 포유류의 $22.6\%$로 나타났다. 염색체 수는 46개로 모두 acrocentric 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heteromorphic한 성 염색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PCR 기법을 이용하여 증폭된 범가자미 mtDNA의 12S rRNA gene segment는 대략 390bp로 나타났고, 12S rRNA gene의 PCR product를 제한 효소로 처리 결과, Ava I, Mae II, Sma I, Xba I는 1개의 restriction site가, Mae I는 2개의 restriction site가 관찰되었다. 범가자미 mtDNA의 12S rRNA gene segment의 염기 서열을 인간과 차넬메기와 비교한 결과, identity가 차넬메기 와는 $81.8\%$, 인간과는 $67.7\%$였다.

  • PDF

식이엽산함량이 흰쥐의 면역세포의 엽산농도와 알칼리 처리후의 DNA 이중 나산선 잔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olate Content on Folate Concentration and DNA Strand Breaks after Alkaline Treatment in Immune Cells)

  • 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6호
    • /
    • pp.654-660
    • /
    • 1999
  • Folate, a precursor of the coenzyme tetrahydrofola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NA replication and cell proliferation, and thus could influence rapidly proliferating immune cells such as leukocytes and splenocytes. The effects of dietary folate on folate concentrations of plasma, thymus, spleen and leukocytes were investigated in rats. The animals were raised for 6 weeks on semipurif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mg, 2mg, 4mg, 8mg folate/kg diet. Folate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microbiologically using Lactobacillus casei(ATCC 7469), and DNA strand breaks produced by alkaline treatment were analyzed fluorometrically. When compared to folate adequate diet, the folate deficient diet(0mg folate/kg diet) resulted in lowest folate levels in plasma, thymus, spleen and leukocytes, and the highest DNA strand breaks in spleen cells and leukocytes. Dietary folate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folate concentrations of immune tissues, leukocytes, and the plasma in a dose dependent manner, folate concentrations being highest with a diet providing 8mg folate/kg diet. The percentages of the double strand DNA remaining in the splenocytes and leukocytes after alkaline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amounts of dietary folate in a dose dependent manner. Folate intakes of 8mg than 4mg/kg diet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DNA strand brea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creased folate above the requirement level could improve DNA stabilities in immune cells.

  • PDF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5. 랫드의 체중, 장기, 췌장과 소장의 성분 및 소장융모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저분자 Alginate의 영향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5. Effects of Depolymerized Alginate on Body Weight, Organ, Pancreatic and Small Intestinal Composition, and Small Intestinal Microvilli Structure in Rats)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26
    • /
    • 2001
  • Alginate를 가열에 의해 저분자화하여 저분자화에 따른 소화생리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랫드에 저분자 alginate인 HAG-10,HAG-50, HAG-100 및 alginate를 장기간 섭취시켰을 때, 체중, 각종 장기의 무게와 길이 및 췌장과 소장의 소화효소활성과 단백질, DNA 및 RNA 함량을 측정하였고 소장응모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랫드의 체중은 $5\%$$10\%$ HAG-50 및 $10\%$ alginate에서 체중의 증가가 유의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간장의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위의 무게와 길이는 $10\%$ HAG-10, $1\%$, $5\%$$10\%$ HAG-50, $1\%$$5\%$ HAG-100 그리고 $5\%$ alginate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췌장의 무게와 길이는 모두 약간 증가하였다. 소장과 맹장의 무게와 길이는 $1\%$$5\%$ HAG-10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였으나 대장의 무게와 길이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췌장의 amylase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lipase 활성은 HAG-50에서 약간 저하하였으며, protease 활성은 $1\%$ HAG-10만 제외하고 유의적으로 저하하였다. 췌장의 단백질 함량은 모두 증가하였으나, DNA와 RNA 함량은 유의 적 인 차이가 없었다. 소장의 단백질 함량은 $5\%$$10\%$ HAG-50에서 그리고DNA는 $5\%$ HAG-50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RNA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소장융모의 미세구조는 HAG-50에서 주름이 많고 표면적이 넓은 잎사귀 모양의 응모세포와 돌림주름 및 Boblet cell이 현저히 발달되어 있었다.

  • PDF

ITS 및 rbcL 염기서열에 근거한 한국 자생 옻나무속의 계통분류 (Phylogeny of Korean Rhus spp. Based on ITS and rbcL Sequences)

  • 이원경;김명조;허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0-66
    • /
    • 2004
  • 한국산 옻나무속 6종에 대하여 분자식물학적 방법으로 계통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nrDNA의 ITS 구간과 cpDNA rbcL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계통분석한 결과 ITS 1의 길이는 $246{\sim}253\;bp$이었고, ITS 2는 $234{\sim}244\;bp$이었다. ITS 1의 길이는 Rhus sylvestris와 R. succedanea에서 246 bp로 가장 작았으며, R. verniciflua에서 253 bp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ITS 2의 길이는 R. verniciflua가 234 bp로 가장 짧았으며, R. trichocarpr가 244 bp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이들 분류군의 G+C Content는 ITS 1에서는 $58.0{\sim}68.13%$의 범위를 나타냈고, ITS 2에서는 $59.75{\sim}68.46%$로 나타나 두 구간이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ITS 1에서의 G+C content는 R. sylvestris가 58.0%로 가장 낮았으며, 가장 높은 값은 R. ambigua가 68.13%로 확인되었다. ITS 2에서는 외군인 Cotinus coggygria가 59.75%로 가장 낮았으며, R. ambigua가 68.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산 옻나무 속에서 ITS 염기서열은 일반적으로 피자식물이 갖는 G+C content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rbcL의 길이는 1,428 bp로 모든 종에서 동일하였다. 또한 rbcL의 G+C content는 $43.56%{\sim}43.77%$로 나타나 종간에 거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rbcL gene은 옻나무속의 종간 계통유연관계를 해석하는데 유용하지 않았으며, ITS 1 구간의 염기서열 변이는 향후 옻나무속을 분류할 때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는 분류 marker로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근로자의 뇨중 상피세포에서 32P-postlabeling에 의한 발암물질의 DNA adducts측정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Measurement of Carcinogen-DNA adducts in exfoliated urothelial cells among workers by 32P-postlabelling methods)

  • 이진헌;노재훈;그린 탈라스카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7
    • /
    • 2000
  • Carcinogen-DNA adduct analysis has potential for biomonitoring the earliest effects of exposure to many chemical carcinogens. They are the covalent reaction products of electrophiles and nucleophilic sites on DNA and the initial damage to DNA induced by many carcinogens. So many researchers begin to use them as biomarker for monitoring the earliest exposure of carcinogens and develop the effective analytical techniques about them. Randerath, Gupta and coworkers(1981, 1982) has also developed a $^{32}P$-postlabelling method as one among them. A major project for biomonitoring workers with carcinogen-DNA adducts is to develop non-invasive samples instead of tissues of target organs such as baldder and lung. This study use the exfoliated urothelial cells in urine for examine benzidine-DNA adducts. The content of exfoliated urothelial cells is not enough to significantly measure DNA content with spectrophotometer, and require the another way. So firstly washing the collected cells with PBS and 70% ethanol and centrifuge them for removing the crystals in urine, which block the isolation of DNA adducts. And then, measure the total nucleotide after $^{32}P$-postlabelling for calculating RAL. $[{\gamma}-^{32}P]ATP$ using for $^{32}P$-postlabelling, can synthesize with $[^{32}P]H_3PO_4$, and reagent and enzyme mixture (RM, EM), which is very economic in case of requiring a lot of them. Chromatography was composed of two steps. First step was to separate adduct ones from unadducted nucleotide, and secondary step was separate each adduct, which were performed with 4 kinds of solvents and different directions on TLC. With this procedure, we measure the DNA adducts in exfoliated urothelial cells of workers who were employed in benzidine and benzidine-dye company. RAL of adducts were $89.0{\times}10^7$ and $57.0{\times}10^7$ in them. In conclusion, we can significantly measure the DNA adduct in exfoliated urothelial cells by using the above $^{32}P$-postlabelling procedures, and use them to be biomonitoring workers who exposed carcinogens.

  • PDF

둥굴레속 식물의 18S rDNA 염기서열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18S rDNA in Polygonatum spp. Collections)

  • 윤종선;김익환;박재성;이철희;홍의연;윤태;정승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8-182
    • /
    • 2006
  • 둥굴레 유전자원의 유연관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둥굴레속 식물 수집종 10종에서 18S ribosomal RNA를 암호화하는 18S rDNA 영역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그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둥굴레속 10종의 18S rDNA 영역 전체의 길이는 $913{\sim}914bp$로 비슷하였으나, 총 8개 지점에서 염기의 치환 및 결실에 의한 변이가 발생하였다. 전위는 $T{\rightarrow}C$전위가 4개 지점에서 발생하였고, $A{\rightarrow}G$ 전위가 1개 지점에서 발생하였으며, 전좌는 $C{\rightarrow}A$ 전좌가 1개 지점에서 발생하여 전위가 전좌보다 5배 만큼 발생하였다. 결실은 2개 지점에서 발생하였다. 18S rDNA의 염기의 조성은 adenine $23.09{\sim}23.33%$, guanine $23.33{\sim}23.52%$, thymine $25.60{\sim}25.85%$, cytosine $27.38{\sim}27.79%$로 pyrimidine계가 purine계보다 많았다. 18S rDNA의 A + T 함량은 $48.80{\sim}49.18%$로 평균 48.99%였고, G+C 함량은 $50.82{\sim}51.20%$로 평균51.01%였다. 다중 정렬에 의해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99.7{\sim}100%$ 일치하여 종간에 차이가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