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CCA Ordinatio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7초

임도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식물 선정 - 강원도지역 임도를 중심으로 - (Native Plants Selection for Ecological Replantation in Forest Road Slope - In case study on forest road of Gangwon-do -)

  • 이미정;이준우;전권석;김효정;최윤호;정도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3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of forest road cut-slope. From one to fourteen year elapsed forest roads in Gangwon-do, sample plots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Invaded species with high frequency ordered Lespedeza cyrtobotrya, Lysimachia clethroides, Rubus crataegifolius, Patrinia villosa, Spodiopogon sibiricus, Pueraria thunbergiana, Youngia denticulata, Dactylis glomerata, Rhus chinensis, and Pinus densiflora. North cut-slope have the highest value of invaded species number and plant coverage, and so, north aspect could be best for plant invasion. According to ordination, distribution of species were influenced by elapsed year, cut-slope aspect, and cut-slope. Lespedeza bicolor, Lespedeza cyrtobotrya, Artemisia stolonifera, Miscanthus sinensis, Rubus crataegifolius, Rhus chinensis, Lindera obtusiloba, and Pinus densiflora were considered with proper species for replantation at south slope. Also, Lespedeza bicolor, Lespedeza cyrtobotrya, Arundinella hirta, Artemisia keiskean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Rubus crataegifolius, Weigela subsessilis, Stephanandra incis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were considered with proper species as replantation at north slope.

한계령풀(Leontice microrhyncha)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of Leontice microrhyncha Population)

  • 권재환;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4-93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egetation properties, soil characteristics and ordination of Leontice microrhyncha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Leontice microrhyncha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dominant population, Morus bombycis dominant population, Fraxinus mandshurica population and Leontice microrhyncha typical dominant. The Leontice microrhyncha population was located at an elevation of 633m to 1,336m in Korea.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8.40~10.58%, 0.42~0.61%, 14.15~25.07mg/kg, 0.44~0.59cmol$^+$/kg, 2.35~6.33cmol$^+$/kg, 0.35~0.98cmol$^+$/kg, 26.04~33.48cmol$^+$/kg and 4.69~5.32 respectively. Morus bombycis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low elevation and gentle sloped area that has high percentage of phosphoric acid and less percentage of total nitrogen,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than other dominant population. Fraxinus mandshurica dominant population and Leontice microrhyncha typical population were found in the comparatively high elevation area that has low percentage of phosphoric acid and high percentage of total nitrogen,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Quercus mongolica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medium elevation area that has medium percentage of total nitrogen,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고추냉이(Wasabia japonica (Miq.) Matsum.)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Wasabia japonica Population)

  • 김무열;소순구;한경숙;이지혜;박관수;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30-535
    • /
    • 2008
  • 본 연구는 울릉도 고추냉이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분포서열법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추냉이 개체군은 서면의 해발고 440m에서 570m 사이와 나리분지의 해발 340m 부근에 분포하고 있다. 고추냉이 군락지의 토양은 유기물함량 15.01%, 전질소함량 0.48%, 유효인산함량 44.19mg/kg, 치환성 K 2.00(me/100g), 치환성 Ca 7.19(me/100g), 치환성 Mg 4.44(me/100g), 양이온치환용량 22.55(me/100g)로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 pH는 6.17로 약산성 토양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일색고사리 우점개체군은 좀깨잎나무 우점개체군보다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치환성 Ca 등이 다소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는데 반하여 좀깨잎나무 우점개체군은 일색고사리 우점개체군보다 pH가 다소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군락의 식생구조와 생태특성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Properties of Sterwartia koreana Community)

  • 권혜진;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96-304
    • /
    • 2008
  • 우리나라 노각나무 자생지 가운데 8개 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방형구법을 사용하여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각나무군락은 고로쇠나무하위군락, 소나무하위군락, 사람주나무하위군락, 노각나무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노각나무는 주로 계곡 주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특성은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K, 치환성 Ca, 치환성 Mg, 양이온치환용량(CEC)의 함량이 14.31~34.27%, 0.33~0.77%, 7.83~22.88(mg/kg), 0.23~1.07(me/100g), 0.29~2.93(me/100g), 0.33~1.49(me/100g), 10.47~22.48(me/100g)이며, pH는 4.65~4.96으로 약산성토양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로쇠나무하위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높고, 전질소, 치환성 Ca, Mg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였으며, 소나무하위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낮고, 전질소, 치환성 Ca, Mg의 함량이 가장 낮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우난초(Calanthe discolor)와 금새우난초(C. sieboldii)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토양특성 (Vegetation Structures and Soil Properties of Calanthe discolor and C. sieboldii Population)

  • 박혜림;김무열;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3-7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 and ordination between Calanthe discolor and C. sieboldii population, Jeju Island. The C. discolor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Cryptomeria japonica dominant population, Miscanthus sinensis dominant population, and C. discolor typical population. The C. discolor population was located in elevation of 156m to 430m, and C. sieboldii was located in elevation of 424m to 604m in Jeju Island.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nitrogen,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30.05~53.58%, 0.74~1.64%, 0.80~1.95cmol$^+$/kg, 4.35~22.53cmol$^+$/kg, 4.00~6.63cmol$^+$/kg, 25.60~51.33cmol$^+$/kg, and 4.83~5.70, respectively. C. discolor population was found in the low elevation and steep sloped area that has less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than C. sieboldii population. C. discolor typical population was found in the high elevation area that has more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in the C. discolor. Miscanthus sinensis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shade of west direction of japanese black pine. C. sieboldii was found in a high elevation and a gentle sloped area that has high percentage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한반도 풍혈지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Algific Talus in Korea)

  • 김진석;윤종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57-368
    • /
    • 2013
  • 본 연구는 한반도 풍혈지 식생에 대하여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통해 식물군락의 특성을 밝히고 풍혈지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풍혈지는 지하에 저온층이 존재하는 크고 작은 바위들의 집적지로서, 지표면에 열려진 공극으로부터 자연적인 냉풍이 불어 나와 국소적으로 저온환경이 형성된 지역이다. 63개 식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풍혈지의 식물군락을 구분한 결과, A. 굴참나무-한들고사리군락, B. 신갈나무-박달나무군락, B-1. 졸참나무-가는잎쐐기풀하위군락, B-2. 마가목-인가목조팝나무하위군락, B-3. 털댕강나무-개병풍하위군락, B-4. 전형하위군락의 2개 군락 4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DCCA분석 결과, 굴참나무, 쥐똥나무, 느티나무, 분꽃나무 등을 구분종으로 하는 굴참나무-한들고사리군락은 신갈나무, 쉬땅나무, 함박꽃나무, 당단풍나무, 민둥인가목 등을 구분종으로 하는 신갈나무-박달나무군락보다 온량지수와 강수량이 많은 지역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인가목조팝나무, 마가목, 흰인가목, 산앵도나무, 산겨릅나무, 퍼진고사리, 전나무을 구분종으로 하는 마가목-인가목조팝나무하위군락과 구분종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전형하위군락은 다른 하위군락에 비하여 높은 해발과 많은 강수량 지역에 분포하였으며, 당조팝나무, 털댕강나무, 개병풍, 산토끼고사리, 북분취, 일본잎갈나무 등을 구분종으로 하는 털댕강나무-개병풍하위군락은 인간활동에 의하여 일광 노출이 많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금산 서대산의 임분 특성 및 군락 분류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Community in Seodaesan, Geumsan)

  • 지윤의;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38-46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in Seodaesan of Geumsan, Chungnam Province.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Braun-Blanquet and quadrat method, 36 plots were sampled in forest of Seodaesan. The sub-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laxiflora sub-community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s were 77.07 in Quercus mongolica, 40.79 in Pinus densiflora, 17.03 Fraxinus rhynchophylla, 14.06 in Fraxinus sieboldiana, 13.99 in Quercus serrata, 12.93 Acer pseudosiebotdianum. Coverage rate was 84.6% in tree layer, 52.8% in subtree layer, 29.1% in shrub layer, 27.9% in herb layer, respectively. Most of the DBH of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was between 5cm and 20cm. Therefore,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might be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for several decades.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laxiflora sub-communities were distributed mainly in a high-altitude and northern and north-western area. Pinus densiflora sub-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in a low-altitude and western area.

지리산국립공원의 산림식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Jirisan National Park)

  • 권재환;신민경;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93-118
    • /
    • 2013
  • In this study, the forest vegetation of Jirisan National Park were classified into 20 communities, 3 subcommunities by the Z-M method. I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had the highest correlation on the subalpine forests. among them Picea jezoensis community showed the highest, Betula ermanii community, Taxus cuspidat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bies nephrolepis community and Abies koreana community were represented in order. the K, Mg, Ca had correlation on th montane forest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Stewartia pseudocamelli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were in order. the total nitroge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organic matter had the highest correlation of the montane ravine forests;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Abies holophylla community, Betula costat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and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were in order.

TWINSPAN과 DCCA에 의한 금강(金剛)소나무 및 춘양목(春陽木)소나무 군집(群集)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nd Chunyang-typ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by TWINSPAN and DCCA)

  • 송호경;김성덕;장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266-274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금강소나무와 춘양목(春陽木)소나무의 삼림(森林) 식생(植生)과 환경요인(環境要因)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62개(個)의 조사구(調査區)를 설치(設置)하여 식생(植生) 조사(調査)를 실시하였으며, TWINSPAN과 DCCA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금강소나무 군집(群集)에서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금강소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생강나무, 물푸레나무, 개옻나무 등의 순(順)이고, 춘양목소나무 군집(群集)에서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소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쇠물푸레나무, 쪽동백나무, 졸참나무 등의 순(順)이다. 소나무의 삼림군집(森林群集)은 Quercus variabilis-Styrax obassia, Quercus variabilis,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Quercus mongolica의 4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금강(金剛)소나무 군집(群集)이 춘양목(春陽木)소나무 군집(群集)보다 pH, 전질소(全窒素),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K^+$, $Ca^{{+}+}$, $Mg^{{+}+}$, cation exchange capacity에서 양호하였으며, 춘양목(春陽木)소나무 군집(群集)은 유효인산(有效燐酸)에서만 양호(良好)하였다. 소나무 군집(群集)에서 군집(群集)과 환경요인(環境要因)들과의 관계(關係)로 보면 신갈나무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높고, 전질소(全窒素),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C.E.C. 등(等)의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는데, 굴참나무 군집(群集)은 이와 반대로 해발고(海拔高)가 낮고, 전질소(全窒素),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C.E.C. 등(等)의 양료(養料)가 적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굴참나무 -쪽동백 군집(群集)과 굴참나무-신갈나무 군집(群集)은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군집(群集)의 중간(中間) 부분(部分)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 PDF

신안군 장도 산지습지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a Forest Wetland in Jangdo, Sinan-Gun)

  • 송호경;박관수;박혜림;소순구;김효정;김무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7-414
    • /
    • 2006
  • 신안군 장도 산지습지의 식생과 토양 및 ordination을 분석하였다. 장도 산지습지에서 특기할만한 식물은 바늘꽃, 개쉽사리이고, 한국 특산식물로는 흑산도 비비추와 소사나무 2종이며, 관속식물은 40과 62속 57종 9변종 1품종 총 67분류군이다. 식생군락은 버드나무-기장대풀군락, 기장대풀군락, 억새군락이다. 토양 분석 결과, 유기물함량 20.6-72.4%, 전질소함량 0.74-2.13%,유효인산함량 33.3-114.6ppm, 양이온치환용량(CEC) 25.5-94.3이고, 토양pH는 5.10-5.42이며, 토성은 주로 식양토로 나타났다. 군락의 분포와 환경 인자들과의 상관을 보면, pH가 군락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버드나무-기장대풀군락은 3군락 중 pH가 가장 높으며, 전질소, 유기물함량, 양이 온치환용량, 치환성 Na, Ca, Mg등의 양료가 가장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억새군락은 버드나무-기장대풀군락과는 반대로 3군락 중 pH가 가장 낮으며, 전질소, 유기물함량,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 Na, Ca, Mg등의 양료가 가장 적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