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BH CLASS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3초

강원 중ㆍ북부 지역의 잣나무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 (A Study on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in North Central Region of Gangwon Province)

  • 이대성;최정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01-10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gure out the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 with relation to DBH, height, and volume in sixteen Pinus koraiensis plantations of Gangwon province region. Age class was diversely distributed from age class II (16 yr) to age class VIII (77 yr), and, in terms of site index, sixteen regions were superior: nine regions 'high', seven regions 'middle'. The distribution of DBH by sites appeared a bell-shaped curve, and the number of trees was the most in diameter section of 18-22 cm. The dispersion of DBH was various with age and widest ranging from 18 cm to 58 cm in age class VII-VIII. The distribution of height was also a bell-shaped curve with the smaller deviation than the distribution of DBH, and most of trees were in height section of 14-18 m. The correlation of DBH and height was high (r=0.75), and the volume bigger than 1.0 $m^3$ was presented from DBH 35 cm, height 20 m.

Log Production of Major Commercial Species for Sawtimber in Hongcheon Region of South Korea

  • Lee, Ilsub;Lee, Daesung;Seo, Yeongwan;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233-238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number of logs for sawtimber by DBH and height class and to compare merchantable volume ratio by categorizing into sawtimber, lagging board and pulpwood, and others for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Logs for sawtimber were hardly produced in small DBH class of three species, but produced evidently from medium DBH class. In large DBH class, the number of logs for sawtimber were noticeably different among species: 4.3 logs for L. kaempferi, 2.6 logs for P. densiflora, and 1.0 logs for P. koraiensis on average. Similarly, merchantable volume ratio for sawtimber were largely different among species in large DBH class with higher than 15 m: 82% logs for L. kaempferi, 60% logs for P. densiflora, and 44% logs for P. koraiensis. When compared to the upper diameter and upper height by species with regard to the last log of a tree produced for sawtimber, upper diameter was smallest with 14.1 cm and upper height was highest with 12.2 m in L. kaempferi. Overall, L. kaempferi was considered as the more commercial species for sawtimber production than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잣나무 인공림의 흉고직경 등급별 생장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Change by DBH Class in Korean White Pine Plantations)

  • 정성훈;서영완;이대성;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25-135
    • /
    • 2022
  • 본 연구는 장기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잣나무 인공림의 흉고직경, 수고, 흉고단면적, 재적, 바이오매스 생장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인자별 입목의 상대적 크기에 따른 생장을 비교하여 향후 인공림의 경급별 생산·수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흉고직경 기준 20%씩 총 5개의 등급인 I등급(1~20%, 상위 20%), II등급(21~40%), III등급(41~60%), IV등급(61~80%), V등급(81~100%, 하위 20%) 및 전체등급(0~100%)으로 구분하여 등급별 생장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9년간 9회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총생장과 연평균생장량이 산출되었으며, 입목평균을 이용한 개체목 특성과 단위면적 ha당 산출값을 이용한 임분 특성이 분석되었다. 인자별 총생장 분석 결과,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재적, 바이오매스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등급 간 총생장의 차이가 증가하였으나, 수고생장의 차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연평균생장량 분석결과, 평균흉고직경의 I등급 최대값은 23년생 때 0.92 cm·yr-1로 관측되었으며, 전체등급의 최대값은 17년생 때 0.69 cm·yr-1로 파악되었다. 평균수고의 I등급 연평균생장량은 23년생 때 0.52 m·yr-1로 최대였으며, 전체등급의 최대값은 20년생 때 0.49 m·yr-1로 파악되었다. 개체목 및 임분 단위의 흉고단면적, 재적, 바이오매스의 경우, 본 조사기간인 46년생까지 I등급과 전체등급의 연평균생장량 최대값은 관측되지 않았다. 따라서 해당 인자들의 연평균생장량 최대값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경상북도 춘양지방 금강소나무림의 식생구조 및 생육밀도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Density of Pinus densiflora for. eracta Community in Chungyang, Kyeongsangbuk-do)

  • 이경재;김정호;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9-393
    • /
    • 200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춘양지방 금강소나무림(이하 춘양목소나무림)의 식생구조 및 생육밀도를 밝히기 위하여 36개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36개 조사구는 교목층의 흉고직경의 크기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결과. 군집 I (대경목), 군집 II (대경목), 군집 III(중경목), 군집 IV(소경목)의 4개 소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고, 교목층은 소나무, 아교목층은 쇠물푸레와 신갈나무, 관목층은 철쭉꽃과 진달래가 우점하였다. 4개 군집의 종다양도는 0.4320~0.9487(단위면적: 400$m^2$)로 낮은 상태이었으며 군집간 유사성이 높았다. 생육밀도 분석결과 흉고단면적은 평균흉고직경 이 작은 군집일수록 낮았으며, 평균흉고직경, 개체수, 최단거 리 간의 회귀분석결과 생육거리(m) = 0.0934$\times$흉고직경(cm)+0.6117, 개체수=242.47$\times$흉고직경(cm)$^{-1.1009}$, 생육거리=9.643$\times$개체수$^{-0.7016}$이었다. 아울러 본 군집들은 수령 30~50년생, 낙엽층 두께 0.5~2.5cm, 관목피도율 20% 정도로 송이생육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갈나무-전나무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갱신(更新) 및 무육방법(撫育方法) II. 생장률(生長率)을 이용(利用)한 미래(未來) 임분구조(林分構造)의 예측(豫測) (Regeneration and Tending Practices for Natural Mixed Stands of Quercus mongolica-Abies holophylla II. Prediction of Futures Stand Structure using Rate of Increment)

  • 신만용;임주훈;전영우;고영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46-155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임분(林分)의 직경(直徑) 분포(分布) 및 수고(樹高) 분포(分布)에서는 태벌구조(擇伐構造)의 가능성(可能性)을 시사(示唆)하고 있으나 경급별(徑級別) 재적(材積) 분포(分布)에서는 택벌(擇伐)에 이르지 못한 미성숙(未成熟) 구조(構造)를 보여 갱신과정(更新過程)에 있는 것으로 판단(判斷)되는 강원도(江原道)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고재(所在) 천연(天然) 횬효임분(混淆林分)을 대상(對象)으로 이 임분(林分)의 직경(直徑) 및 재적(材積) 생장율(生長率)의 파악(把握)을 통하여 미래(未來) 임분(林分) 구조(構造)의 변화(變化)를 예측(豫測) 함으로서 이 임분(林分)에 대한 택벌작업종(擇伐作業種)의 가능성(可能性)을 점검(點檢)하였다. 매 1년(年) 단위(單位)로 생장율(生長率)을 이용(利用)한 앞으로 30년간(年間)의 임분(林分) 구조(構造)의 예측(豫測)에 의하면 30년후(年後)에 목표직경(目標直徑) 40cm 이상(以上)에서의 본수(本數)와 ha 당(當) 재적(材積), 그리고 매년(每年) 수확(收穫)이 가능(可能)한 대경목(大徑木) 재적(材積)을 충분(充分)히 보유(保有)할 것으로 예측(豫測)되어 택벌목(擇伐木)으로 경영(經營)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그러나 균형상태(均衡狀態)에 있는 이상적(理想的)인 택벌목(擇伐木)의 대(大), 중(中), 소경목(小徑木)의 경급별(徑級別) 본수(本數) 비율(比率)인 1 : 2 : 7과 재적(材積) 비율(比率)인 5 : 3 : 2를 유지(維持)하지는 못하고 있는데 이는 앞으로 적합(適合)한 조림(造林) 조치(措置)를 통한 조절(調節)이 가능(可能)할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mmunities by Cluster Analysis in Mt. Seokbyung Experimental Forest of Gangwon-Do

  • Chung, Sang-Hoon;Kim, Ji-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36-743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cological attributes of classified forest community by cluster analysis in the mixed forest of Mt. Seokbyung Experimental Forest of Gangwon-Do. Th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in randomly established 51 sample plots (2.04 ha) and analysis adopted the cluster analysis, importance value index, and Shannon's diversity index.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4 clusters (A, B, C and D). 2) The cluster A was 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with an importance value of 71.6%.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cluster B and cluster C were Larix leptolepis (57.1%) and Quercus mongolica (40.2%), respectively. Finally, The cluster D was dominated by P. densiflora (30.6%) and Q. mongolica (31.0%) with the mixed forest. 3) In the P. densiflora community (cluster A), distribution of DBH class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In the L. leptolepis community (cluster B), individuals of dominant species had the bell-shaped distribution. Oak species indicated uniform distribution of DBH class (under 25 cm) in the mixed P.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cluster D). 4)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communities in descending order were: Pinus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 Larix leptolepis community > Pinus densiflora community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llometry, Basal Area Growth, and Volume Equations for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in Gangwon Province of Korea

  • Choi, Jung-Kee;You, Byung-Oh;Burkhart, Harold 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2호
    • /
    • pp.189-196
    • /
    • 2007
  • Allometry, basal area equations, and volume equations were developed with various tree measurement variables for the major species,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in Korean natural hardwood forests. For allometry models, th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height-DBH, crown width-DBH, height to the widest portion of the crown-total height, and height to base of crown-total height were investigate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were used to relate annual basal area growth to tree variables of initial size (DBH, total height, crown width) and relative size (relative diameter, relative height) as well as competition measures (competition index, crown class, exposed crown area, percent exposed crown area, live crown ratio). For tree volume equations, the combined-variable and Schumacher models were fitted with DBH, total height and crown width for both species.

Population Dynamics of Quercus mongolica in Mt. Jumbong

  • Cho, Do-S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6호
    • /
    • pp.355-361
    • /
    • 1999
  • Distribution of size class, population regeneration and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were studied from 1994 to 1999 in Mt. Jumbong (128°27' E, 38° 04' N) of Mt. Sorak National Park and Biosphere Reserve in central Korea. Three 20m × 20m permanent quadrats were set up at the elevation of 900m. The vegetation of the study site was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but little change was observed in the community structure from 1995 to 1999. Most mortality in the study site was observed in small trees of A. pseudosieboldianum and Tilia amurensis. Mean annual growth in dbh (diameter of breast height) of Q. mongolica for 4 years was only 0.09cm, and no ingrowth of saplings (dbh < 2.5cm) into tree class was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the 21 Q. mongolica trees studied in the permanent quadrats. all the smaller trees (dbh < 30cm) were established in 1920 ∼ 1950, while many bigger trees (with 40cm < dbh < 80cm) were established in 1750 ∼ 1800, indicating that its establishment was episodic. Distribution of dbh classes among Q. mongolica trees shows that smaller trees were poorly represented, and no saplings of Q. mongolica occurred in the permanent quadrats studied, indicating that currently Q. mongolica is not regenerating well in the study site. Total seed production of Q. mongolica in 1994 was estimated as 88 acorns per square meter in the study site. Rate of predation including caching of acorns was highest in 1994, then declined sharply thereafter. Most of the acorns which managed to survive in the first year were predated in the second year, and only 5% of the acorns produced in 1994 survived into the third year. No seeds produced in 1994 or seedlings germinated from them succeeded to survive to 5 years after seed production. However, seedling emergence rate and seedling survival were high in the early growing season in 199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dation can be a significant factor in the regeneration of Q. mongolica. and that Q. mongolica is not regenerating well in Mt. Jumbong and needs large scale disturbances for its new recruitment.

  • PDF

임상도 특성에 따른 임목축적 및 탄소저장량 추정: 강원도를 중심으로 (Estimation of Growing Stock and Carbon Stock based on Components of Forest Type Map: The case of Kangwon Province)

  • 김소원;손영모;김은숙;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46-452
    • /
    • 2014
  • 본 연구는 임상도 상의 특성인 영급, 경급 및 수관밀도를 이용하여 임목의 축적 및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가산림조사(강원도 중심)를 바탕으로 한 임목축적 자료를 임상도 제작 당시의 축적으로 전환하였으며, 이 자료와 임상도 특성과의 관계를 수량화I방법을 통하여 임목축적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임상도 특성이 임목축적 추정에 기여하는 바를 알 수 있는 제곱 편상관계수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영급이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었으며, 다음이 수관밀도, 임상, 경급의 순이었다. 임목축적 추정치 중 최소치는 활엽수림의 영급 II, 경급 '소', 수관밀도 '소'인 분류기준에서 ha당 $20.0m^3$이고, 최대치는 침엽수림의 영급 VI, 경급 '대', 수관밀도 '밀'인 분류기준에서 ha당 305.0이었다. 임상별로 침엽수림은 ha당 $30.5{\sim}305.0m^3$, 활엽수림은 ha당 $20.0{\sim}200.4m^3$, 혼효림은 ha당 $23.8{\sim}238.1m^3$로 추정되었다. 임상별 탄소저장량을 비교해 보면, 임상에 무관하게 경급 '대', 수관밀도 '밀'인 분류기준에서 임목축적에 따른 영급별 탄소저장량이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임상도 특성을 이용한 임목축적 추정은 산지 전용 또는 산지 재해에 의한 임목축적의 감소 및 탄소저장량 변화를 충분히 추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일선 산림관계자 또는 정책입안자의 산림경영 의사결정에도 유효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신갈나무-전나무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경신(更新) 및 무육방법(撫育方法) I. 임분구조(林分構造)와 작업종(作業種) (Regeneration and Tending Practices for Natural Mixed Stands of Quercus mongolica-Abies holophylla I. Stand Structure and Silvicultural System)

  • 신만용;임주훈;전영우;고영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21-29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강원도(江原道)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소재(所在)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구조(構造) 파악(把握)을 통하여 작업종(作業種) 결정(決定)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실행(實行)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상(對象) 임분(林分)의 직경(直徑), 분포(分布), 수고(樹高) 분포(分布), 그리고 경급별(徑級別) 재적(材積) 분포(分布)가 분석(分析)되었고 이를 이용(利用)하여 택벌임(擇伐林)의 가능성(可能性)이 검토(檢討)되었다. 1. 직경(直徑) 분포(分布)는 전형적(典型的)인 택벌임(擇伐林)에서 볼 수 있는 지수감소형(指數減少型) 구조(構造)를 나타냈고 수고(樹高) 분포(分布)에서도 택벌림(擇伐林)으로 유도(誘導)될 수 있는 높은 가능성(可能性)을 보였는데 이는 이 대상(對象) 임분(林分)이 자생(自生) 천연림(天然林) 특유(特有)의 복층림(複層林) 구조(構造)를 소유(所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급별(徑級別) 재적(材積) 분포(分布)에서는 택벌(擇伐) 임형(林型)에 이르지 못한 미성숙(未成熟) 구조(構造)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理由)는 30cm 이상(以上)의 경급(徑級)에서의 본수(本數)의 부족(不足)에 기인(起因)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이러한 구조상(構造上)의 부확실성(不確實性)은 앞으로의 연구에서 밝혀져야 하는데 특(特)히 직경(直徑)과 재적(材積) 생장율(生長率)의 추정(推定)에 의한 미래(未來) 임분(林分) 구조(構造)의 파악(把握)이 시급(時急)한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