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 and TDN yield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1초

강원 고지대에서 봄 파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의 파종 간격에 따른 종자 생산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Seed Productivity of Spring Sown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Lam.) Depending on Seeding Distance in Gangwon Highland)

  • 정은찬;;김학진;김맹중;지희정;김종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22
    • /
    • 2021
  • 본 시험은 강원지역에서 봄철 파종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의 파종 간격(20, 30 및 40 cm)에 따른 생육특성과 종자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포장은 해발 600 m 내외의 고지대로 최근 육성된 극조생종 그린콜(Greencall) 품종을 공시하여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시험구의 파종은 2020년 3월 26일에 하였으며 수확은 출수일로부터 60일째인 7월 2일에 하였다. 출수기 5월 8일 이었으며 도복 및 질병 저항성은 처리 간에 차이는 없었다(P>0.05). 초장은 40 cm 파종 간격 시험구에서 80.5 cm로 가장 짧았으며 20 및 30 cm 파종간격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종자의 특성중 이삭의 길이, 이삭당 종자수, 아삭당 종자무게 및 천립중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단위면적당(㎡) 이삭두는 20 cm 파종간격이 40 cm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937 vs 571). 종자 및 채종 후 짚의 생산량은 건물함량의 경우 평균 49.70 및 33.36으로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종자와 짚의 생초 및 건물 수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20 cm 파종간격이 40 cm 보다 종자의 건물수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짚의 수량도 같은 경향이었다. 한편 20 cm와 30 cm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채종 후 짚의 사료가치는 파종간격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평균 조단백질, ADF, NDF, TDN 함량은 각각 6.91, 36.76, 61.75 및 59.86%로 나타났으며 RFV 값은 평균 9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강원지역 고지대에서 봄에 파종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종자 생산량은 가을 파종보다는 낮지만, 부득이한 경우를 대비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추후 생산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의 개발과 경제성 분석이 있어야 할 것이다.

중부지역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하계 사료작물을 연계한 작부체계 연구 (Study on the Forage Cropping System of Italian Ryegrass and Summer Forage Crops at Paddy Field in Middle Region of Korea)

  • 오미래;최보람;이세영;정종성;박형수;이배훈;김기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1-146
    • /
    • 2021
  • 본 시험은 중부지역 논에서 동계 사료작물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하계 사료작물을 연계하여 연간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동계 사료작물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코윈어리 품종을 사용하였고, 하계 사료작물로 사료용 벼(영우)와 사료용 피(제주)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작물은 표준재배법을 이용하여 재배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평균 초장은 90.6 cm, DM 수량은 7,681 kg/ha, CP 함량은 9.2%, TDN 함량은 63.8%였고, 하계 사료작물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계 사료작물의 초장은 사료용 피가 사료용 벼 보다 높았고,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하계 사료작물의 DM, CP 그리고 TDN 수량은 사료용 벼가 사료용 피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계 사료작물의 사료가치 또한 사료용 벼가 사료용 피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중부지역 논에서 사료작물 이모작 재배 시 동계 사료작물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연계한 하계 사료작물로써 수량성과 사료가치가 높았던 사료용 벼가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노동력 절감 및 안전성 재배 측면에서 볼 때 사료용 피도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직파재배시 파종량이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Rates on the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Direct-Seeded Whole Crop Rice)

  • 김종근;박형수;김지혜;고한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34-239
    • /
    • 2014
  • 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 직파 재배시 파종량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총체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종한 녹양벼를 이용하여 4개의 파종량을 두고(30, 60, 90 및 120 kg/ha) 수행하였다. 출현일, 출수기, 녹색도 및 내병성은 파종량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장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커졌으며(p<0.05) 분얼수는 줄어들었다. 건물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초 및 건물수량은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ADF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높아졌고 NDF 함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TDN 함량은 120 kg/ha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잎-줄기-정조 비율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정조비율은 줄어들었으며 잎의 비율은 약간 높아졌고 줄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경제성 분석결과 60 kg/ha 파종구에서 가장 높은 소득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직파재배를 위한 적정 파종량은 60kg/ha 내외가 적당한 것으로 추천된다.

춘파재배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귀리의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Between Italian Ryegrass and Oats Sown in Early Spring)

  • 최기준;임영철;지희정;이상훈;이기원;김동관;서성;김원호;김기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5-142
    • /
    • 2011
  • 본 시험은 이른 봄에 파종한 귀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특성과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최지사료과 시험포장(밭)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전, 답작)에서 수행되었다. 공시 품종은 귀리는 조생종인 스완과 만생종인 후트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조생종인 코스피드와 만생종인 화산 101호를 사용하였다. 출수기는 귀리 스완이 5월 14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코스피드가 5월15일로써 귀리가 1일 빨랐다. 초장은 아탈리안 라이그라스 코스피드가 88cm, 귀리스완이 92 cm로써 4 cm 더 길었다. 3개 시험지의 평균 건물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조생종인 코스피드가 6,809 kg/ha로서 귀리 조생종 스완의 6,756 kg/ha와 비슷하였으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만생종인 화산 101호는 귀리 조생종보다 35%정도 수량이 적었다. 조생종에서 3개 시험지의 평균 가소화양분 수량은 코스피드(4,240 kg/ha와 스완(4,162kg/ha)이 비슷하였다. 남부지역(나주) 논 재배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조생종인 코스피드의 가소화양분수량은 4,154 kg/ha로서 귀리 조생종인 스완보다 45% 많았다. 사료가치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코스피드와 귀리 스완이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귀리와 같이 춘파재배가 가능하고, 특히 남부지방의 논 재배에 적합하며, 이때 만생종보다는 조생종을 재배하는 것이 생산성 향상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 재래수수의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Jeju Native Sorghum(Sorghum bicolor L.))

  • 조남기;강영길;송창길;전용철;오장식;조영일;박성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5-230
    • /
    • 2004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재식밀도($5{\times}5cm,\;10{\times}10cm,\;15{\times}15cm,\;20{\times}20cm,\;25{\times}25cm\;30{\times}30cm$)에 따른 제주재래수수의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3일부터 9월 6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일 수는 66일에서 69일로 밀식함에 따라 지연되는 경향이였다. 초장은 재식밀도가 $30{\times}30cm$ 재식구에서 195.1cm이었던 것이 밀식함에 따라 점차 커져서 $10{\times}10cm$ 재식구에서 216.5cm로 가장 길었으나, 그 이상의 밀도에서는 짧아졌고, 경직경과 엽수는 밀식할 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식밀도가 $30{\times}30cm$에서 $10{\times}10cm$로 밀식함에 따라 생초수량은 25.4 MT/ha에서 61.3 MT/ha로 건물수량은 5.8 MT/ha에서 16.5 MT/ha, 단백질 수량은 0.4 MT/ha에서 1.5 MT/ha로, TDN 수량은 2.7 MT/ha에서 8.8 MT/ha로 증수되었으나, 그 이상으로 밀식할 경우에는 감수하였다. 재식거리가 좁아짐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7.0\%$에서 $9.0\%$로 조지방 함량은 $1.7\%$에서 $4.4\%$로,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36.9\%$에서 $38.4\%$로, TDN 함량은 $46.1\%$에서 $55.5\%$로 증가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조섬유 함량은 $43.9\%$에서 $37.1\%$로, 조회분 함량은 $8.4\%$에서 $6.8\%$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논에서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 재배시 가축분뇨 이용이 생육특성, 수량, 사료가치 및 NO3-N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vestock Manure Applic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Sorghum-sudangrass Hybrid and NO3-N Leaching in Paddy Field)

  • 임영철;윤세형;김원호;김종근;신재순;정민웅;서성;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3-238
    • /
    • 2006
  • 본 시험은 논에서 가축분뇨를 활용하여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재배시 생육특성, 수량 및 토양중의 질산태 질소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간 축산연구소(수원) 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특성 중 초기생육은 화학비료구 4.3에 비하여 가축분뇨를 시용한 경우 $2.5{\sim}3.8$로 양호하였고 1차 예취후 재생은 화학비료구 3.0에 비하여 돈분액비, 발효돈분구는 각각 2.8로 양호한 반면 발효우분구는 4.1로 불량하였다. 가축분뇨별 시용수준 간에는 가축분뇨 100% +화학비료 25%> 가축분뇨 75%+화학비료 25%> 가축분뇨 100% 순으로 생육이 양호하였다. 건물수량은 화학비료에 비하여 돈분액비 23%, 발효돈분 18% 증수되었으나, 발효우분구는 12% 감소되었다. 또한 TDN 수량도 같은 경향으로 돈분액비 시용구에서 24%, 발효돈분 시용시에 18% 증가되었으며 발효우분의 경우는 12% 감소되었다. 사료가치는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 조단백질 함량이 화학비료 시용구 5.9% 보다 다소 낮아지는 경향으로 돈분액비 5.6%, 발효돈분 5.4%, 발효우분 5.5%이었다. 가축분뇨의 시용방법 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나타내지 않았다. RFV에 있어서도 화학비료구가 81로 가장 높았으며, 가축분뇨를 시용한 구에서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으로 돈분액비 77, 발효돈분 77, 발효우분 79 이었다. $NO_{3^-}N$ 용탈량(2년 평균)은 평균 돈분액비구 $37.0mg/{\ell}$, 발효 돈분구 $32.9mg/{\ell}$으로 많았으며 발효우분구는 $17mg/{\ell}$으로 적었다. 가축분뇨 시용수준 간에는 가축분뇨 100%+화학비료 25%>가축분뇨 75%+ 화학비료 25%>가축분뇨 100% 순이었으며 가축분뇨의 종류에 관계없이 시용 초기에 용탈량이 많았다.

월동전 예취 높이가 북방형목초의 월동성 , 이른봄 수량 및 양분생산에 미치는 영향 II. 초종별 예취 높이에 따른 일반성분 함량변화 , Energy 생산성 및 상관관계 (Effect of Cutting Height on the Winter Survival, Early Spring Yield and Energy Production of Italian ryegrass II.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energy production and relationship of yields)

  • 신재순;박근제;차동호;이필상;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0-25
    • /
    • 198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cutting heigh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energy production and relation of yields of Italian ryegrass,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swards. It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from Sept. 1986 to May 1987.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hemical composition and Van Soest fiber contents were slightly different among grasses. But were not same trend with cutting heights. At the late vegetative stage,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content were much more in tall fescue, Ash in perennial ryegrass, E.E. and NFE in Italian ryegrass respectively. NDF, ADF, Hemicellulose, Lignin, Cellulose and Silica contents were much more in tall fescue than the others. 2. DM, DCP, TDN, StE, ME and NEL productions were appeared to high in line with Italian ry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In addition 6 cm cutting height was the most production in Italian ryegrass, 15 cm cutting height was the most production in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3. The much more content of crude protein, the less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 The less content of NDF, the much more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 Green and dry matter yield before wintering were not influence the green and dry matter yield of the late vegetative stage, but green yield before wintering influenced total green yield.

  • PDF

시화 간척지에서 하계 사료작물의 초종 및 품종에 따른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Summer Forage Crops in Sihwa Reclaimed Land)

  • 김종근;정은찬;김맹중;;김학진;이수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0-118
    • /
    • 2021
  • 본 연구는 시화간척지에서 하계 사료작물의 초종 및 품종이 생육특성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에 공시된 하계사료작물은 옥수수,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및 기장이었다. 시험에 공시된 각각의 품종은 옥수수는 광평옥, P15453, P1952 및 P2088을 이용하였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877F, Green star, Honey chew 및 Turbo gold 품종을 이용하였다. 기장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이백찰, 금실찰 및 만홍찰 품종을 이용하였다. 사료작물의 파종은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2019년 5월 21일 그리고 기장은 6월 4일에 하였으며 수확은 9월 2일에 하였다. 옥수수의 초장 및 착수고는 품종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수량은 P1543 품종이 가장 많았고 P2088 품종이 가장 적었으나 처리간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877F의 초장이 가장 컸으며 Turbo gold 품종이 가장 작았다(p<0.05). 건물수량은 877F가 3,862 kg/ha로 가장 많았고 Green star가 2,669 kg/ha로 가장 낮았다(p<0.05). 기장의 초장은 이백찰이 138cm로 가장 컸으며 나머지 품종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기장의 생초수량은 평균 15,778 kg/ha로 옥수수나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보다 많았으며, 건물수량은 평균 4,780 kg/ha이었으며 이백찰 품종이 다른 품종들에 비해 가장 많았다(p<0.05). 옥수수의 사료가치에서 TDN 함량은 P2088품종이 가장 높았고 광평옥이 가장 낮았다(p<0.05).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Green star 및 Honey chew 품종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RFV 값은 Turbo gold가 가장 낮았다. 기장은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7.03%이었고 TDN 및 RFV 값은 금실찰이 64.36% 및 106으로 가장 높았다. 염농도에 따른 하계 사료작물의 발아율 조사에서 옥수수는 0.4%까지는 83.1%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P2088 및 P1921 품종은 0.6% 농도에서도 발아율이 80% 이상이었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877F 품종의 발아율이 0.8% 농도에서도 93.3% 이었으며 Honey chew는 88.3%로 나타나 다른 품종에 비해 염 농도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장은 0.6%의 염 농도에서도 84.0-88.7%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염농도가 높은 시화 간척지에서 가장 적합한 초종은 기장이 추천되었으며, 이백찰은 수량이 높아 적합한 품종으로 권장되었다.

제초제 처리가 애기수영 ( Rumex acetosella ) 우점초지의 수량 및 양분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icide Teatments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Productivity in Rumex acetosella Dominated Pasture)

  • 박근제;김영진;이종경;김맹중;윤세형;최선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7-284
    • /
    • 1997
  •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influences of herbicide treatment method on the forage yield, nutrient productivity, weed control, and persistency in the Rumex acetosella dominated pasture, this trial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six treatments[1.Seeding(control), 2. Lime+seeding 3. glyphosate 4 $\scr{l}$ + dicamba 2 $\scr{l}$ /ha+seeding 4. glyphosate 4$\scr{l}$ +dicamba 2$\scr{l}$ /ha+lime+seeding 5. glyphosate 4$\scr{l}$ +dicamba 21 / ha+seeding+dicamba 4 $\scr{l}$ /ha and 6. glyphosate 4 $\scr{l}$ +dicamba 2 $\scr{l}$ /ha+ lime+ seeding+dicamba 4 $\scr{l}$ /ha], and conducted in Hwasung Kyonggi Province and in Youngam, Jeonnarn Province from June, 1992 to October, 1995. In the Rumex acetosella dominated pasture, the treatments of glyphosate 4$\scr{l}$ +dicamba 21 /ha+lime+ seeding+dicamba 4 $\scr{l}$/ha controlled 88-98% of the weed (Rumex acetosella), increased 88- 173% of forage yield, and were high 82- 175% of energy (TDN and NEL) productivity than those of the control(seedin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herbicide treatment was effective for the control of Rumex acetosella, and good renovation of grassland and higher DM yield of forage could be obtained by twice application of glyphosate 4 $\scr{l}$+ dicamba 2 $\scr{l}$ /ha and dicamba 4 $\scr{l}$ /ha.

  • PDF

제주지역 오차드그라스 초지에서 톱밥발효우분퇴비 시용수준이 목초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Levels of Fermented Cattle Manure on Forage Yield, Quality and Soil Characteristics in Orchardgrass at Jeju Area)

  • 황경준;박남건;박형수;이종언;김남영;고문석;김문철;송상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7-134
    • /
    • 2010
  • 본 시험은 2007년부터 2008년까지 톱밥발효우분퇴비 시용수준에 따른 오차드그라스의 생산성과 질산염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난지축산시험장 조사료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시험처리는 화학비료 (CF) 200 kg/ha를 대조구로하여 톱밥발효우분퇴비 (CM)를 질소기준 50, 100, 200%를 두어 처리하였다. 건물수량에서는 2년 평균 CM 200%구가 20,177 kg/ha로 CF구 19,165 kg/ha와 비슷한 수량을 보였다. 처리별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CF구가 12.4%로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ADF 함량은 평균 32.1~32.8%의 범위로 전 처리구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NDF 함량도 처리별 평균 61.3~62.9%의 범위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TDN 함량에서는 63.6%로 CM50%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오차드그라스의 질산염 함량에 있어서는 CF구가 톱밥발효우분퇴비 수준별 시비구 보다 높았으며, 질산염 함량수준은 18.7~530.4 mg/kg으로 가축이 섭취하여도 안전한 수준이며, 특히 화학비료구보다 톱밥발효 우분퇴비처리구에서 질산염 함량이 낮아 우분퇴비 200%를 시용하더라도 사초의 질산염 함량에서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사료된다. 토양 $NO_3$-N 함량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봄철보다는 가을철에 그 함량이 높았고 처리별 토양 $NO_3$-N의 함량을 보면 화학비료구가 톱밥발효 우분퇴비구 보다 높았다. 시험전과 시험후의 토양 pH 변화는 CM200%구에서 6.40으로 가장 높아졌고 CM50 및 CM100%구는 6.31, 6.20 순으로 높았다. 토양내 유기물 함량변화는 CM200%구에서 7.8%로 가장 높았고, 유효인산 함량도 CM200%구에서 336.39 mg/kg로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볼 때 톱밥발효우분퇴비를 오차드 그라스 초지에 질소기준 100%를 시용했을시 건물 수량에서는 생산량이 다소 떨어지나 토양환경차원에서 100%를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