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2

검색결과 2,287건 처리시간 0.028초

An Update on Prader-Willi Syndrome with Diabetes Mellitus

  • Lee, Ji-Eun
    • Journal of mucopolysaccharidosis and rare diseases
    • /
    • 제2권2호
    • /
    • pp.35-37
    • /
    • 2016
  • Prader-Willi syndrome (PWS) often develops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related to severe obesity. The prevalence of T2DM in adults with PWS (7-20%) exceeds greatly the prevale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5-7%). It is uncommon for pre-pubertal children with PWS to develop overt diabetes or glucose intolerance. GH therapy and genotype did no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ltered glucose metabolism. It has been assumed that T2DM in PWS develops as a consequence of morbid obesity and concomitant insulin resistance. However recent studies suggest the relationship between morbid obesity and T2DM development is more complex and appears to differ in PWS subjects compared to non-PWS subjects. PWS patients had relatively lower fasting insulin levels and increased adiponectin levels compared with BMI-matched obese control despite of similar levels of leptin. So PWS children may be protected to some extent form of obesity-associated insulin resistance. Although there's no data, it seems logical to approach diabetes management including weight loss and increased exercise, using similar pharmacological agents as with non-PWS obesity-related diabetes such as metformin or thiazolidinedione, with the introduction of insulin as required. On the other hand, several recent T2DM in PWS case reports suggest favorable outcomes using Glucagon-like peptide 1 (GLP-1) analog with regard to ghrelin reduction, control of glucose and appetite, weight loss and pre-prandial insulin secretion. The role of GLP-1 agonist therapy is promising, but has not yet been fully elucidated.

유휴 논토양에서 가축분뇨의 시용이 Tall fescue의 잠재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on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s of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Schreb.) in Uncultivated Rice Paddy)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9-83
    • /
    • 2006
  • 본 실험은 유휴 논토양에 톨페스큐를 재배하였을 때, 액상구비를 물로 희석하거나 희석하지 않고 시기를 다르게 시용하여 계절별 및 연간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조사하고 화학비료 시비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도 비교하여 액상구비의 적정 시용 시기와 희석수준을 결정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액상구비를 물로 희석하거나 희석하지 않고 시용하였을 때 연간 건물수량이 ha당 각각 $5.50{\sim}7.71$톤(평균 6.43ton DM/ha)과 $5.84{\sim}7.38$톤(평균 6.56ton DM/ha)으로 무시비구의 ha당 3.82톤 보다 유의하게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는데(Table 2, p<0.05), 이러한 경향은 봄철에 시용한 구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2. 인산과 칼리 시용구와 인산과 칼리 및 질소를 시용한 구에서는 각각 연간 건물수량이ha당 6.12톤과 10.13톤으로 무시비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인산과 칼리 시용구의 연간 건물수량은 액상구비 시용구의 평균 연간 건물수량보다도 낮았다. 3. 화학비료구에서 무기태 질소의 건물생산효율은 연평균 26.7kg DM/kg N이었으며, 예취 시기별로 보면 2번초>1번초>3번초 순으로 낮아졌지만 액상구비 질소의 연간 건물생산효율은 무 희석구와 희석구가 각각 18.3과 17.4kg DM/kg N를 나타내었고 2번초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무기태 질소 대비 액상구비 질소의 건물생산효율은 무희석구와 희석구가 각각 68.5와 65.2%에 도달하였다. 4. 톨페스큐의 연간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무시비구가 11.5%로 화학비료구보다도 유의하게 높았으나 액상구비 희석 시용구($12.4{\sim}12.6%$)보다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한편 톨페스큐의 연 평균 NDF와 ADF 함량은 무시비구(각각 64.1과 37.2%)가 모든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낮았지만, 무시비구의 RFV(87.0)는 모든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액상구비 시용과 희석시용으로 톨페스큐의 연간 조단백질 수량과 가소화 양분수량은 무시비구 및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는데(p<0.05), 이러한 경향은 이른 봄에 액상구비를 시용한 구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 PDF

시용질소양이 상엽중 이온 균형 및 엽위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Rate on the Ionic Balance and the Variance with Leaf Sequance in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 이운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3-54
    • /
    • 1983
  • 하비의 질소시비량을 달리하였을 때 뽕나무의 생육, 수엽량, 이온함량의 변동과 엽위별 이동, 균형 등을 알기 위해 요소관행구(25kg/10a)와 요소 3배증시구(75kg/10a)를 설치하고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요소증시는 관행양에 비해 조장, 조중을 증가시켰으며, 정엽양은 9월20일경에 생물중으로 273.6kg/10a를 증가시켰다. 2. 뽕잎중의 수분함양은 8월30일까지 73%이상을 유지하였으나, 그 후 계속 감소되어 9월20일경에는 63%내외로 떨어졌다. 증시구에서는 관행구보다 0.1~1.8%정도 높았으며 10월10일경까지도 뽕잎이 연하였다. 3. 생육초기부터 계속 증가한 뽕잎의 건물중은 9월20일경에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지조의 무게는 9월 30일까지도 계속 증가하였다. 4. 엽중의 $Ca^{2+}$는 경시적으로 함양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K^{+}$$Mg^{2+}$은 감소되었으며, $Ca^{2+}$은 증시구에서 현저히 높았다. 5. 각종 이온의 경시적인 엽위별 이동을 보면 8월30일경에 전질소 및 수분함량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이동성이 불량한 $Ca^{2+}$와 Cl$^{-}$는 상부로, 양호한 $K^{+}$, H$_2$PO$^{-}$$_4$ 그리고 SO$^{2-}$ $_4$ 등은 하부로 점차 이동하였다. 6. 전질소의 함양은 8월30일 이전에 3,200me/kg DM에서 9월 초순 이후에는 2,000me/kg DM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관행구는 9월12일에, 증시구는 9월22일에 최대함량부위가 아래 엽위로 떨어지면서 10일후에는 각각 선단의 생장점이 고사ㆍ탈락하였다. 7. ∑C는 생육초기에 1,400me/kg DM에서 점차 증가하여 1,600me/kg DM 내외를, ∑A는 400me/kg DM 내외를, (C-A)는 생육초기에는 1,000me/kg DM에서 증가하여 1,200me/kg DM 내외를 각각 유지하였다. 8. ∑C, ∑A, (C-A) 등은 관행구에서 보다 증시구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증시구에서는Ca$^{2+}$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 NO$^{-}$$_3$, SO$^{2-}$ $_4$, H$_2$PO$^{-}$$_4$ 등이 다소 높았기 때문이다.

  • PDF

The Increase of Calcium Current in Smooth Myocytes of Mesenteric Arteriole of Rat with Diabetes Mellitus Induced Hypertension

  • Park Gyeong-Seon;Jang Yeon-Jin;Park Chun-Sik;Im Chae-Heon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회 진행표 및 논문초록
    • /
    • pp.61-62
    • /
    • 1999
  • ;The mechanisms inducing hypertension are actively investigated and are still challenging topics. Basically hypertension must be caused by the disorder of $Ca^{2+}$ metabolism in vascular smooth muscle, such as the increase of $Ca^{2+}$ influx, the decrease of ci+ efflux, or the change of sensitivity of contractile protein etc. The one of cause of the increase of ci+ influx may be the change of ci+ channel activity. Even though the relationships of ci+ channel activity and hypertension were studied using various hypertension models, still it is not clear how much change of $Ca^{2+}$ channel activity in diabetes mellitus (DM) induced hypertension is occurred. We induced DM hypertension in SD rat and compared the $Ca^{2+}$ channel activity with age-matched normotensive SD rat. For inducing DM hypertension, left kidney was removed with 200 gm rat and, after 1 month, 60 mg/kg of streptozotocin was injected into peritoneal space to induce diabetes mellitus. Usually after 4-6 weeks, hypertension was fully induced. For isolating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 we used mesenteric arteriole (3rd - 4th branch of mesenteric artery) of which diameter is below 150 urn. VSMCs were isolated enzymatically. $Ca^{2+}$ current was measured using whole cell patch clamp technique.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37^{\circ}C$. The cell membrane area of VSMC of DM hypertensive rat is larger than that of control VSMC($36.6{\pm}3.64{\;}pF{\;}vs{\;}22.4{\pm}1.29{\;}pF, {\;}mean{\pm}S.E.$) When we compared the current amplitude, the $Ca^{2+}$ current amplitude in VSMC of DM hypertensive rat is much larger than that in VSMC of normotensive age-matched rat. After $Ca^{2+}$ current amplitude was normalized by cell membrane area, the current amplitude in DM hypertension is increased to $249.1{\pm}15.9{\;}%{\;}(mean{\pm}S.E.M)$, which means the ;absolute current amplitude is about 4 times larger in DM hypertension. When we compared the steady state activation and inactivation. there were no noticeable differences. From these results. one of cause of the DM hypertension is due to the increase of $Ca^{2+}$ current amplitude. But it need further study why the $Ca^{2+}$ current is so large in VSMC of DM hypertension and how much $Ca^{2+}$ influx through $Ca^{2+}$ channel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intracellular $Ca^{2+}$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hypertension.ypertension.

  • PDF

가축분뇨의 시용시기와 희석이 목초의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Times and Dilution of Cattle Slurry on Orchardgrass (Dactyljs glomerata L.))

  • 조익환;이주삼;안종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9-217
    • /
    • 2004
  •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ying times and dilution rates of cattle slurry on dry matter yields of orchard grass. Cattle slurry was applied at the rates of average mineral nitrogen fertilizer equivalent to 150 kg/ha/year in 3 cutting frequency.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yields than that of no fertilization (3.04 ton DM/ha) were recorded in the application of diluted cattle slurry(5.38~6.25 ton DM/ha) (p<0.05). Especially, this tendency was shown with higher annual dry matter yields at the partitioned dressing times, such as at the applications for 1st and 2nd growth, 1st and 3rd growth, and 1st, 2nd and 3rd growth respectively. The yields of annual dry matter both at fertilizing phosphorus and potassium, and phosphorus, potassium and nitrogen were higher than no fertilization as 5.41 tons and 8.78 tons per ha respectively. However, with application of diluted cattle slurry, dry matter yield par year (5.84 ton DM/ha) was higher than those of fertilizing phosphorus and potassium. The efficiencies of dry matter production with mineral and cattle slurry nitrogen application (kg DM/kg N) were 225 and 15.8~18.7 kg DM/kg N respectively. Especially, these tendencies were higher in diluted application plots than in no-diluted application plots of cattle slurry.

  • PDF

블루투스 피코넷 환경에서 터보코드 기법을 이용한 WAP 패킷의 연구 (A Study of WAP Packet using Turbo Code Scheme in Bluetooth piconet Environment)

  • 문일영;조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53-556
    • /
    • 2005
  • Bluetooth 환경에서 SAR(Segment And Re-assembly)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WAP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WAP 패킷의 전송 시간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WAP의 전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 SAR의 과정은 WTP (Wireless Transaction Protocol) 상위계층에서 내려온 전체 메시지를 분할한 다음, 베이스밴드에서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Bluetooth 피코넷 환경에서 SA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Bluetooth 패킷 타입 중 DM(Data-Medium rate) 1, DM3, DM5 에 따른 Bluetooth 환경에서 WAP의 패킷 전송 시간을 분석하였다. 이 SAR 알고리즘은 멀티 슬롯으로 전송할 경우 L2CAP (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베이스밴드 패킷 전송 시간을 감소시킨다.

  • PDF

낙엽활엽수림에 있어서 표고 경도에 따른 임상유기물량의 변화 (Changes of the Amount of Forest Floor Organic Matter in Deciduous Forest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 이명종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72-80
    • /
    • 1995
  • 강원대학교 부속 연습림의 낙엽활엽수림에서 임상유기물(O층)의 집적에 미치는 표고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 O층의 두께는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F2층과 H층에서 뚜렷하였다. O층의 두께(X, cm)와 무게(Y, $kg/m^2$)의 관계는 직선회귀식 Y($kg/m^2$) = aX(cm)에 근사였으며, F2층, H층 및 F2 + H층에 대한 계수 "a" 의 값은 각각 0.43, 0.61 및 0.53이었다. 유기물의 용적중은 F2층, H층 및 F2+H층에서 각각 $45g/dm^2$, $60g/dm^2$$55g/dm^2$ 전후로 추정되었다. O층의 양은 표고 280m에서의 13ton/ha으로부터 표고 710m의 41ton/ha의 범위에 있었으며, F1, F2및 H층은 각각 5~10ton/ha, 5~11ton/ha 및 13~40ton/ha의 범위를 차지하였다.

  • PDF

Diabetes Mellitus and HbA1c Levels Associated with High Grade Prostate Cancer

  • Ozbek, Emin;Otunctemur, Alper;Dursun, Murat;Sahin, Suleyman;Besiroglu, Huseyin;Koklu, Ismail;Erkoc, Mustafa;Danis, Eyyup;Bozkurt, Muamm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555-2558
    • /
    • 2014
  • Pirpose: The aim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DM) with risk of prostate cancer (PCa) and cancer grade among men undergoing radical prostatectomy for PCa. Materials and Methods: 50 patients with DM and 50 patients without DM who undervent radical prostatectomy (RP) were included in the study. Age at biopsy, height, weight, digital rectal examination (DRE), pre-biopsy PSA levels, prostate volume, histopathologic diagnosis after surgery and gleason scores were collected data from all patients. Histologic material obtained at biopsy was given a Gleason score; tumours with a Gleason score ${\geq}7$ were considered high grade and <7 were considered low grade. Result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biopsy was 63.7 in patients with DM and 61.6 in patients without DM. Diabetic men had significantly lower PSA levels (p=0.01). Mean PSA level $7.04{\pm}2.85$ in patients with DM and $8.7{\pm}2.86$ in patients without DM, respectively. Also, diabetic men had higher RP tumor grade than men without DM (p=0.04). We found that HbA1c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who have high grade prostate cancer (p<0.05). Conclusions: Diabetic men undergoing RP have lower PSA levels and have significantly higher grade PCa. We must be careful for screening PCa in patients with DM. Although the patients had lower PSA levels, they might have high grade disease.

블루투스 무선 링크에서 ACL 패킷의 전송 시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ansmission Time of ACL Packet in Bluetooth Wireless Link)

  • 문일영;조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90-593
    • /
    • 2005
  • 본 논문은 블루투스 무선 링크의 패킷 중에서 ACL(Asynchronous Connection Less)의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 시간을 분석한다.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전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패킷분할 과정은 TCP 상위 계층에서 내려온 전체 메시지를 분할한 다음, 베이스밴드에서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블루투스 피코넷 환경에서 블루투스 패킷 타입 중 DM(Data-Medium rate)1, DM3, DM5에 따른 블루투스의 패킷 전송 시간을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블루투스 무선 링크에서 ACL 패킷의 전송 시간, 메시지 처리 시간과 비교하여 최적의 TCP 패킷 크기와 DM 패킷의 크기를 구할 수가 있었다.

  • PDF

PIM-DM 멀티캐스트에서 그룹 가입 지연시간에 대한 성능 모의 실험 (A Simulation to Test Join Latency for PIM-DM Multicast)

  • 김한수;장주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2호
    • /
    • pp.179-184
    • /
    • 2003
  • PIM-DM을 이용하여 멀티캐스트를 하였을 때 그룹에 가입하기 위해서 대기하는 시간이 특정한 시간 영역에서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그룹에서 탈퇴하기 위한 리브 프룬 메시지와 플러딩에 대한 응답으로 발생하는 플러딩 프룬 메시지를 라우터가 구분하지 못하는 것에서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그룹 가입 지연 시간이 평균 37.4% 감소됨을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