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METER AT BREAST HEIGHT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5초

청계천 이팝나무 가로수 생육환경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Growth Condition of Chionanthus retusa, Roadside Tree in Cheongyechon)

  • 윤소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9-138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growth condition of Chionanthus retusa, roadside tree in Cheongyechon (CGC)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soil characteristics and tree vitality and chlorophyll contents of it. Growth condition of tree (condition of flower, leaves and branch, % of flowering, height, diameter at breast height, width, vitality and chlorophyll contents) and physiochemical relation item (pH, organic matter, K, Mg, Na, Ca, P)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The growth condition of flower, leaves and branch in the left side of CGC is better than the right side since the quantity of sunshine of left side of CGC is much more than the right side. 2. The average pH was alkaline. P and organic contents were much lower than the standards. 3. Tree vitality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bad where were high user density and high buildings, such as 1, 2 area near Jong-gak and jongro 3 ga. Among the physiochemical factors of soil which affect tree vitality, K and P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to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growth environment of roadside tree in CGC, it is needed to do periodical soil fertilizing and improv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il such as, permeability and porosity by soil conditioner.

덕유산국립공원의 산림환경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s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Forest Environment in Deogyusan National Park)

  • 유재평;진선덕;김현숙;이준우;백운기;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2-144
    • /
    • 2011
  •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의 향적봉지역(A)과 백련사지역(B) 및 안성지역(C)을 대상으로 2010년 4월부터 9월까지 산림환경과 조류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향적봉지역은 신갈나무 등의 낙엽활엽수림과 주목, 구상나무 등의 아고산대침엽수림과 원추리, 철쭉 등의 초지가 형성되어있고, 백련사지역과 안성지역은 대부분 낙엽활엽수림으로 구성되고 계곡부는 들메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교목의 흉고직경분포는 11~20cm 경급이 가장 많았으며, 30cm이상 대경목 비율은 백련사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향적봉지역이 가장 낮았다. 또한 엽층별 피도량은 향적봉지역은 하층부 피도량이 매우 높았고, 백련사지역은 8~12m의 중층부 피도량이 높았으며, 안성지역은 18m이상 상층부 피도량이 높게 나타났다. 덕유산국립공원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조류는 총 53종이었다. 각 지역별 종수와 밀도는 각각 향적봉지역이 25종 45.20 Ind./km, 백련사지역이 50종 58.63 Ind./km, 안성지역 35종 66.89 Ind./km로 백련사지역의 종수가 가장 많았고, 밀도는 안성지역에서 높았다. 우점종은 향적봉지역이 휘파람새를 비롯한 초지와 관목에 서식하는 종들이 우점하였고, 백련사지역과 안성지역은 오목눈이를 비롯한 수관층에 서식하는 종들이 우점하였다. 길드 구조는 모든 지역에서 관목층 영소길드와 채이길드 종이 높게 나타났고, 수동 영소길드와 공중 채이길드 종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흉고직경 30cm이상의 대경목 비율이 낮아 수동 영소길드 종들의 둥지목이 부족한 결과로 생각된다.

잣나무 인공림의 흉고직경 등급별 생장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Change by DBH Class in Korean White Pine Plantations)

  • 정성훈;서영완;이대성;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25-135
    • /
    • 2022
  • 본 연구는 장기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잣나무 인공림의 흉고직경, 수고, 흉고단면적, 재적, 바이오매스 생장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인자별 입목의 상대적 크기에 따른 생장을 비교하여 향후 인공림의 경급별 생산·수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흉고직경 기준 20%씩 총 5개의 등급인 I등급(1~20%, 상위 20%), II등급(21~40%), III등급(41~60%), IV등급(61~80%), V등급(81~100%, 하위 20%) 및 전체등급(0~100%)으로 구분하여 등급별 생장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9년간 9회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총생장과 연평균생장량이 산출되었으며, 입목평균을 이용한 개체목 특성과 단위면적 ha당 산출값을 이용한 임분 특성이 분석되었다. 인자별 총생장 분석 결과,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재적, 바이오매스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등급 간 총생장의 차이가 증가하였으나, 수고생장의 차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연평균생장량 분석결과, 평균흉고직경의 I등급 최대값은 23년생 때 0.92 cm·yr-1로 관측되었으며, 전체등급의 최대값은 17년생 때 0.69 cm·yr-1로 파악되었다. 평균수고의 I등급 연평균생장량은 23년생 때 0.52 m·yr-1로 최대였으며, 전체등급의 최대값은 20년생 때 0.49 m·yr-1로 파악되었다. 개체목 및 임분 단위의 흉고단면적, 재적, 바이오매스의 경우, 본 조사기간인 46년생까지 I등급과 전체등급의 연평균생장량 최대값은 관측되지 않았다. 따라서 해당 인자들의 연평균생장량 최대값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경복궁 경회루 권역의 식생경관원형과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ting Improvement and Original Landscape of Gyeonghoeru Area in Gyongbokkung Palace)

  • 김충식;정슬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17-25
    • /
    • 2018
  • 본 연구는 경회루 권역의 경관개선을 위해 원형을 고찰하고, 수목 생장예측모델을 추정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식재경관의 개선방안에 대한 검증을 위해 만세산에 식재된 수목에 대한 사진측량을 진행하였다. 만세산 송림의 생장율을 알아보기 위해 Pressler 공식을 이용하고, 시뮬레이션을 제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조사 및 경관분석 결과, 경회루 권역의 수목들은 수양벚나무와 감나무를 제외하고 흉고직경 30cm 이상의 대교목으로 특히 경관을 차폐하는 만세산의 송림과 북쪽 화계의 수목들에 대한 전정을 통해 관리하거나, 작은 수목으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목생장율 측정 결과, 평균 10년을 기준으로 남측 만세산은 근원직경 14%, 수고 5%가 북측 만세산은 근원직경 7%, 수고 2.4% 만큼 생장하였다. 나아가 산출된 수목생장률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작성했을 때 20년 후에는 경회루 2층에서 경관 또한 만세산의 송림이 인왕산의 스카이라인을 차단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경관개선 시뮬레이션을 분석하여 경회루 권역의 경관을 조망하기 위한 수목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회루 권역의 식재경관을 고증하고 효율적인 정비방안을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다.

Comparing Carbon Reduction Estimates for Tree Species from Different Quantitative Models

  • Hyun-Kil Jo;Hye-Mi Par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3호
    • /
    • pp.119-127
    • /
    • 2023
  • In this study, quantitative models were applied to case parks to estimate the carbon reduction by trees, which was compared and analyzed at the tree and park levels. At the tree level, quantitative models of carbon storage and uptake differed by up to 7.9 times, even for the same species and size. At the park level, the carbon reduction from quantitative models varied by up to 3.7 times for the same park. In other words, carbon reduction by quantitative models exhibited considerable variation at the tree and park levels. These differences are likely due to the use of different growth environment coefficients and annual diameter at breast height growth rates and the overestimation of carbon reduction due to the substitution of the same genus and group model for each tree species. Extending the annual carbon uptake per unit area of the case park to the total park area of Chuncheon a carbon uptake ranging from a minimum of 370.4 t/yr and a maximum of 929.3 t/yr, and the difference can reach up to 558.9 t/yr. This is equivalent to the carbon emissions from the annual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of approximately 2,430 peop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discriminate application of quantitative models to estimate carbon reduction in urban trees can lead to significant errors and deviations in estimating carbon storage and uptake in urban greenspa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estimating carbon reduction in urban greening research, projects, and policies.

Cone Sex Ratio and Pollen Traits in Pinus densiflora (Pinaceae)

  • Kang, Hyesoon;Yoon, Jumso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2호
    • /
    • pp.131-140
    • /
    • 2000
  • The pattern of variations in cone sex ratio and pollen traits such as pollen number and size was examined for two years in populations of red pines In Korea. We evaluated; (1)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size and cone sex ratio, (2)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 and cone sex ratio,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cone sex ratio and pollen traits. Larger trees in height and circumference at breast height produced more male as well as female cones. However, cone sex ratio was independent of these plant sizes. Across the two populations, both female cone numbers per tree and male cone numbers per new shoot increased 2.2 and 1.2 times, respectively, in 1999 compared to 1998, while the yearly pattern of male cone-bearing shoots per tree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populations. Thus, cone sex ratio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years in one of the two populations. Pollen traits such as the number of pollen grains and diameter did not vary significantly among populations. Pollen diameter and grain numbers per male con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e sex ratio in two populations and one population, respectively. Trees which stopped female cone production in the first year and those which produced female cones in both years differed in the cone sex ratio and pollen size in the second year. The long duration of one reproductive episode and the potential of masting in red pines emphasize the need to conduct long-term studies on the dynamics of cone production, cone sex ratio, and simultaneous changes in pollen traits in red pines.

  • PDF

참나무시들음병의 지형공간 및 흉고직경에 따른 피해분석 (Damage Analysis of Oak Wilt According to Geographic Space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 강정석;신창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362-369
    • /
    • 2017
  • 본 연구는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역의 지형적, 공간적 발생분포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피해 예상지에 대한 적극적인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3개 지역에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발생된 피해목을 모두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나무시들음병은 능선에 가까울수록 많은 수의 피해목이 발생되었으며, 보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능선을 기준으로 0~40 m까지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하여 집중적인 방제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경사에 따른 피해상황이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피해발생을 경사도로 예측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경급별로는 지역마다 본수비율이 가장 높은 평균 경급에서 피해목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를 이용한 수목관리정보 구축 방안 (Construction of Tree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Point Cloud Data)

  • 이근왕;박준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427-432
    • /
    • 2020
  • 효과적인 산림경영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수고, 흉고직경 등 수목관리정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산림조사 방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 취득 기술의 융복합 및 적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스캐너를 통해 취득되는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목관리정보를 구축하고 분석하였다. 고정형 및 이동형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작업시간 비교를 통해 이동형 3D 스캐너의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를 이용한 식생의 객체별 분류를 수행하고, 흉고직경 및 수고에 대한 정보를 구축함으로써 객체 관리가 가능한 수목관리정보를 구축하였다. 기존의 측정 방법과 비교한 정확도 평가 결과 수고는 0.02-0.09m, 흉고직경은 0.01-0.04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객체별 식생의 위치와 수관에 대한 정보를 구축한다면 산림관리정보 구축 관련 업무 효율성 증가에 기여할 것이다.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stem volume models for Quercus glauca in the subtropical forest of Jeju Island, Korea

  • Seo, Yeon Ok;Lumbres, Roscinto Ian C.;Won, Hyun Kyu;Jung, Sung Cheol;Lee, Young J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4호
    • /
    • pp.485-491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tem volume models for the volume estimation of Quercus glauca Thunb.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validated the developed stem volume models using an independent dataset. A total of 167 trees were measured for their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total height and stem volume using non-destructive sampling methods. Eighty percent of the dataset was used for the initial model development while the remaining 20% was used for model validation. The performance of the different models was evaluated using the following fit statistics: standard error of estimate (SEE), mean bias absolute mean deviation (AM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The AMD of the five models from the different DBH classes were determined using the validation dataset. Model 5 (V = aDbHc), which estimates volume using DBH and total height as predicting variables, had the best SEE (0.02745), AMD (0.01538), R2 (0.97603) and RMSE (0.02746). Overall, volume models with two independent variables (DBH and total height)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ith only one (DBH) based on the model evaluation and validation.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vide forest managers with accurate estimations for the stem volumes of Quercus glauca in the subtropical forests of Jeju Island, Korea.

Vegetation Structure of Hovenia dulcis Community in South Korea

  • Yun, Chung-Weon;Lee, Byung-Ch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1호
    • /
    • pp.33-39
    • /
    • 2002
  •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make clear the vegetation structure of Hovenia dulcis community in the Korean Peninsula over ten mountains including 17 plo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Habitat of the community indicated that elevation ranged from 115 meter to 720 meter at the sea level, slope aspect in nearly all directions, bare rock from 0 to 90 percent, slope degree from 10$^{\circ}$ to 40$^{\circ}$, topography from valley to middle slope, the height of tree layer from 8m to 22m,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from 12cm to 59cm and coverage from 65% to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