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P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1초

Lactoferrin Constitutively Enhances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in Vitro

  • Yang, Hee-Young;Lee, Ha-Mi;Park, Byung-Ju;Lee, Tae-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9권3호
    • /
    • pp.145-151
    • /
    • 2014
  • During bone remodeling, there is requirement of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cells. Previously, we identified protein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soft tissue during bone healing. Of these proteins, we focused the effect of LTF on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In order to analyze the osteogenic ability of LTF, we treated conditioned media collected from human LTF-stably transfected HEK293T cells into osteoblastic MC3T3-E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ity and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were increased in MC3T3-E1 cells treated with conditioned media containing LTF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At the same time, we observed the significant increase of the expression of osteoblastic genes, such as ALP, BSP, COL1A1, and OCN, and along with matrix mineralization genes, such as DMP1 and DMP2, in LTF conditioned media-treated groups. Moreover, the result of treating recombinant human LTF directly into osteoblastic MC3T3-E1 showed the same pattern of treating conditioned media containing LTF. Our study demonstrated that LTF constitutively enhances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via induction of osteoblastic genes and activation of matrix mineralization in MC3T3-E1 cells.

화훼작업 종사자의 유기인계 및 피레스로이드 살충제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 (Biological Monitoring of the Exposure Level of Organophosphorus and Pyrethroid Pesticides in Floriculture Workers and Florists)

  • 송재석;권기두;최홍순;유호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47
    • /
    • 2014
  • 생체시료를 이용하여 화훼 농작업자와 플로리스트의 유기인계와 피레스로이드 살충제 노출 평가를 하였다. 유기인계는 소변중 DMP, DEP, DMTP, DETP를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는 Cis/Trans DCCA, DBCA 그리고 3-PBA를 대상으로 평가 하였다. 연구 결과 DMP는 화훼 농작업자에서 가장 높았으며, 반면 DETP는 소매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의 대사물질은 3-PBA가 화훼 농작업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화훼 농작업자는 살충제에 고농도로 노출됨을 알 수 있으며, 화훼를 대량으로 취급하는 도매상들도 살충제에 많이 노출됨을 알수 있었다.

일부 농업인에서의 농약살포방식 및 보호구 착용에 따른 유기인계 농약노출평가 (Evaluation of Exposure to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ccording to Application Type and the Protective Equipment among Farmers in South Korea)

  • 이지영;노상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2-18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일부 농업인을 대상으로 유기인계 농약 노출수준과 농약살포 특성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변시료를 채취하여 GC/MSD와 G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소변 중 DMP, DMTP, DEP, DETP를 대상으로 검출률 및 노출수준을 평가 하였다. 검출률은 DMP, DMTP에서 캡이 없는 SS살포기가 캡이 있는 SS살포기보다 높았고, 보호구 착용률이 낮을수록 높았다. 노출수준은 동력 분무기가 가장 높았고, 캡이 있는 SS살포기에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착용 보호구 개수가 증가할수록 노출수준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출률은 카이제곱, 노출수준 비교는 연령 및 살포방법을 보정한 GL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ramid단섬유보강 고기능폴리에틸렌 및 에폭시 복합재료 제조- I.DSC에 의한 에폭시/아민계의 경화 촉진 연구 (Short Aramid Fiber Reinforced Polyethylene and Epoxy Composity- I. Studies on the Curing Acceleration of Epoxy/Amine System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 하창식;임승하;김병규;신영조;조원제
    • 공업화학
    • /
    • 제3권1호
    • /
    • pp.111-118
    • /
    • 1992
  •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에폭시 - 아민계의 경화 촉진을 연구하였다.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DGEBA)든 촉진제와 함께 또는 촉진제 없이 메틸렌디아닐린(MDA)으로 경화시켰다. 본 연구를 위하여 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DMP - 30)과 3 - (3,4 - 디클로로페닐) - 1,1 - 디메틸우레아(DIU-ON) 두 종류의 촉진제를 사용하였는데 경화시의 발열량, 유리전이온도($T_g$) 및 동적 DSC에 의한 활성화에너지 계산에 의해 DMP - 30이 빠른 경화 속도 및 낮은 활성화에너지를 보여 DIURON보다 양호한 촉진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Nuclear Factor I-C 과발현과 발현억제가 MDPC-23 상아모세포주의 상아질 기질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ver-expression and Inactivation of Nuclear Factor I-C on the Dentin Matrix Gene Expression of MDPC-23 Odontoblasts)

  • 배현숙;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27-433
    • /
    • 2009
  • 본 연구는 상아모세포의 분화와 상아질 형성과정에서 필수적인 인자로 알려진 NFI-C가 상아모세포 기질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MDPC-23 상아모세포에 NFI-C 유전자를 과발현 시키거나 발현억제시킨 후 상아질 기질단백질 유전자들의 발현을 RT-PCR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DPC-23 세포에서 NFI-C mRNA는 NFI-C 과발현후에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NFI-C 발현억제 후에는 감소하였다. 2. NFI-C가 과발현된 MDPC-23 세포는 NFI-C 단백질이 핵과 세포질에서 뚜렷이 관찰되었으나, NFI-C 발현이 억제된 MDPC-23 세포에서는 NFI-C 단백질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3. NFI-C 발현이 억제된 MDPC-23 세포는 대조군에 비하여 I형 아교질, OC, 및 DSPP mRNA의 발현은 감소하였으나 BSP의 발현은 증가하였다. ALP와 DMP4의 발현은 NFI-C 발현억제 후에도 변화가 없었다. 4. NFI-C가 과발현된 MDPC-23 세포에서는 ALP와 DMP4 mRNA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I형 아교질, OC, DSPP, 및 BSP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 PDF

다양한 반응조건에 따른 폴리페닐렌에테르의 중합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phenylene ether)s in Various Reaction Conditions)

  • 박종현;김남철;김용태;남성우;김영준;김지흥
    • 폴리머
    • /
    • 제35권3호
    • /
    • pp.244-248
    • /
    • 2011
  • Copper(I) chloride와 아빈 계열의 리간드와의 Cu-amine complex 촉매를 사용한 단량체 2,6-dimethlyphenol (DMP)의 산회중합을 통하여 poly (2,6-dimethyl-1,4-phenylene ether) (PPE)를 제조하였다. 중합반응에 있어서 DMP와 촉매의 비율, 다양한 리간드 및 첨가제로서 2,4,6-trimethylphenol(TMP)의 함량 등 여러 반응 변수들의 영향을 분자량측정, 열분석, 및 광학적 특성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DMP의 산화중합에 사용된 다양한 Cu-amine 촉매 system의 중합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oxygen-uptake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제조된 PPE의 EDTA 수용액을 사용한 정제 방법을 통하여 잔류촉매 제거가 PPE의 열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TGA를 통해 확인하였다.

내부중합에 의한 아스팔트바인더 개질 연구 (Modification of Asphalt by in-situ Polymerization)

  • 이상염;문성호;진정훈;홍영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3호
    • /
    • pp.257-261
    • /
    • 2011
  • 새로운 아스팔트 개질 방법을 소개한다. 일반 아스팔트에 플라스틱 고분자의 단량체인 디메틸페놀(DMP)를 혼입하여 아스팔트 내부에서 외부의 반응촉매 투입 없이 공기 중의 산소분자에 의하여 열가소성 고분자인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PO)가 자율적으로 중합되면서 아스팔트의 소성변형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 개질아스팔트를 얻었다. 인장실험에서, 아스팔트 내에서 생성된 PPO에 의해, 기계적 특성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인 티네시티와 터프네스가 순수 아스팔트보다 각각 두 배 반 그리고 세 배 가량 증가하였다.

디지털 컨텐츠의 보호기술에 관한 기술동향 분석 (Research on the Trend of Digital Contents Protection Techniques)

  • 박진;나철훈;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094-1097
    • /
    • 2005
  • 저작권의 보호 및 관리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디지털화에 매우 중요한 선결 과제로 이슈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국내외 미디어 서비스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저작권 및 디지털 컨텐츠 보호를 위한 기술인 IPMP(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DMP(Digital Media Project), ENTHRONE(End-to-end Qos through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ent, Networks and Terminals),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의 기술개발 현황을 조사 분석한다. 표준안이 마련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 여러 업체 및 연구기관에서는 독자적인 기술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솔루션을 연구개발하고 표준안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연구기관들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PDF

연구 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를 위한 핵심요소의 기능적 요건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Core Elements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ervice)

  • 김주섭;김선태;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17-344
    • /
    • 2019
  • 데이터의 가치 증대, 연구 방법의 패러다임 변화 그리고 오픈 사이언스 등의 구체적 발현은 연구가 더 이상 기존의 학술지와 같은 텍스트 중심이 아닌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국내 연구가 미흡한 연구 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를 위한 핵심요소와 해당 기능적 요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DCC, ICPSR, ANDS 그리고 DataONE에 대한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핵심 요소는 'DMP 작성지원', '데이터 기술', '데이터 저장', '데이터 공유 및 접근', '데이터 인용' 그리고 '데이터 관리 교육' 등이다. 또한 도출된 핵심 요소에 기능적 요건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실질적으로 RDM 서비스를 구축 및 운영하고자 할 때 본 연구의 내용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기간 동안 돌산 갓 피클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lsan Leaf Mustard Pickles)

  • 손혜련;오선경;배상옥;최명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936-9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돌산 갓을 이용하여 저염 피클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저장기간 중 이화학적 및 관능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돌산 갓 피클을 −2℃에서 90일 동안 저장하였다. 염도는 1.63~1.85% 범위를 유지하였다. pH는 저장 0일째 약 4.5에서 저장 90일째 4.37로 감소하였다. 산도는 저장기간 중 60일째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약 1.1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색도의 L값은 잎에서 30일째까지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고, 줄기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a값은 증가하였고, 반면에, b값은 감소하여 갈변 현상이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 수는 0일째 DMP잎에서 1.4×103 CFU/ml, DMP 줄기에서 5.6×103 CFU/ml로 나타났고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아삭거림이 30일째 감소하였고, 질긴 정도는 증가하였다. 신맛은 증가하였고, 짠맛은 감소하였다. 90일간 저장기간 동안에도 연부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래서 최적의 돌산 갓 피클은 30일째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돌산 갓은 저염 피클제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수입 위주의 피클을 대체함과 동시에 돌간 갓을 이용한 식품의 다양화에 기여하고자 분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