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I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초

GOMME: A Generic Ontology Modelling Methodology for Epics

  • Udaya Varadarajan;Mayukh Bagchi;Amit Tiwari;M.P. Satij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1호
    • /
    • pp.61-78
    • /
    • 2023
  • Ontological knowledge modelling of epic texts, though being an established research arena backed by concrete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works, still suffers from two key shortcomings. Firstly, all epic ontological models developed till date have been designed following ad-hoc methodologies, most often combining existing general purpose ontology development methodologies. Secondly, none of the ad-hoc methodologies consider the potential reuse of existing epic ontological models for enrichment, if available. This paper presents, as a unified solution to the above shortcomings,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GOMME - the first dedicated methodology for iterative ontological modelling of epics, potentially extensible to works in different research arenas of digital humanities in general. GOMME is grounded in transdisciplinary foundations of canonical norms for epics, knowledge modelling best practices, application satisfiability norms, and cognitive generative questions. It is also the first methodology (in epic modelling but also in general) to be flexible enough to integrate, in practice, the options of knowledge modelling via reuse or from scratch. The feasibility of GOMME is validated via a first brief implementation of ontological modelling of the Indian epic Mahabharata by reusing an existing ontology. The preliminary results are promising, with the GOMME-produced model being both ontologically thorough and competent performance-wise.

EFFECT OF THE SHAPE OF IMPINGEMENT PLATE ON THE VAPORIZATION AND FORMATION OF FUEL MIXTURE IN IMPINGING SPRAY

  • Kang, J.J.;Kim, D.W.;Choi, G.M.;Kim, D.J.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7권5호
    • /
    • pp.585-593
    • /
    • 2006
  • The effect of the shape of the side wall on vaporization and fuel mixture were investigated for the impinging spray of a direct injection(DI) gasoline engine under a variety of conditions using the LIEF techniqu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inging spray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configurations of piston cavities. To simulate the effect of piston cavity configurations and injection timing in an actual DI gasoline engine, the parameters wer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pray axis to side wall and vertical distance from nozzle tip to impingement plate. Prior to investigating the side wall effect, experiments on free and impinging sprays for flat plates were conducted and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side wall impinging spray. For each condition, the impingement plate was located at three different vertical distances(Z=46.7, 58.4, and 70 mm) below the injector tip and the rectangular side wall was installed at three different radial distances(R=15, 20, and 25 mm) from the spray axis. Radial propagation velocity from spray axis along impinging plate became higher with increasing ambient temperature. When the ambient pressure was increased, propagation speed reduced. High ambient pressures tended to prevent the impinging spray from the propagating radially and kept the fuel concentration higher near the spray axis. Regardless of ambient pressure and temperature fully developed vortices were generated near the side wall with nearly identical distributions, however there were discrepancies in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 A relationship between the impingement distance(Z) and the distance from the side wall to the spray axis(R) w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when R=20 and 25 mm and Z=46.7 and 58.4 mm. Fuel recirculation was achieved by adequate side wall distance. Fuel mixture stratification, an adequate piston cavity with a shorter impingement distance from the injector tip to the piston head should be required in the central direct injection system.

상수를 염소소독시 생성되는 염소 소독부산물(DBPs)의 생성능에 관한 연구

  • 정용;신동천;임영욱;김준성;박연신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1996년도 제19회정기학술대회(The 19th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oxicology)
    • /
    • pp.75-75
    • /
    • 1996
  • 최근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음용수중의 미량오염물질로는 인위적으로 첨가되는 소독제(disi octant)로 인한 소독부산물(disinfection by-products: DBPs)을 들 수 있다. 1970년대부터 염소소독시 수중의 유기오염물길과 반응하여 발암성물질 과 돌연변이 물질이 다수 함유되어 있는 클로로포름(chloform)을 포함한 트리할로메탄(Trih리omethane: THMs)의 생성이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한 건강상의 영향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염소소독시 780가지 이상의 화합물이 염소와 휴믹산(humic acids)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며, 이중 대부분이 할로겐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염소 소독부산물로는 인체발암력을 지니고 있는 트리할로메탄(THMs) 이외에도 할로아세틱산(Haloaceticacids: HAAs), 할로아세토나이트릴(Haloacetbnitriles: HANs)등이 주 생성물질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러나라의 원수특성에 따른 소독부산물의 생성능 (Formation potential)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4대강(한강, 대청호, 영산강, 낙동강)의 원수를 실험실내에서 염소처리하여 생성되는 소독부산물의 생성농과 pH, 체류시간 등의 조건에 따라 생성능을 조사하였다. 각 화합물은 추출 및 농축과정을 거친 후 GC/MSD를 사용하여 물질을 확인한 후 할로겐화합물에 민감한 GC/ECD를 사용하여 시료를 분석하였다. pH와 시간, 원수중의 유기물 함량이 소독부산물의 생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Ms은 알칼리에서, HAAs의 경우는 약산성에서 접촉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은 생성능을 보였고, HANs의 경우는 급속히 생성했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멸하며 약산성에서 높은 생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강별로는 낙동강에서 THMs파 HANs의 생성능이 비교적 높았고, 영산강에서는 HAAs의 생성능이 높았다. 각 원수의 특성에 따른 생성능을 파악함으로써 생성능 저감방안을 마련하며, 소독 부산물질의 인체노출평가에 따른 위해성평가를 통해 관리기준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 PDF

PFI Dual Injection 엔진의 연료 분사각도와 분무각에 따른 엔진 내부 유동 및 연료 거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In-cylinder Flow and Fuel Behavior with Respect to Fuel Injection Angle and Cone Angle in the PFI Dual Injection Engine)

  • 이승엽;정진택;박영준;유철호;김우태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21-229
    • /
    • 2015
  • The PFI dual injection engine using one injector per an intake port was developed for solving the DISI engine cost problem. Excellent fuel atomization and targeting of the PFI dual injection engine made enhancement on the fuel efficiency and engine power. In order to develop a PFI dual injection engine, characteristics of the in-cylinder flow and fuel behavior with respect to fuel injection angle and cone angle of the PFI dual injection engine was investigated. Numerical calculation was conducted to analyze 3D unsteady in-cylinder flow and fuel behavior using STAR-CD.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 was 2,000rpm at WOT. As a result, the amount of intake air, evaporated fuel and fuel film according to injection angle and cone angle were presented. The results were influenced by interaction between injected fuel and intake port wall.

가솔린 및 LPG 연료를 사용하는 직접분사식 불꽃점화엔진에서 배출되는 극미세입자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Particulate Emissions from a Direct Injection Spark-ignition Engine Fuelled with Gasoline and LPG)

  • 이석환;오승묵;강건용;조준호;차경옥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65-72
    • /
    • 2011
  • In this study, the numbers, sizes of particles from a single cylinder direct injection spark-ignition (DISI) engine fuelled with gasoline and LPG are examined over a wide range of engine operating conditions. Tests are conducted with various engine loads (2~10bar of IMEP) and fuel injection pressures (60, 90, and 120 bar) at the engine speed of 1,500 rpm. Particles are sampled directly from the exhaust pipe using rotating disk thermodiluter. The size distributions are measured using a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SMPS) and the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s are measured using a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CPC). The results show that maximum brake torque (MBT) timing for LPG fuel is less sensitive to engine load and its combustion stability is also better than that for gasoline fuel. The total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for LPG was lower by a factor of 100 compared to the results of gasoline emission due to the good vaporization characteristic of LPG. Test result presents that LPG for direct injection spark ignition engine help the particle emission level to reduce.

방조제 체절이후 새만금호의 장기적인 수질변화 (The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ies in the Saemangeum Salt-Water Lake after the Sea-dike Construction)

  • 정용훈;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1-63
    • /
    • 2015
  • 새만금 방조제 건설로 조성된 새만금호의 장기적인 수질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총 40회에 걸쳐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호 내 표층수의 염분은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 감소하여 장기간 감소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에 표층수의 SPM은 감소하였으나, 이후 호 내 수위 변동과 관련하여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층수의 Chl-a는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부터 증가하여 장기간 동안 계속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표층수의 DIN 항목들은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 $NH_4-N$은 증가(90%)하였다. 표층수의 DIP는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에는 감소하였으나, 이후 증가(264%)하였다. $NH_4-N$과 DIP의 증가는 새만금호의 장기적인 유기물의 축적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표층수의 $NO_3-N$은 방조제 끝물막이 이후 변화가 없는 반면, DISi는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부터 증가하여 계속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담수 기원 이외의 다른 유입원으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새만금 방조제 끝물막이 이후 호 내의 수질은 공간적으로 강하구와 나머지 지역들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성층은 방조제 쪽보다 강하구 쪽에서 더 강하게 관측되었다. 특히 하계에 강하구 쪽에서 강한 염분 성층과 함께 표층에서 약 1 m 이하로 저산소 상태가 관측되었다. 저산소층의 형성은 퇴적물로부터 영양염 및 중금속 등의 용출을 유발시킴으로서 수질악화를 가속화시킬 우려가 있음으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게 필요하다.

성층희박연소 운전조건에서 분사압과 분사시기에 따른 분무유도식 직접분사 가솔린엔진의 연소특성 (Effect of Injection Pressure and Injection Timing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pray-Guided Direct-Injection Spark-Ignition Engine under Lean Stratified Combustion Operation)

  • 오희창;이민석;박정서;배충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0호
    • /
    • pp.981-987
    • /
    • 2011
  • 단기통 직접분사 가솔린엔진의 성층연소 조건에서 연소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분사압조건마다 실화가 발생하지 않는 성층연소가능 분사시기영역이 존재하였으며 이는 혼합기 형성과정의 분위기압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하였다. 연소효율은 분사시기를 지각할수록 증가하며 32~28 CAD BTDC에서 최대값을 갖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분사압이 높을수록 높은 연소효율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소효율의 경향은 IMEP와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그 이유는 높은 연소효율 조건에서 연소상이 진각되어 음의 일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Smoke의 배출은 분사시기가 지각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높은 분위기 압에서 국부적으로 농후한 영역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NOx 배출도 분사시기를 지각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연소상의 지각으로 최대 연소실압력과 온도가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