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 complex

검색결과 830건 처리시간 0.026초

PKA-Mediated Regulation of B/K Gene Transcription in PC12 Cells

  • Choi, Mi-Hyun;Kim, Ho-Shik;Choi, Sung-Ho;Kim, Mi-Young;Jang, Yoon-Seong;Jang, Young-Min;Lee, Jeong-Hwa;Jeong, Seong-Whan;Kim, In-Kyung;Kwon, Oh-J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6호
    • /
    • pp.333-339
    • /
    • 2005
  • B/K protein is a novel protein containing double C2-like domains. We examined the specific signaling pathway that regulates the transcription of B/K in PC12 cells.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forskolin ($50{\mu}M$), B/K mRNA and protein levels were time-dependently decreased, reaching the lowest level at 3 or 4 hr, and thereafter returning to the control level. Chemicals such as dibutyryl-cAMP, cellpermeable cyclic AMP (cAMP) analogue and CGS21680, adenosine receptor $A_{2A}$ agonist, also repressed the B/K transcription. However, 1,9-dideoxyforskolin did not show inhibitory effect on B/K transcription, suggesting direct involvement of cAMP in the forskolin-induced inhibition of B/K transcription. Effect of forskolin, dibutyryl cAMP and CGS21680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PKA-deficient PC12 cell line (PC12-123.7). One cAMP-response element (CRE)-like sequence (B/K CLS) was found in the promoter region of B/K DNA, and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indicated its binding to CREM and CREB. Forskolin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promoter activity in CHO-K1 cells transfected with the constructs containing B/K CLS, but not with the construct in which B/K CLS was mutated (AC:TG). Taken together, we suggest that the transcription of B/K gene in PC12 cells may be regulated by PKA-dependent mechanism.

한국인에서의 hepatocyte nuclear factor-4α의 유전자 다형성과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성 (Association of Hepatocyte Nuclear factor-4α Polymorphisms with Type 2 Diabetes in Koreans)

  • 김수원;유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62-365
    • /
    • 2009
  • Hepatocyte nuclear factor-$4{\alpha}$ (HNF-$4{\alpha}$)는 췌장 베타세포의 발생,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로서, 그 유전자 변이와 MODY와의 연관성이 보고된 바 있다. 특히, 일본인의 경우에는 HNF-$4{\alpha}$ 12352 C>T가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NF-$4{\alpha}$의 유전자 변이와 제2형 당뇨병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한국인에서도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HNF-$4{\alpha}$의 유전자 변이인 12352 C>T와 제2형 당뇨병사이에는 구체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된 이전의 일본인이나 유럽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이며, 한국인을 위한 고유의 통계적 data로서 의미가 있는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원인을 유추해본다면, 인종에 따라 서로 다른 유전적 그리고 환경적인 요인의 차이에 의해 다형성이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는 당뇨병과 같은 질환이 특정한 한 두 개의 유전자 이상에 의해서 발생되기 보다는, 여러 유전자들이 상호 작용함으로써 발생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인종이나 민독과 같은 인구 집단 사이에 유전인자의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도 판단된다. 따라서 연구결과의 임상적인 의의를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하여서는 향후 대상 환자 수와 대조군을 더욱 늘리고 다양한 HNF-$4{\alpha}$ 유전자 다형성을 후보로 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법랑아세포종에서 p21 및 p53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P21 AND P53 EXPRESSION IN AMELOBLASTOMA)

  • 신동준;명훈;황경균;김명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4호
    • /
    • pp.199-205
    • /
    • 2003
  • The p53 protein was discovered in 1979 as cellular 53-kD nuclear phosphoprotein bound to the large transforming antigen of SV40 virus. $P21^{WAF1/CIP1}$, which has been described as the critical downstream mediator of p53, is known to suppress DNA replication and arrest the G1 cell cycle by quaternary complex with cyclin D, cyclin-dependent kinase(CDK) an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 In these days, some studies shows that the p21 can be induced by independent pathways. There are various reports about the expression of p21 (67%.82.4%)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But these studies are mostly done in malignant tumor not in benign tumor. So we decided to study the expression of p21 in ameloblastom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53 and p21 as a downstream mediator of p53 in ameloblastoma.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p21 and p53 with the method of immunohistochemistry. We selected 30 cases of ameloblastoma tissue blocks (acanthomatous type: 5 cases, follicular type: 8 cases, plexiform type: 17 cases) imbedded in paraffin. We used 30 cases of normal gingival tissues and 30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tissues (SCC) respectively and compared their results with those of ameloblastoma. We made slides with the streptavidin-biotin methods and used monoclonal antibody DO-7 (Novocastra, Newcastle, United Kingdom) as p53 antibody and monoclonal antibody M7202 (DAKO, California, U.S.A.) as p21 antibody. We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analyse the relationshi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21 was expressed in ameloblastoma about 30% and this is lower than that of normal gingiva and SCC. 2. In normal gingiva and ameloblastoma, p21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p53 expression. 3. In SCC, p21 were expressed about 83.3% and this is more than that of p53.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21 and p53 expression. We confirmed p21 expression and relation with p53 in ameloblastoma. But, to confirm the function of p21, more studies about p21 expression in malignant ameloblastoma and ameloblastic carcinoma are needed.

폐상피세포에서 Dexamethasone에 의한 NF-${\kappa}B$ Transactivation 억제기전에 관한 연구 (Inhibitory Mechanism on NF-${\kappa}B$ Transactivation by Dexamethasone in Pulmonary Epithelial Cells)

  • 이계영;김윤섭;고미혜;박재석;지영구;김건열;곽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5호
    • /
    • pp.682-698
    • /
    • 2000
  • Glucocorticoid receptor (GR) functions as a suppressor of inflammation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many cytokine genes activated by NF-${\kappa}B$.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by which GR repress NF-${\kappa}B$ activation in lung epithelial cells. We used A549 and BEAS-2B lung epithelia! cell lines. Using Ig$G{\kappa}$-NF-${\kappa}B$ luciferase reporter gene construct, we found that dexamethasone significantly suppressed TNF-$\alpha$-induced NF-${\kappa}B$ activation and the overexpression of GR showed dose-dependent reduction of TNF-$\alpha$-induced NF-${\kappa}B$ activity in both cell lines. However, DNA binding of NF-${\kappa}B$ induced by TNF-$\alpha$ in electromobility shift assay was not inhibited by dexamethasone. Super shift assay with anti-p65 antibody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p65 in NF-${\kappa}B$ complex induced by $\alpha$ Western blot showed that $I{\kappa}B{\alpha}$ degradation induced by TNF-$\alpha$ was not affected by dexamethasone and $I{\kappa}B{\kappa}$ was not induced by dexamethasone, neither. To evaluate p65 specific transactivation, we adopted co-transfection study of Gal4-p65TA1 or TA2 fusion protein expression system together with 5xGal4-luciferase vector. Co-transfection of GR with Gal4-p65TA1 or TA2 repressed luciferase activity profoundly to the level of 10-20% of p65TA1- or TA2-induced transcriptional activity. And this transrepressional effect was abolished by co-transfection of CBP of SRC-1 expression ve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mediated transrepression of NF-${\kappa}B$ in lung epithelial cells is through competing for binding to limiting amounts of transcriptional coactivators, CBP or SRC-1.

  • PDF

한국인에서의 아디포넥틴의 유전자다형성과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성 (Association of Adiponectin Polymorphisms with Type 2 Diabetes in Korean Population)

  • 유민;김수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95-1498
    • /
    • 2009
  • Adiponectin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 중의 하나로서 에너지 대사,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계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Adiponectin 유전자는 염색체상에서 제2형 당뇨병 감수성과 연관된 것으로 확인된 3q27 부위에 위치하는데[4], adiponectin 유전자의 일부 유전자 다형성이 adiponectin 농도, 제2형 당뇨병, 비만과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T45G와 G276T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iponectin 유전자 다형성과 제2형 당뇨병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한국인에서도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T45G 유전자 다형성은 제2형 당뇨병과 유의성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나, G276T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여러 인구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에 T45G 유전자 다형성의 경우에는 한국인에서 제2형 당뇨병의 marker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Adiponectin은 이미 항염증반응, 항동맥경화 작용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제2형 당뇨병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므로 adiponectin을 증가시킴으로써 제2형 당뇨병이나 비만 등의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adiponectin의 분자 수준에서의 연구를 위해서 유전자 다형성과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adiponectin 유전자 다형성에 관한 본 연구결과의 임상적인 의의를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하여서는 향후 대상 환자 수와 대조군을 더욱 늘리고 다양한 adiponectin 유전자 다형성을 후보로 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산 백합 (Meretrix lusoria) 의 전사체 분석 (Expressed sequence tag analysis of Meretrix lusoria (Veneridae) in Korea)

  • 강정하;정지은;김봉석;안철민;강현숙;강세원;황희주;한연수;채성화;고현숙;이준상;이용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77-384
    • /
    • 2012
  • The importance of biological resource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and mollusks have been utilized as main fishery resources in terrestrial ecosystems. But little is known about genomic and transcriptional analysis in mollusk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transcriptomic profile of Meretrix lusoria.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cDNA library and determined 542 of distinct EST sequences composed of 284 singletons and 95 contigs. At first, we identified 180 of EST sequences that have significant hits on protein sequences of the exclusive Mollusks database through BLASTX program and 343 of EST sequences that have significant hits on NCBI NR database. We also found that 211 of putative sequences through local BLAST (blastx, E < e-10) search against KOG database were classified into 16 functional categories. Some kinds of immune response related genes encoding allograft inflammatory factor 1 (AIF-1), B-cell translocation gene 1 (BTG1), C-type lectin A, thioester-containing protein and 26S proteasome regulatory complex were identified. To determine phylogenetic relationship, we identified partial sequences of four genes (COX1, COX2, 12S rRNA and NADH dehydrogenase) that significantly matched with the mitochondrial genomes of 3 species-Ml (Meretrix lusoria), Mp (Meretrix petechialis) and Mm (Meretrix meretrix).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re was a little bit of a difference between sequences of Korean isolates and other known isolates.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develop breeding technology and might also be helpful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system.

3형 아데노바이러스의 면역조절 유전자 다양성 (Genetic Variation in the Immunoregulatory Gene of Adenovirus Type 3)

  • 최은화;김희섭;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2호
    • /
    • pp.199-204
    • /
    • 2009
  • 목 적: 아데노바이러스 early region 3 (E3) 유전자 단백은 세포독성 세포와 다양한 싸이토카인이 매개하는 세포파괴를 저해하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는 E3 유전자의 다양성이 아데노바이러스의 분자생물학적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는지 밝히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0년 동안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하기도 감염증으로 치료받은 소아로부터 분리 된 3형 아데노바이러스 14 주를 대상으로 하여 E3 유전자의 변이와 유전체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3형 아데노바이러스의 E3 유전자는 표준 주(M15952)와 비교하여 98%의 일치도를 보였으며, 국내 분리 주간의 일치도는 98.7%이었다.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는 20.1 kDa, 20.6kDa, truncated 7.7 kDa, 10.3 kDa, 14.9 kDa, 그리고 15.3kDa에 나타났다. 또한, 14 주 모두에서 truncated 7.7 kDa의 시작 코돈에 missense 변이가 있었으며, 58개(10주) 혹은 94개(4주)의 염기쌍이 소실되는 변이가 동반되었다. 유전체형에 따른 E3 유전자의 변이는 대개 유전체형에 특이하게 나타나 연관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3형 아데노바이러스 주의 면역기능 조절 유전자 E3의 다양성은 유전체형과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CR-T- RFLP Analyses of Bacterial Communities in Activatced Sludges in the Aeration Tanks of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RHO SANG CHUL;AN NAN HEE;AHN DAE HEE;LEE KYU HO;LEE DONG HUN;JAHNG DEOK 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87-295
    • /
    • 2005
  • In order to compare bacteria]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in activated sludges,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of PCR-amplified 16s rDNAs was analyzed for 31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TPs).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stewaters, the bacteria] community structures of activated sludges appeared diverse and complex. In particular, activated sludges in domestic WTPs contained higher bacterial diversity than those in industrial WTPs. It was also found that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T-RF) profiles derived from domestic WTPs were very similar with each other, although activated sludge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plants at different locations. Interestingly, activated sludges of a WTP where restaurant and toilet sewages of a company were managed showed a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domestic WTPs. Activated sludges in leather industria] WTPs also showed a high similarity. However, other wastewaters possessed different bacterial communities, so that overall similarity was as low as about $30\%$. Since activated sludges from WTPs for domestic wastewaters and a company sewage appeared to hold similar bacterial communities, it was necessary to confirm if similar wastewaters induce a similar bacterial community. To answer this question, analysis of T-RFs for activated sludges, taken from another 12 domestic WTPs, was conducted by using a 6­FAM$^{TM}$-Iabeled primer and an automated DNA sequencer for higher sensitivity. Among 12 samples, it was again found that T-RF profiles of activated sludges from Yongin, Sungnam, Suwon, and Tancheon domestic WTPs in Kyonggi-do were very similar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RF profiles of activated sludges from Shihwa and Ansan WTPs were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was thought that this deviation was caused by wastewaters, since Ansan and Shihwa WTPs receive both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waters. From these results, it was tentatively concluded that similar bacterial communities might be developed in activated sludges, if WTPs treat similar wastewaters.

사람의 Interleukin-29 유전자의 새로운 변이의 단리 및 그들의 연관 (Novel Variations in Human Interleukin-29 and Their Association)

  • Song, Ju-Hee;Chae, Soo-Cheon;Lee, Jae-Hoon;Chung, Hun-Taeg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5-279
    • /
    • 2004
  • 사이토카인과 그들 수용체의 유전자 다형성은 면역작용에 의한 질병들의 발병원인에 있어서 유전적인 인자로 여겨지는 후보물질들로서, 자가면역질환 및 염증성 그리고 감염질환에 민감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새롭게 보고된 Interleukin-29유전자는 유전학적 질병들의 복잡한 특성을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후보유전자이지만 이 유전자에 대한 다형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바 없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처음으로 프로모터부분을 포함한 Interleukin-29 유전자의 전체 지름 DNA에서 유전자의 다형성을 염기서열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탐색하였다. Interleukin-29 유전자의 다형성들이 한국인의 알레르기성 비염의 감염력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알레르기성 비염환자 및 알레르기성 비염이 걸리지 않은 정상인의 다형성을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비교분석 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사람의 Interleukin-29 유전자의 한 개의 신규의 다형성 (1184C>A)을 intron 2에서 그리고 한 개의 신규의 변이부위 (-1842_-1841dupGA)를 프로모터에서 찾아냈다. 우리들의 연구 결과는 이들 유전자 다형성 부위 및 변이부위가 알레르기성 비염과 연관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양서류 피부 상처회복과정에 대한 조직화학적 분석 (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Cutaneous Wound Healing in the Amphibian)

  • 임도선;정순정;정제오;박주철;김흥중;문명진;정문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1호
    • /
    • pp.1-11
    • /
    • 2004
  • 상처회복과정은 염증, 재상피화, 그리고 기질의 재형성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생물학적 반응이다. 생물학적 분류체계에서, 회복능력은 매우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하등동물이 고등동물에 비교해 단순하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하등동물들을 이용한 실험모델은 상처회복과 치유의 기작을 연구하는데 자주 이용되고 있다. 양서류를 이용한 피부 상처회복과정 동안의 조직화학적 특성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산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를 이용하였다. 1일, 10일 그리고 16일의 조직에서 점액물질이 활발하게 분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PAS (periodic acid shiff)와 Alcian blue (pH 2.5) 반응에 강하게 염색되었다. PTAH(phosphotungstic acid hematoxylin) 염색을 통하여 상처 후 10일 조직에서 상처주변의 진피층에서 콜라겐의 합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의 유사분열의 시점을 확인하기 위한 MG-P (methyl green pyronin)염색에서 초기에는 3시간과 6시간에 강한 염색반응을 관찰하였고, 이는 23일과 27일 조직에서도 동일한 패턴으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