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

검색결과 1,752건 처리시간 0.03초

도화원도를 이용한 LiDAR DEM의 정확도 평가 (The Evaluation on Accuracy of LiDAR DEM by Plotting Map)

  • 최윤수;한상득;위광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7-136
    • /
    • 2002
  • 수치표고자료(Digital Elevation Model ; DEM)는 영상처리, GIS, 건설, 수자원, 조경, 통신, 군사 및 기타 관련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정밀 DEM을 기반으로 하는 대축척 정사영상 제작, 3차원 GIS 데이터 구축 등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LiDAR(Light and Detection And Ranging) 시스템의 등장으로 기존의 항공사진측량과 비교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도시지역의 DEM을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일반적인 검사점(Check Point)에 의한 비교방법은 건물에 대한 높이값이 아닌 지형에 대한 높이값만을 비교함으로 인하여 LiDAR자료에서 건물 등 구조물 정확도를 평가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의 도심지를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항공레이저측량(LiDAR측량) 자료를 이용한 DEM 및 수치정사영상을 제작하고 해석도화원도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하면 LiDAR DEM은 건물의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x축 방향으로 0.30 m, y축 방향으로 0.62 m 편이가 발생하였으며 도화원도를 이용하여 제작한 DEM과의 비교 .분석한 결과, 편이가 $\pm$10 cm 범위에 36.2%, $\pm$10 cm$\pm$20 cm 범위에 43.53%가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LiDAR 자료의 정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규정하고 있는 1/5,000 도화축척의 최대오차 이내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홍수지도 제작용 지형자료의 효과적인 구축방법 연구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 of Topographic Data for Flood Mapping Using Digital Map)

  • 이근상;고덕구;김우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61
    • /
    • 2004
  •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홍수지도 제작을 위한 정밀 지형자료 구축을 위해 LiDAR 측량을 실시하고 있으며, 향후 전국에 대한 홍수지도 제작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홍수지도 제작이 꼭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모의용 자료구축을 위해 NGIS 수치지형도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축척별 수치지형도의 표고오차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의 DEM 오차를 평가하기 위해 LiDAR 측량을 수행하여 구축한 DEM과 비교하였다. 특히 수치지형도로부터 구축한 TIN으로부터 DEM을 생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보간법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1,000 수치지형도가 1: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오차가 작게 나타났으며, linear 보간을 수행한 DEM이 quintic 보간을 수행한 DEM에 비해 작은 오차특성을 보였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완만한 경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상도에 따른 DEM 오차의 변화는 매우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ASTER 스테레오 영상의 폐색영역 보정에 의한 DEM 생성 (Generation of DEM by Correcting Blockage Areas on ASTER Stereo Images)

  • 이진덕;박진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5-163
    • /
    • 2010
  • NASA의 Terra 위성에 탑재된 ASTER는 기선고도비 0.6, 15m 해상도의 along-track 디지털 스테레오 영상자료를 제공한다. $43km{\times}50km $ 지역에 대한 ASTER 스테레오영상으로부터 ENVI 4.1 소프트웨어의 자동 스테레오 상관처리과정을 실행하여 $15m{\times}15m$의 DEM을 추출하였다. ASTER DEM의 정확도를 1:25,000축척의 수치지형도로부터 얻은 DEM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높이에서 RMSE ${\pm}7{\sim}{\pm}20m$를 나타냈다. RMSE ${\pm}10m$를 초과하게 하는 요인들로서 구름지역, 수역, 건물지역들을 제외한 지역들의 DEM 정확도는 5.789m의 RMSE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름지역과 그림자 지역을 토지피복 분류에 의해 검출하여 추출된 ASRER DEM(엄밀히 말해서 DSM) 상에서 그 부분들을 제거한 다음, 밴드간 연산기법을 이용하여 이 부분을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한 DEM으로 대치함으로써 지형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SPOT 5/HRG 입체영상으로부터 추출된 DEM의 평가 (Evalu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Created form SPOT 5/HRG Stereo Images)

  • 김연준;유영걸;양인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3-158
    • /
    • 2006
  • 새로운 HRG(High Resolution Geometric) 영상 장치는 CNES에 의해 개발된 SPOT 5 위성의 고해상도 관측 센서이다. HRG 장치는 SPOT 1 - 4 위성들에 탑재된 HRV/HRVIR 보다 진보된 높은 지상 해상도로 영상을 얻는다. HRG의 관측폭은 다른 SPOT 위성들과 같은 60km이며, 두 개의 HRC 장치는 5m 공간해상도로 최대폭 120km까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위성의 입체 영상으로부터 DEM을 생성하는 방법은 지형도와 항공사진을 이용한 DEM 생성의 연장선상에 있다. 위성영상의 광범위 관측능력은 동일한 지역에 대한 빠른 자료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 연구에서는, 제천 지역에 대한 SPOT 5/HRG 입체 영상을 이용하여 DEM을 생성하기 위해 LPS의 OrthoBASE Pro 툴을 사용하였다. 결과로 얻어진 DEM은 수치지형도의 등고선으로부터 획득된 참조 DEM과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InSAR 및 3-Pass DInSAR 처리기법을 적용한 DEM 추출에 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DEM Extraction Using InSAR and 3-Pass DInSAR Processing Techniques)

  • 배상우;이진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76-186
    • /
    • 2007
  • SAR데이터는 기상이나 일조량의 제약을 받지 않고 능동적으로 자료를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지표면의 시계열 분석자료로서 활용성이 높고, 재해와 같은 돌발상황의 경우에 신속하게 자료를 취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JERS-1 SAR 영상의 L-밴드 데이터로부터 InSAR 방법과 DInSAR 기법을 이용하여 DEM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추출한 coherence, interferogram 영상을 분석한 결과, DInSAR 3-pass 방식을 이용할 경우 InSAR 방식에 비해 비교적 안정된 coherence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축척 1:5000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DEM을 기준자료로 하여 SAR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DEM의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안테나 간의 기선장이 DEM의 정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역경계 추출을 위한 DEM별 전처리 방법과 격자크기 분석 (Preprocessing Methods and Analysis of Grid Size for Watershed Extraction)

  • 김동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50
    • /
    • 2008
  • 최근 지형정보 취득을 위한 다양한 신기술의 개발로 수치지도,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고해상도 위성영상 등의 Digital Elevation Model(DEM) 자료원이 다양해졌다. 이러한 DEM은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위해 수문지형 특성인자 추출에 필요한 주요 자료원이다. 특히 DEM을 이용한 유역 추출은 최근의 오염총량관리 계획의 수립에 필요한 당해 지역의 수계환경자료조사, 오염원조사, 오 폐수량 및 오염부하량 산정, 수질모델링 등의 공간적 경계를 구분 짓는 매우 중요한 공간자료이다. 지금까지의 DEM을 이용한 유역추출 연구가 격자크기나 전처리 방법에 따른 인자추출이 주를 이뤘으나, 이 연구에서는 LiDAR와 수치지도를 통해 작성한 DEM별 격자크기와 전처리방법에 따른 유역 추출의 정확도를 분석하였으며, 2m 격자의 LiDAR DEM을 Agree burn으로 전처리한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색 항공영상의 매칭 DEM 정확도 평가 (DEM Accuracy Assessment from Matching of Color Aerial Image)

  • 김감래;황원순;박용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1-146
    • /
    • 2003
  • In case of producing image map by using the color aerial photograph, DEM makes on huge effects to the accuracy of ortho image. Thus, this paper has the purpose that evaluate the accuracy of DEM acquired by matching the color aerial photograph. At the study, result of color aerial photograph's control point surveying was X=${\pm}$0.14m, f=${\pm}$0.16m. Estimated result by DEM of plot-map and matching has RMSE=${\pm}$1.058m for the elevation(Z). For matching DEM has a minor(-)'s value, it can access that produce by high point than plot-map DEM.

  • PDF

Generation of DEM Data Under Forest Canopy Using Airborne Lidar

  • Woo Choong-Shik;Kim Tae-Guen;Shin Jung-Il;Lee Kyu-S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512-514
    • /
    • 2005
  • Accurate DEM surface of forest floor is very important to extract any meaningful information regarding forest stand structure, such as tree heights, stand density, crown morphology, and biomass. In airborne lidar data processing, DEM data of forest floor is mostly generated by interpolating those elevation points obtained from last laser returns.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property of the last laser return under relatively dense forest canopy. Airborne laser data were obtained over the study area in relatively dense pine plantation forest. Two DEM data were generated by using all the points in the last laser returns and using only those points after removing non-ground points. From the preliminary analysis on these DEM data, we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points among the last laser returns are actually hit from canopy, branches, and understory vegetation that should be removed before generating the surface DEM data.

  • PDF

대기유동장 수치모의 시 지형해상도의 영향 (Influence of Topography Resolution on Atmospheric Flow Simulation)

  • 우상우;김현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5-457
    • /
    • 200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opography resolution on atmospheric flow simulation and to suggest a method of atmospheric flow simulation using a low-resolution DEM. Simulations using a low-resolution DEM has more critical error at near surface than simulations using high-resolution DEM because it is ignored the small curve topography of high-resolution DEM. Therefore when we convert the height differences between low-resolution DEM and high-resolution DEM into the topography roughness, we can be able to reduce the error on atmospheric flow simulations.

  • PDF

인터넷에서 VRML을 이용한 DEM의 3차원 가시화 (3D Visualization of DEM using VRML on the Internet)

  • 한능우;한순흥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89-195
    • /
    • 1996
  • 3차원 형상표현 언어인 VRML을 이용하여 손쉽게 얻을 수 있는 DEM 데이타를 직접 인터넷상에서 가시화 하게 되면, VRML이용의 가장 큰 난점일 VRML형식 파일 작성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즉자적으로 능동적인 3차원 지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DEM을 VRML파일로 만들어 인터넷 웹상에서 가시화 시키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이용한 인터넷 GIS의 한 가능성을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