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NA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4초

DLNA 기반의 홈네트워크 프로토콜 표준화 동향 (Standardization of Home Network Protocol based on DLNA)

  • 최원석;김종현;정상국;이정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69-871
    • /
    • 2014
  • DLNA 프로토콜은 홈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최근 IoT 시장의 급속한 확장 및 댁내 스마트 가전의 보급에 따라 DLNA Alliance에서는 댁내 가전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DLNA 가이드라인에 포함시키고자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DLNA Alliance에서 진행 중인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기술을 분석하고 기존의 홈 네트워크 기술과의 차이점을 도출하여 추후 홈 네트워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본다.

IEEE1394 기반 AV 콘텐츠 공유를 위한 DLNA DMS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LNA DMS for AV Contents Sharing through IEEE1394)

  • 김철승;김구수;엄영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7호
    • /
    • pp.959-970
    • /
    • 2006
  • 홈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가전기기와 정보기기의 제어 및 관리를 위한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AV(Audio Video) 기기의 발전과 영상 콘텐츠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AV 전송을 위한 IEEE1394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표준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서는 IEEE1394를 통한 AV 데이터 전송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DLNA를 통해 EEE1394 상에서 AV 콘텐츠를 공유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AV 콘텐츠의 전송과 공유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의 DLNA 호환성 검증을 통하여, 댁내에서 가전기기 및 정보기기의 제조사 및 전송매체에 구애받지 않는 AV 콘텐츠 공유가 가능함을 보인다.

IEEE1394 DLNA 기기 간 AV 콘텐츠 전송을 위한 연구 (A Study on AV Contents Transfer Method for IEEE1394 DLNA Devices)

  • 김철승;김구수;엄영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75-1278
    • /
    • 2006
  • 홈 네트워크의 가전과 정보기기의 제어 및 관리를 위해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기술의 필요성과 영상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1394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홈 미들웨어인 DLNA를 통해 1394 상에서의 AV 콘텐츠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댁내에서의 AV 콘텐츠 공유가 제조사, 전송매체에 구애받지 않고 가능하며 향후 DLNA 표준에 대응한다.

  • PDF

DLNA 와 스마트폰 기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스마트 스크린 활용 기술 전망 (Trends of the Smart Screen Application using DLNA and Smartphone-based Augmented Reality)

  • 정진용;박명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97-298
    • /
    • 2013
  • 최근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도가 증가하고 있고, DLNA/UPnP 기능을 포함한 스마트 TV 등의 보급으로 고정 스크린의 스마트화도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LNA/UPnP 를 이용한 미디어 전송기술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이용한 멀티 스마트 스크린 제어 기술에 대해 고찰한다.

동적 사설 IP 기반의 다중 홈간 DLNA 미디어 컨텐츠 공유 (Sharing of DLNA Media Contents among Inter-homes based on DHCP or Private IP using Homeserver)

  • 오연주;이훈기;김정태;백의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6호
    • /
    • pp.709-716
    • /
    • 2006
  • 최근 들어 홈내에 다양한 AV 미디어 장치 및 컨텐츠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간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표준안으로서 DLNA의 호환성 가이드라인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 권고안에서는 하나의 디지털홈 내부에서의 네트워크 및 미디어 장치 그리고 미디어 컨텐츠들의 상호운용성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여러 홈들 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를 위한 검색 및 전송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 권고안에서는 DLNA 장치 발견 및 알림 메시지를 IP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하기 때문에, 현재 인터넷 범위에서는 IP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다른 홈내에 있는 DLNA의 디바이스를 인터넷을 통해 원격에서 검색 및 제어할 수 없다는 제약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약점을 분석하고, 동적 사설 IP기반의 DLNA 장치들로 구성된 여러 홈내에 분포되어 있는 미디어 컨텐츠를 상호 공유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IHM(Inter-Home Media) 프락시 시스템 구조 및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본 제안된 방법은 자신의 홈 뿐만아니라 다른 홈내에 분산되어 있는 여러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제약성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홈내 거주자 측면에서는 자신이 부담해야할 컨텐츠 저장소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가진다.

DLNA 환경 속 스마트 리모컨의 TV 제어 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V Control Procedure by Smart Remote Control in DLNA Environment)

  • 강기철;김대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46
    • /
    • 2010
  • 스마트 폰의 선풍적인 인기에 힘입어 TV 산업에서도 스마트TV가 출현해 시장 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에 따라 TV 리모컨 또한 새로운 방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하나의 스마트 리모컨으로 업그레이드 되고 있으며, 스마트 리모컨을 통한 홈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와 미디어 공유에 대한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DLNA 환경 속 스마트 리모컨과 TV 디바이스의 역할에 대해 재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DLNA 및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에 제시된 컨트롤 포인트와 디바이스 간 제어 및 미디어 공유 절차에 따라 스마트 리모컨을 통한 TV의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스마트 리모컨을 통한 TV의 제어는, 크게 사용자와 무관한 백그라운드 스레드로 처리될 제어 준비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실질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단계로 나뉘고, 각각의 단계에 해당하는 UPnP 미디어 네트워크 단계에 맞춰 진행된다. 제안된 DLNA 환경 속 TV 제어 방법의 구현을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TV OSD 제어를 위한 코드에 연동해 TV 디바이스 서비스 서술자의 확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SCTP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DLNA 미디어 스트리밍 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icient DLNA Media Streaming System using SCTP)

  • 강기철;김대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12-215
    • /
    • 2011
  • 최근의 스마트 폰 및 스마트 TV 열풍은 사용자의 가정 내 무선 멀티미디어 네트워킹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켰고, 2004년 출범한 DLNA 기술의 보급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불안정성과 기존 TCP/UDP 데이터 전송 기술이 가진 한계로 인해 DLNA를 통한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에는 제한이 존재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DLNA 디바이스인 DMR과 DMS 간 SCTP 멀티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전송된 스트림은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동일한 양의 버퍼에 복사되고, 버퍼 각각에 스트림 번호를 부여하여 SCTP 멀티 스트리밍 기법을 이용해 전송함으로써 더욱 신뢰성 있는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이 가능하였다.

  • PDF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안전한 DLNA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DRM 기반의 사용자 접근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User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DRM for Secure Shared DLNA Media Contents in Mobile Device)

  • 한민기;박성재;전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35-238
    • /
    • 2011
  • DLNA의 기술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간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가 제약 없이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간의 DLNA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할 때, DRM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접근제어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DLNA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라이선스가 있는 사용자만을 접근하여 안전한 미디어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국내 DLNA 인증 제품의 보안 취약점 및 해결책 연구 (A Study on Security Vulnerabilities and Countermeasures of Domestic Product Certified by DLNA)

  • 오지수;민재원;한선희;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64-767
    • /
    • 2012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여러 기업간의 상호 운용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가 결성되었다. DLNA에서는 기기 간 상호운용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여 업체간의 통합을 목표로 한다. DLNA 인증을 받은 제품은 유 무선 통신을 통해 기기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하지만, 유 무선 통신으로 컨텐츠를 공유할 때 공유기의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인증되지 않은 외부 침입자가 사용자의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보안 상 취약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약점을 시나리오로 기술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안하여 안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동환경에서 홈 네트워크와 원격으로 연결하는 기법 (Method for Remotely Accessing the Home Network in the Mobile Environment)

  • 박용석;김현식;이연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49-651
    • /
    • 2014
  •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표준은 홈 네트워크 내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유를 용이하게 한다. 하지만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 컴퓨팅 기기의 사용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콘텐츠 공유는 홈 네트워크의 영역에서 확장될 필요성이 생겼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DLNA 기반 홈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되는 방법은 모바일 VPN(Virtual Private Network)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며, 무선 환경에서 홈 네트워크의 자원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