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N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29초

Genes involved in leaf senescence and regulation of their expression

  • Watanabe, Akira;Fujiki, Yuki;Yoshikawa, Yoko;Biswall, Basanti;Ito, Masaki
    • 한국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학회 1999년도 제13회 식물생명공학심포지움 New Approaches to Understand Gene Function in Plants and Application to Plant Biotechnology
    • /
    • pp.63-67
    • /
    • 1999
  • We have isolated more than a dozen cDNA clones corresponding to genes that were expressed in Arabidopsis leaves when they were kept in the dark. The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some of the clones encoded proteins with significant homology to $\beta$-glucosidase (din2), branched-chain $\alpha$-keto acid dehydrogenase subunit E1$\beta$(din3), and another subunit E2 (din4), yeast RAD23 (din5), asparagine synthetase (din6), pre-mRNA splicing factor SRp35 (din7), phosphomannose isomerase (din9), seed imbibition protein (din10), and 2-oxoacid-dependent oxidase (din11). Accumulation of transcripts from din3,4,6 and 10 occurred rapidly after the plants were transferred to darkness. Transcripts from din2,9, and 11 could be detected only after 24 h of dark treatment. Inhibition of photo-synthesis by DCMU strongly induced the accumulation of transcripts from those genes, and application of sucrose to detached leaves suppressed the accumulation both in the dark and by DCMU.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expression of the genes is caused by sugar starvation resulted from the cessation of photosynthesis. We further showed that din2-encoded protein also accumulated in senescing leaves. Given these results, possible roles of din genes in leaves in the dark and senescing leaves are discussed.

  • PDF

곰소만 조간대 해수 내 질소 성분의 시공간적인 분포 (Distribution of Nitrogen Components in Seawater Overlying the Gomso Tidal Flat)

  • 양재삼;김기현;김영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251-261
    • /
    • 2003
  • 곰소만 조간대의 상층 해수 중 질소 성분들(TN, PON, DON, DIN)의 시공간적인 분포와 이런 분포를 결정하는 환경조건인 담수의 유입 (조차, 염분), 생물활동(chlorophyll-$\alpha$, TP, DIP, 규산염 ) 및 저층 퇴적물의 재부유 현상(SPM)과의 상대적인 관련성을 찾아보았다. TN의 연평균 농도는 39.05 $\mu\textrm{m}$ol 1$^{-1}$(31.03~42.93$\mu\textrm{m}$ol 1$^{-1}$)의 분포였고, 4차례의 조사기간 중 담수의 유입이 있었던 9월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는 없었다. 유기질소(DON과 PON)가 4월 75%, 8월 95%, 9월 73%, 11월 75%를 차지하여, 적어도 73%이상을 점하고 있으며, 이 성분들은 조사시기별로 조차, 풍속, 강우량 등의 변화가 다양한 조건 하에서도 PON의 경우 13.16~20.04 $\mu\textrm{m}$ol 1$^{-1}$, DON의 경우 11.30~16.38$\mu\textrm{m}$ol 1$^{-1}$의 좁은 범위 내에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DON과 DIN으로 이루어진 용존태와 PON인 입자태가 차지하는 조성 순서는 강우의 효과가 집중된 9월에만 PON>DON>DIN의 순서인데 반해, 연중 DON>PON>DIN의 순으로 나타났다. 8월의 높은 수온과 활발한 생물활동으로 수중 DON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53%), 9월은 강우의 효과로 PON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47%).또한 용존태 질소(DON과 DIN)는 연중 53~65%를 차지하였다. 조사시기별 질소의 농도 변화는 주로 DIN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DIN은 8월에 매우 낮고 1.33~1.62 $\mu\textrm{m}$ol 1$^{-1}$), 9월에는 높은 농도(8.38~14.65 $\mu\textrm{m}$ol 1$^{-1}$)를 나타내었다. 이는 2000년 8월 장기간 계속된 높은 수온과 가뭄 그리고 식물플랑크톤에 의하여 수중 DIN이 소모된 결과로 보이며, 9월은 조사시기 직전에 내린 집중호우로 담수가 대량으로 유입된 결과로 생각된다. 질산염이 DM의 주형태였으며, 연평균 농도는 8.16 $\mu\textrm{m}$ol 1$^{-1}$이며, 담수가 주공급원이었다. 다른 환경 조건들과 상관관계에서 오직 4월 조사시기 중 chlorophyll-$\alpha$ 농도와 DIN(특히 질산염)과 음의 상관관계 (-0.64, p<0.01), 인산염과 규산염과도 음의 상관관계(-0.46, -0.55, p<0.01)를 보였다. 그러나 다른 조사 시기에는 이러한 관계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조사 시기별로 Si(OH)$_4$/DIN/DIP의 농도비를 비교한 결과, 규산염은 연중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충분한 농도가 존재한 반면, DIN은 8월에 DIP농도와 비교할 때 필요량의 31%에 불과하여 제한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곰소만 조간대 상층 해수 중에 존재하는 BIN의 시공간적인 분포는 조사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조차와 강우량이었으며, 생물활동도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M 정밀도 향상을 위한 2-pass DInSAR 방법의 적용 (Application of 2-pass DInSAR to Improve DEM Precision)

  • 윤근원;김상완;민경덕;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1-242
    • /
    • 2001
  • 2-pass Differential Interferometry(DInSAR)에서는 digital elevation model(DEM)을 이용하여 interferogram에서 지형의 위상을 제거함으로써 지형과 변위에 대한 두 가지의 위상 효과를 분리한다. 이 방법은 phase unwrapping 단계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사용되는 DEM의 정밀도가 높아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2-pass DInSAR를 이용하여 미세한 지각 변위의 인지가 가능하나, 두 SAR 자료의 관측기간 중 변위가 없는 경우에는 잔여 위상은 사용된 DEM의 오차를 반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EM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낮은 정밀도의 DEM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아산만 지역에 2-pass DInSAR 방법을 시험 적용하였다. ERS 1/2 tandem SAR 자료와 DInSAR 계산을 위해 DTED level 0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의 정밀도 분석을 1:25,000 수치지도와 비교하였다. 생성된 DEM의 절대 고도 오차 평균 9.7m이며, 이는 일반적인 InSAR 방법에 의해 얻어진 DEM의 절대 고도 오차 평균 15.8m와 DTED level 0의 절대 고도 오차 평균 18.1m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이 방법은 사면의 경사도가 높은 경우 InSAR에서 나타나는 layover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DInSAR 방법은 지각의 변위 관측뿐만 아니라 지형 고도 자료가 부족한 지역에서 정밀도를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용존태 무기질소 제한 하에서 유독와편모조류 Alexandrium tamarense와 Alexandium catenella의 생존과 우점화 전략 (Dominance and Survival Strategy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and Alexandium catenella Under Dissolved Inorganic Nitrogen-limited Conditions)

  • 권형규;박지아;양한섭;오석진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5
    • /
    • 2013
  • 실내실험과 현장관측을 통해서 용존태무기질소(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제한 하에서 유독와편모조류 Alexandrium tamarense와 A. catenella의 생존과 우점화 전략을 살펴보았다. 현장관측결과 마산만에서 Alexandrium 속이 출현하는 기간동안 DIN이 식물플랑크톤의 성장 제한영양염으로 나타났다. 성장동력학 실험으로부터 도출된 질산염의 Ks값은 현장에서 우점하는 규조류보다 A. tamarense와 A. catenella가 높아, 영양염 경쟁에 있어 불리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A. tamarense와 A. catenella는 DIN 제한하에서 요소나 아미노산과 같은 용존유기질소 (dissolved organic nitrogen; DON) 화합물을 성장에 이용하였다. 따라서 마산만과 같이 Alexandrium 속이 출현하는 봄~여름까지 DIN이 제한영양염으로 작용하는 환경에서 DON의 흡수능력은 이들 종이 성장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종의 우점과정 및 종간 경쟁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JERS-1 L-band SAR Interferometry 를 이용한 연안매립지 지반침하 관측 (Ground Subsidence Estimation in a Coastal Reclaimed Land Using JERS-1 L-band SAR Interferometry)

  • 김상완;이창욱;원중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5호
    • /
    • pp.465-478
    • /
    • 2002
  • JERS-1 L-밴드 SAR 위성에서 얻어진 5개의 interferogram을 이용하여 1996년 5월 2일부터 1998년 2월 21일 사이 연안매립지인 녹산 국가산업단지의 공단조성과정에서 발생한 지반침하량을 계산하였다. 약 16 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레이더 관측결과는 현장측정 자료로부터 관측되기 어려운 세밀한 침하 양상을 잘 반영하였다. 정확도 검증을 위해 2-pass DInSAR로 구한 침하량을 Magnetic Probe Extensometer(측정정밀도:${\pm}$1 mm)를 사용하여 총 42개소에 서 측정된 현장자료와 비교하였다. 5개의 쌍으로부터 추정된 DInSAR침하량과 실측침하량의 평균 상관계수는 0.77 이다. 추정된 DInSAR 침하량 중 0.5 이상의 긴밀도를 갖는 점들만을 이용하여 계산한 경우 상관계수는 0.87이며, RMSE는 1.44 cm로 더욱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추정된 회귀선의 기울기는 1.04로 실측값과 DInSAR 추정값이 기울기 1에 가까운 선형관계를 잘 만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DInSAR 결과 긴밀도 0.5 이상의 지점을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연안매립지의 침하량을 관측할 수 있다. DInSAR를 이용하여 계산된 녹산 국가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최대 누적침하량은 약 60 cm 정도이며, 연구지역의 북쪽과 남서쪽에서는 약 20 cm 이하의 침하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적인 지표변위 관측뿐만 아니라 지반공학적 응용분야에서도 DInSAR 기술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광합성 측정기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광합성 효율 측정 (Evaluation of the ETRmax in Microalgae Using the PHYTO-PAM Fluorometer)

  • 조은섭;이필용;오현주;최윤석;최양호;이삼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8호
    • /
    • pp.727-735
    • /
    • 2006
  • In this study, the PHYTO-PAM-fluorometric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ETR$_{max}$ in terms of sensitivity to DIN/DIP against 14 microalgae: Prorocentrum micans, Heterocapsa triquetra, Gymnodinium impudicum, Cymnodinium catenatum, Amphidinium caterae, Chlorella vulgaris, Chroococcus minutus, Microcystis aeruginosa, Chlorella ellipsoidea, Nannochloris oculata, Oocystis lacustris, Chroomonas salina, Gloeocystis gigas, and Prymnessium parvum. We found that P. micans, H. triquetra, and A. caterae exposed to the maximum level of DIN/DIP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ETR$_{max}$ than that of the minimum and moderate mixture. Unlikely the ETR$_{max}$, the initial slope alph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level of 60 DIN/DIP. In G. catenatum, the moderate levels of 15 and 20 in DIN/DI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TR$_{max}$ at Chl-Ch4. Gymnodinium impudicum had a higher value than that of the ETR$_{max}$ than that of dinoflagellates used in this study, ranging from 306.1 (Ch4, DIN/DIP: 10) to 520.1 (Ch4, DIN/DIP: 30). The ETR$_{max}$ value obtained from other microalgae was similar to C. impudicum at any of the ratios of DIN/DIP and channels. Consequently, the influence of offshore water current assures us of the suppression of photosynthesis and electron transport rate in dinoflagellates. Gymnodinium impudicum has not been researched in the area of red tides in Korea, but it will be enough to creat the massive algal blooms in the future because of higher potential photochemical availability.

First Record of an Ectoparasitic Dinoflagellate, Oodinium inlandicum (Dinophyta) Infecting a Chaetognath, Sagitta crassa from the Korean Coasts

  • Horiguchi, Takeo;Harada, Ai;Ohtsuka, Susumu;Soh, Ho-Young;Yoon, Yang-Ho
    • ALGAE
    • /
    • 제19권3호
    • /
    • pp.201-205
    • /
    • 2004
  • An ectoparasitic din flagellate infesting plank tonic chaetognath, Sagitta crassa Tokioka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n coasts.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es, we investigated detailed morphology of the din flagellate using Nomarski interference optics as well as epifluorescent microscopes. The parasitic din flagellate consists of an oval to rod-shaped cell with a peduncle, by which the organism attaches to the host. The cell is covered with polygonal thecal plates. The nucleus displays two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cell cycle stages: in young trophont the nucleus is elongated and shows typical din flagellate nucleus (dinokaryon), while in matured trophont, the nucleus is dome-shaped and non-dinokaryotic. The peduncle is variable in length and is ornamented with the longitudinal striations. All these characteristics point to identity that the ectoparasitic din flagellate infecting Sagitta crassa in Korean coasts is Oodinium inlandicum Horiguchi et Ohtsuka, originally described from the Seto Inland Sea of Japan.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and host sizes differed from those in Japan.

Land Surface Soil Moisture Effect on DInSAR

  • Lee C.W.;Kim S.W.;Won J.S.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174-177
    • /
    • 2004
  • Differential interferometric phases from JERS-1 L­band data sets show spatial variation of path-length ranging from a few mm to several cm. The variation may be caused by changes in soil moisture contents, i.e. variation of penetration depth and the swelling of soils. Although the amount of total effect caused by soil moisture is not measurable, it is clear that the soil moisture according to precipitation is another factor to be considered in DInSAR analysis. We also discuss DInSAR characteristics in a rice paddy according to irrigation conditions, and discrimination of hydrological features such as stream channels and watershed boundaries by applying DInSAR technique.

  • PDF

Feasibility Studies of DInSAR in the Northeastern Kyungsang Basin, Korea

  • Lee, C.W.;Kim, S.W.;Jung, H.C.;Won, J.S.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070-1072
    • /
    • 2003
  • This study focuses on examing the feasibility of differential SAR interferometry (DInSAR) in the Northeastern Kyungsang Basin, Korea. Major faults in the Kyungsang Basin such as Yangsan fault, Dongrae fault, and Ulsan fault had developed during Cretaceous, and the activeness of these faults is still controversial in Korean geology community. We attempt to measure displacements in the study area by applying DInSAR techniques to JERS-1 SAR data sets. Some surface displacements are recognized by DInSAR method at Young-il Bay in which the POSCO Company locates, although the displacements may not be directly associated with geologic structures. We also discuss atmospheric effects for the techniques used.

  • PDF

The Importance of Nitrogen Release and Denitrification in Sediment to the Nitrogen Budget in Hiroshima Bay

  • KIM Do-Hee;MATSUDA Osamu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79-786
    • /
    • 1996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role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released from sediment and denitrification process in sediment on the nitrogen budget of Hiroshima Bay by means of collecting data on distributions and budge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bay, DIN fluxes across sediment-water interface and denitrification rates in the sediments of the same area. The TN : TP and DIN:DIP atomic ratios of the discharged freshwater were about 26 and 21, respectively. The standing stocks in the seawater of the TN : TP atomic ratio varied from 8 to 14 with an annual mean value of 11, while the DIN : DIP atomic ratio varied from 10 to 15 with an annual mean value of 12 in the bay. The residence time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estimated to be about 109 days and 200 days in the bay,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DIN released from sediment and denitrification rate to the loading of total nitrogen into Hiroshima Bay were $45\%\;(37\~82\%)\;and\;13\%(0.0\~37\%)$, respectively, and the amount of nitrogen through denitrification process was 6.5 times larger than the outflow of nitrogen from the bay. The results show that DIN released from sediment and denitrification process in sediment play important roles on the nitrogen budget in Hiroshima B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