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P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3초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Affective Factors Regarding Conceptual Understanding in High School Physics

  • Kim, Min-Kee;Ogawa, Masakata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97-509
    • /
    • 2007
  • Among many remedial approaches against the increasing unfavorableness toward school science, one of the prevalent findings studied by affective experts is that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ir attitude toward it has a relatively weak relationship. In contrast, cognitive experts assert that the conceptual change involves more than cognitive aspects, and may be influenced by affective factors such as beliefs, motivation, learning attitudes, and sociocultural contexts. The latter regards continuous conceptual change as leading to better student understanding of science with variables of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As an initial step toward illuminating the affective-cognitive learning aspects of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ffective factors. Cognitive questionnaires from the database of distribution in students' misconceptions of physics (DMP project), and affective questionnaires from the Relevance of Science Education (ROSE project) are integrated into our instrument. The respondents are high school students in Okayama prefecture, Japan. Through the pilot test, the authors integrated attitude toward science (AS) and interest inventory (II) from ROSE into cognitive understanding (CD) from DMP. Statistical methodologies such as factor analysis and item total correlation theoretically discerned the effective sixty-three items from the two original item pools. Having discussed two validity issues, the authors suggest ongoing research associated with our affective-cognitive research perspective.

경화온도에 따른 Castor Oil/epoxy의 강인성 (The Toughness of Castor Oil Modified Epoxy Resins by Various Cure Temperatures)

  • 김종석;홍석표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973-978
    • /
    • 1997
  •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수지에 castor oil(CO)로 혼합한 후 경화촉매인 tris(dimethylaminomethyl) phenol (DMP-30)로 반응시킨 에폭시의 강인성과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개질제인 CO와 에폭시수지의 혼합물은 기존의 에폭시 개질제인 carboxyl 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CTBN)보다 상용성이 좋았다. 경화온도와 CO의 양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가 감소하였는데, CO/에폭시 경화물은 경화온도가 증가할수록 가교밀도가 감소하면서 연성구조를 갖게 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CO/에폭시 경화물은 경화온도 $40^{\circ}C$에서 C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강인성이 약간 증가하였다. 경화온도가 증가와 C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강인성이 증가하였다.

  • PDF

Constructions of bft-k and t-3 Deficient Mutants of Bacteroides fragilis: Possible Role for Metalloprotease in Pathogenesis

  • Lee, Gun-Young;Rhie, Gi-Eun;Chung, Gyung-Tae;Sung, Won-Keun;Oh, Hee-B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305-308
    • /
    • 2003
  • We earlier reported the identification of bif-k, t-3, and a third ORF from an enterotoxigenic strain of Bacteroides fragilis 419, which was isolated from the blood of a Korean patient suffering from systemic infect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deleted fragments of the t-3 and the bft-k genes from B. fragilis 419 were cloned into suicide vector PJST55 and used to create a mutant with chromosomal disruption of the t-3 and bft-k genes. Structures of the selected mutants, DMP-2 and DBT-4, were found to be intermediate forms that integrated the suicide vector into the chromosome. t-3 disrupted Dmp-2 and Bft-k disrupted DBT-4 did not react with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T-3 or BFT-K, and had no biological activity in $HT29/C_1$, cells.

백서에서 치수절단술에 사용하는 TheraCal LC, MTA 그리고 Formocresol의 비교 (Comparison of TheraCal LC, Mineral trioxide aggregate, and Formocresolas pulpotomy agents in rat molar)

  • 이빈나;송영상;이고운;김영훈;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7-195
    • /
    • 2017
  • Formocresol (FC)은 치수절단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재료이지만, 재료의 독성 때문에 현재 calcium hydroxide나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가 치수절단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레진계열 calcium silicate 제재인 Theracal LC가 치수 이장재로 개발이 되었으며, 이는 광중합을 통해 경화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해서 MTA를 적용할 수 없는 치아에 사용할 수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FC, MTA 및 Theracal LC를 각각 치수절단술 후에 적용했을 경우 경조직 형성 능력과 치수반응을 비교하는 것이다. Sprague Dawley Rat의 상악 대구치 치수절단술 후 FC, MTA 및 Theracal LC를 적용하였다. 경조직 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kyscan을 사용해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촬영(micro CT) 이미지를 획득하고, he matoxylin and e osin (H&E) 염색을 하여 조직학적 반응을 확인하였다. Dentin matrix protein-1 (DMP-1)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면역형광 염색을 시행하였다. FC를 사용한 시편에서는 경조직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치수절단술이 시행된 인접면에 염증반응이 관찰되었고 DMP-1발현은 확인되지 않았다. MTA와 Theracal LC를 사용한 시편에서는 경조직 형성이 관찰되었고 DMP-1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MTA나 Theracal LC를 사용한다면 남아있는 치수의 생활력과 기능을 유지시켜 보다 좋은 치료 예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ime Serial Concentration of Phthalate Esters and Bisphenol-A Contaminated from Spring Water Container's Cap and Seal Film

  • Park Chan Koo;Shin Jeong Sik;Kim Min Young;Kim Pan Gyi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57-466
    • /
    • 2005
  • Industrial plasticizers such as phthalates can induce peroxisome proliferation. A growing concern among environmental and health groups has arisen because phthalates such as di-2-ethy1hexy1 phthalate (DEHP) and DBP may cause hormonal disorders, reproductive toxicity, hepatocellular tumors, genital disorders owing to a capacity to bind estrogen receptors, and a low-dose toxic action during certain periods of fetal development. Phthalate esters are used extensively as a plasticizer for plastic manufacture such as PVC bags and medical devic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eached components from spring water container's cap and seal film. Phthalates, e.g. dimethy1 phthalate (DMP), diethy1 phthalate (DEP), di-n-buty1 phthalate (DBP), benzy1buty1 phthalate (BBP), di-(2-ethy1hexy1) phthalate (DEHP), and bisphenol A (BPA) were measured in the spring water. The bisphenol A was not detected or below the detection limit on the leaching from cap, sealing or spring water. DEHP were detected 90-116 ppb on the leaching from seal after 2 weeks, and 0.48-0.51 ppb from the spring water after I week. BBP were measured from seal within 1 week 25.4-66 ppb and below 0.12 ppb from spring water within 2 days. DMP were detected from seal within 2 weeks 51-68.5 ppb and 0.12 ppb after 2 weeks. DEP were measured from seal within 2 weeks 48.1-141 ppb and the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by the time from 0.10 to 0.31 ppb at spring water. DBP were detected from the seal within 2 weeks 92.3-5100 ppb and the concentration were decreased by the time from 0.24 to 0.10 ppb at spring wa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me phthalate esters contaminated with spring water using the intact cap and seal film. It is concluded that the measured levels of phthalates leaching from these materials might in vivo only be slightly less than 1/10 of the LOAEL.

광 디스크의 기록 품질 향상을 위한 레이저 파워 컨트롤 (Laser Power Control for Improvement of Recording Quality of Optical Disc)

  • 정만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80-1580
    • /
    • 2007
  • 광디스크를 재생 및 기록 가능한 기기는 그동안 IT에 용이한 컴퓨터 중심의 ODD(Optical Disc Drive)를 기반으로 급속히 발전해 오고 있었으나, 홈 엔터테인먼트의 발전과 이에 대한 관심의 증폭으로 AV용의 레코더가 2000년대에 등장하게 되었다. AV용 DVD 레코더의 경우 PC용 ODD에 비해 소음 및 세트 내부 온도 등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고, 여러 규격들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구현에 많은 어려움과 제약이 따른다. 그리고 DVD 레코더는 방송 등을 스트림 기록해야 하므로 기록 신뢰성에 더욱 엄격함을 요구한다. 이에 기록 품질에 관련된 중요 Factor들이 존재하게 된다.

  • PDF

Biodegradation of Endocrine-Disrupting Phthalates by Pleurotus ostreatus

  • Hwang, Soon-Seok;Choi, Hyoung-Tae;Song, Hong-G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767-772
    • /
    • 2008
  • Biodegradation of endocrine-disrupting phthalates [diethyl phthalate (DEP), dimethyl phthalate (DMP), butylbenzyl phthalate (BBP)] was investigated with 10 white rot fungi isolated in Korea. When the fungal mycelia were added together with 100 mg/l of phthalate into yeast extract-malt extract-glucose (YMG) medium, Pleurotus ostreatus, Irpex lacteus, Polyporus brumalis, Merulius tremellosus, Trametes versicolor, and T. versicolor MrP1 and MrP13 (transformant of the Mn-repressed peroxidase gene of T. versicolor) could remove almost all of the 3 kinds of phthalates within 12 days of incubation. When the phthalates were added to 5-day pregrown fungal cultures, most fungi except I. lacteus showed the increased removal of the phthalates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n-pregrown cultures. In both culture conditions, p. ostreatus showed the highest degradation rates for the 3 phthalates tested. BBP was degraded with the highest rates among the 3 phthalates by all fungal strains. Only 14.9% of 100 mg/I BBP was degraded by the supernatant of P. ostreatus culture in YMG medium in 4 days of incubation, but the washed or homogenized mycelium of P. ostreatus could remove 100% of BBP within 2 days even in distilled water, indicating that the initial BBP biodegradation by P. ostreatus may be attributed to mycelium-associated enzymes rather than extracellular enzymes. The biodegradation rate of BBP by the immobilized cells of P. ostreatus was almost same as that in the suspended culture. The estrogenic activity of 100 mg/I DMP decreased during biodegradation by P. ostreatus.

데이터 관리 계획의 국내 현황 및 과제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Data Management Plan in Korea)

  • 최명석;이상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20-229
    • /
    • 2020
  •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연구 패러다임이 데이터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연구데이터의 국가적 관리와 활용은 연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나아가 데이터 기반으로 급변하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공적 지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공유·활용을 위한 정책과 인프라 구축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9년 국가연구개발과제 제안시 데이터 관리 계획을 제출하도록 관련 규정이 개정되었다. 데이터 관리 계획 제도가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에게 다양한 지원 여건이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 관리 계획 가이드라인과 이행 절차는 국가 또는 기관 차원의 연구데이터 관리·활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관리 계획의 개요와 국내의 추진 현황 및 이슈를 살펴보고, 작성 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 적용프로세스, 그리고 연구기관에서의 이행방안을 제시한다.

일단계 추출 및 메칠화법에 의한 유료작물의 지방산 분석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is of Major Oil Crops by One-Step Extraction/Methylation Method)

  • 김진경;김남희;방진기;이병규;박충범;이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11-215
    • /
    • 2000
  • 시료의 지방산 분석은 먼저 지방의 추출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시료량 및 시약이 많이 들고 또한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지방 추출 및 지방산의 에스테르화를 한 단계에서 실시하는 One step extraction/methylation법(방법 1)에 따라 주요 유료작물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았다 이 방법은 methanol-heptane-benzene-DMP-H$_2$SO$_4$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지방 추출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단일층에서 일어나게 한것으로 기존의 sodium methoxide를 촉매로 한 methanolysis 법에 의한 지방산 분석 결과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이 혼합시약으로 이미 추출된 지방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을 때에도(방법 2) 기존방법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 One step extraction/methylation법은 시료가 생체이든 추출된 지방이든 그 과정이 단순하고 시간과 노력이 훨씬 적게 소요되어 지방산 분석에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1회에 많은 시료를 처리하고자 할 때 더욱 분석효율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열유도 상분리와 연신공정을 이용한 PVDF 중공사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VDF Hollow Fiber Membrane via TIPS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and Stretching)

  • 박민수;김진호;장문석;김성수
    • 멤브레인
    • /
    • 제24권2호
    • /
    • pp.158-1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PVDF 중공사막을 열유도상분리와 연신의 복합공정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연신비에 따른 분리막의 구조 및 물성을 분석하였다. 이 분리막 제조의 메카니즘은 액-액 상분리에 기초하며, 최종 중공사막은 bicontinuous한 구조와 연신에 의해 fibrill 구조를 가지게 되어, 구정(spherulite)구조를 갖는 고-액 상분리막과 bicontinuous한 구조만을 갖는 액-액상분리막과 차별화된다. 우선, TIPS공정을 통해, gamma-butyrolacton, dimethyl phthalate (DMP), diethyl phthalate (DEP), dibutyl phthalate (DBP) 등을 단일 혹은 이들을 조합한 혼합 diluent로 사용하여, 냉각조건, PVDF와 희석제의 함량을 조절하면서 중공사막 전구체를 제조하고, 후속공정인 연신에 의해 최종적으로 중공사막의 외부표면을 porous하게, 혹은 dense하게 만들 수 있었다. 연신된 중공사막을 에탄올에 추출, 건조한 후 SEM을 통하여 pore 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수투과량, 다공도, 기공 크기, 표면 거칠기, 인장강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