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Density of Pinus densiflora for. eracta Community in Chungyang, Kyeongsangbuk-do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김정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15, no.4, 2002 , pp. 379-39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rty-six plots (each size 100m2) have been set up and surveyed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the ecological density of Pinus densiflora for. eracta(Chunyang-type) community in Seobyeok-ri, Chungyang-myeon, bonghwa-gun, Kyeongsangbuk-do. Four communities, Community I (large DBH class), Community II (large DBH class), Community III (middle DBH class), Community IV(small DBH class), were classified into by mean DBH and mean height. Pinus densiflora for. eracta dominate in canopy layer, Fraxinus sieboldiana and Quercus mongolica dominate in understory laye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R. mucronulatum dominate in shrub layer. It turned out that thefour communiteis had low species diversity(0.4320~0.9487; unit: 400$m^2$) and high similarity. By the result of ecological density analysis. the mean basal area was proportionated to mean DBH (cm) size. By the result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mean DBH(cm), mean distance(m), and the number of individual were as follow: Ecological distance(m) = 0.0934$\times$ DBH(cm) +0.6117, Number of individual=242.47$\times$ DBH(cm)$^{-1.009}$, Ecological distance=9.643$\times$No. of individua $l^{-0.7016}$. In addition to four communities were suitable to the growth of Tricholoma matsutake because average species were about 30~50 years old, litter layer was 0.5~2.5cm and the ratio of coverage shrub was 20% .
Keywords
SPECIES DIVERSITY; BASAL AREA; ECOLOGICAL DISTA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Whittaker, R. 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 Monogr. 26:1-80   DOI   ScienceOn
2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7) 북한산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회지 1(1): 1-23
3 이경재, 조현서. 한봉호(1997) 설악산국립공원 저항령계곡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2):251-269
4 임업연구원(1999) 송이증수 및 인공재배 연구. 임업연구원 , 276쪽
5 Hill, M. O.(1979a)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 Y
6 Pielou, E. 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 Y.
7 이경재. 임경빈. 조재창, 류창희(1990)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 -소나무림 보존계획-. 응용생태연구회지 4(1): 23-32
8 이경재, 한봉호. 김종엽(1999)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지구 곰솔-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와 분포밀도.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4)'. 361-372
9 Uyeki, H.(1928) On the physiognomy of Pinus densi-flora frowing in korea and silvicultural treatment for its improvement. Bulletin of Agriculture and Forestry College of Suwon, Korea. No. 3. 263pp
10 박인협(1985) 백운산지역 천연림 생태계의 조림구조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48쪽
11 임경빈 (1985) 신고 조림학원론. 향문사. 491쪽
12 한봉호, 조우, 이수동(2001) 계룡산국립 공원 동학사 계곡의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238-251
13 임경빈. 이경재(1978)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에 관한연구(VII) -임산, 봉화, 양주집단의 침엽 및 재질형질-. 한국임학회지 40: 1-8
14 이우철, 이철환(1989) 한국산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2(4): 257-284
15 조덕현, 이경준(1994) 송이 발생림의 기상조건과 송이발생량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하계총회 학술발표회 , 35-36쪽
16 이태수, 김영륜, 조명재, 이지열, 小川眞(1983) 한국의송이 발생 송림의 현황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균학회지 11(1): 39-49
17 임경빈, 박인협, 이경재(1980) 경기도 지방 적송림의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50: 56-71
18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삼림군집 구조 -구룡사-비로봉지역을 중심으로-. 응용생태연구회지 2(1): 1-8
19 최송현(2001)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3): 237-246
20 환경부(1998)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봉화 . 영월의자연환경-. 환경부
21 Curtis, J. T. and R. P. Mc1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DOI   ScienceOn
22 이경준, 김양섭, 이태수, 김교수(1986) 송이 발생림과 미발생림의 버섯분포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임학회지 72(별책): 27-31
23 기상청(2001) 한국기후표(1971-2000). 기상청, 632쪽
24 Cox, G. W.(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n. C. Brown Co., 232pp
25 小川眞(1981) 한국의 소나무림과 송이. 한국균학회지9(4): 223-224
26 Hill, M. O.(1979b)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 Ecology and Systematics,Cornell University. Ithaca, N. Y
27 손두식. 송성천. 여진기, 류장발(1989) 경북지방 소나무 및 곰솔집단의 동위효소에 의한 유전변이. 한국임학회지 78(4): 345-359
28 송호경 , 김성덕 . 강규관(1995) TWINSPAN과 DCCA에 의한 금강소나무 및 춘양목소나무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84(2): 266-274
29 임경빈, 이경준(1999) 임학개론. 향문사, 393쪽
30 김용식 (1997) 금강소나무 분포 정밀조사 -경북 내륙지역 중심으로-. 환경부.48쪽
31 이경재, 한봉초, 이옥하(1998) 설악산국립공원 자양천지역 소나무림 군집구조 및 생육거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493-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