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BC2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4초

체내에서 성숙이 재개된 생쥐난자의 투명대 경화 (Zona Hardening of Mouse Oocytes Undergone Meiotic Resumption In Vivo)

  • 김지수;김해권;박종민;이승재;이준영;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1호
    • /
    • pp.1-11
    • /
    • 1997
  • It is well known that the zona pellucidae of mouse oocytes become "hardened" when they are allowed to mature in vitro in the absence of serum components. To see if oocytes already undergone meiotic resumption in vivo exhibit similar zona hardening, hardening of ZP of cumulus-enclosed oocytes(CEOs) was examined after culture in vitro since their release from follicles various hours after hCG injection. When CEOs matured in vivo for 3h or longer were subjected to culture in vitro for 14h with BSA alone, zona hardening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ose cultured in vitro from the begining of maturation. However, when CEOs matured in vivo for 5h were freed from cumulus cells and then cultured in vitro with BSA alone, little reduction of zona hardening was observed. Preincubation of CEOs for 5h with fetuin, one of the well known inhibitor of in vitro zone hardening, did not prevent zona hardening during its subsequent culture of CEOs for 14h without fetuin. However, when CEOs precultured with both fetuin and PMSG for 5h and then further cultured with BSA alone for 14h, zona hardening was dramatically reduced. Under these conditions, the expansion of cumulus cell was observed. In addition, CEOs cultured with both BSA and dbcAMP to prevent their meiotic resumptio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zona hardening. Whether the observed zona hardening was correlated with the conversion of ZP2 to $ZP2_{f}$ was examined. Zona pellucida, isolated from CEOs matured for 5h in vivo and then further cultured with BSA alone was subjected to SDS-PAGE. Most of ZP2 molecules from these CEOs did not undergo conversion from ZP2 to $ZP2_{f}$.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CEOs undergone meiotic resumption in vivo do not exhibit zona hardening when they were subsequently cultured in vitro without serum components. It appears that cumulus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phenomenon.

  • PDF

과맥품종별 단백질(蛋白質) 탄수화물(炭水化物) 및 P.K.Ca 및 Mg 함량(含量) (Varietal Difference in Protein, Carbohydrate, P,K,Ca and Mg Content of Naked Barley)

  • 박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1호
    • /
    • pp.31-35
    • /
    • 1976
  • 과맥 15개(個) 품종(品種) 또는 선발조건(選拔係統)(3개(個) 도원(道院)에서 재배(栽培)한 것)에 대(對)하여 단백질(蛋白質), 탄수화물(炭水化物) 및 P, K, Ca, Mg를 분석(分析)하고 염색법(染色法)과 Biuret에 의(依)한 단백질(蛋白質) 검정(檢定)을 하였으며 이들 상호간(相互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평균(平均) 7.67%(최대(最大)백동 10.3, 최소(最少)방주 6.0%)로 대맥(大麥)보다 낮았으며 염색법(染色法)(DBC)과는 r=-0.769, Biuret과는 0.616으로 1%에서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2.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P_2O_5$와 r=0.607, MgO와 0.498로 각각 1% 및 5%에서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3. 방사선(放射線) 육종(育種) 계열(係列)의 단백함량(蛋白含量)은 최대(最大) 8.40%, 최소(最少) 6.75%로 큰 차이를 보였다. 4. 과맥은 대맥(大麥)보다 탄수화물(炭水化物)이 적은 편이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은 높은 편이다. 5. Ca는 K와 r=-0.560의 1%에서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여 곡실(穀實)에로의 전류(轉流) 또는 흡수(吸收)에서의 길항적(拮抗的) 관계(關係)가 있는 것 같다. 6. 탄수화물함량(炭水化物含量)은 유의성(有意性)은 없으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과 최대부상관(最大負相關)을 보였다. 7. 고단백품종(高蛋白品種)(백동)보다 저단백품종(低蛋白品種)(방주)은 시비구(施肥區)(16%)에서나 무비구(無肥區)(47%)에서 수량(收量)이 높았다.

  • PDF

Zn-Sn계 고온용 무연솔더를 이용한 Si다이접합부의 접합특성 및 열피로특성 (Joining properties and thermal cycling reliability of the Si die-attached joint with Zn-Sn-based high-temperature lead-free solders)

  • 김성준;김근수;스가누마카츠아키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2-72
    • /
    • 2009
  • 전자부품의 내부접속 및 파워반도체의 다이본딩과 같은 1차실장에는 고온환경에서의 사용과 2차실장에서의 재용융방지를 위해 높은 액상선온도 및 고상선온도를 필요로 하여, Pb-5wt%Sn, Pb-2.5wt%Ag로 대표되는 납성분 85%이상의 고온솔더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태계와 인체에 대한 납의 유해성이 보고된 이래, 무연솔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Sn-Ag-Cu계로 대표되는 Sn계 합금으로 대체 중인 중온용 솔더와는 달리, 고온용 솔더에 대해서는 대체합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대체재의 부재로 인해 기존의 납을 다량함유한 솔더로 1차실장이 지속됨으로서, 2차실장의 무연화에도 불구하고 전자부품 및 기기의 재활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금까지 고온용 무연솔더로서는 융점에 근거해 Au-(Sn, Ge, Si)계, Bi-Ag계, Zn-(Al, Sn)계의 극히 제한된 합금계만이 보고되어 왔다. Au계 솔더는 현재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는 광학, 디스플레이 분야 등 고부가가치 공정에 사용되고 있으나, 합금가격이 매우 비싸며 가공성이 나빠 대체재료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Bi-Ag계 솔더 또한 취성합금으로 와이어 및 박판으로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크며, 솔더로서 중요한 특성중 하나인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나쁜 편이다. 이에 비해, Zn계 합금은 비교적 낮은 합금가격, 적절한 가공성과 뛰어난 인장강도, 우수한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를 지녀, 고온용솔더 대체재료의 유력한 후보로 생각된다.이전 연구에서, 필자의 연구그룹은 Zn-Sn계 합금을 고온용 무연솔더로서 제안한 바 있다. Zn-Sn계 합금은 충분히 높은 융점과 함께, 금속간화합물이 없는 미세조직, 우수한 기계적 특성, 높은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 등의 장점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합금특성상 고온솔더로서 다양한 장점을 지닌 Zn-30wt%Sn합금을 고온용 솔더의 대표적인 적용의 하나인 다이본딩에 적용하여, 접합부의 강도 및 미세조직, 열피로 신뢰성에 대해 분석을 함으로서 실제 공정에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Zn-30wt%Sn을 이용해 Au/TiN(Titanium nitride) 코팅한 Si다이를 AlN-DBC(aluminum nitride-direct bonded copper)기판에 접합한 결과, 양측에 완전히 젖은 기공이 없는 양호한 다이접합부를 얻었으며, 솔더내부에는 금속간화합물을 형성하지 않았다. Si다이와의 계면에는 TiN만이 존재하였으며, Cu와의 계면에는 Cu로부터 $Cu_5Zn_8,\;CuZn_5$의 반응층을 형성하였다. 온도사이클시험을 통한 열피로특성평가에서, Zn-30wt%Sn를 이용한 다이접합부는 1500사이클 지점에서 Cu와 Cu-Zn금속간화합물의 사이에서 피로균열이 형성되며, 접합강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열피로특성 향상을 위해 Cu표면에 TiN코팅을 하여 Zn-30wt%Sn 솔더로 다이접합한 결과, Si다이와 기판 양측에 TiN만으로 구성된 계면을 형성하였으며, TEM관찰을 통해 Zn-30wt%Sn과 극히 미세한 접합계면이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Zn-wt%30Sn솔더와 TiN층의 병용으로 2000사이클까지 미세조직의 변화 및 강도저하가 없는 극히 안정된 고신뢰성의 다이접합부를 얻을 수가 있었다.

  • PDF

Hsp90의 저해제인 17-AAG의 처리에 따른 소 수정란의 배발달 및 세포사멸 양상 (Hsp90 Inhibitor, 17-AAG, Affects Early Embryonic Development and Apoptosis of Bovine Embryos)

  • 홍주희;민성훈;이에녹;손형훈;박흠대;구덕본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307-311
    • /
    • 2011
  • Heat shock protein 90 (Hsp90) is ATPase-directed molecular chaperon and affects survival of several cells. In our previous study, inhibitory effect of Hsp90 by inducing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the pig embryonic and primary cells was reported. However, its role during early bovine embryonic development is not sufficient. In this study, we traced the effects of Hsp90 inhibitor, 17-allylamino-17-demethoxygeldanamycin (17-AAG), on early bovine embryonic development. We also investigated several indicators of developmental potential, including structural integrity, gene expression (apoptosis-related genes), and apoptosis, which are affected by 17-AAG. Bovine embryos were cultured in the CR1-aa medium with or without 17-AAG for 7 days. In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potential were detected between the embryos that were cultured with or without 17-AAG ($33.1{\pm}9.6$ vs $21.7{\pm}8.3%$).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blastocysts was examined by differential staining. Blastocysts from the dbcAMP-treated group had higher numbers of ICM, TE, and total cells than those from the untreated group.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end labeling (TUNEL) showed that the number of containing fragmented DNA at the blastocyst stage increased in the 17-AAG treated group compared with control (11.2 vs 3.9, respectively). Blastocysts that developed in the 17-AAG treated group had low structural integrity and high apoptotic nuclei than those of the untreated control, resulting in decrease the embryonic qualities of preimplantation bovine blastocysts. The mRNA expression of the pro-apoptotic gene (Bax) increased in 17-AAG treated group, whereas expression of the antiapoptotic gene (Bcl-XL) decreased. In conclusion, Hsp90 also appears to play a direct role in bovine early embryo developmental competence including structural integrity of blastocysts. Als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sp90 is closely associated with apoptosis-related genes expression in developing bovine embryos.

돼지 난포란 유래 체외수정란 생산에 대한 제요인의 영향 II. 체외성숙배양시 EGF와 COC의 수가 체외성숙, 체외수정 및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Factors on In Vitro Production of Embryos from Antral Follicle-Derived Porcine Oocytes II. Effects of EGF and the Number of COCs into Maturation Media on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 연성흠;손동수;한만희;위미순;최선호;이규승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3
    • /
    • 2004
  • 본 연구는 pFF, cysteine, ${\beta}$-mercaptoethanol, 성선자극호르몬 등 여러 가지 체외성숙 촉진 물질이 첨가딘 성숙배양액에 EGF 첨가가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에 효과적인지 또한 그 효가는 배양소적당 COC의 수에 영향을 받는지을 구명하고자 EGF의 첨가 유무와 배양소적당 COC수(50개 또는 15개)를 조합한 $2{\times}2$ 요인시험을 실시했다. 도축돼지의 난소에서 채취한 COCs를 각 처리별로 mNCSU-23 에서 성숙배양하고 mTBM에서 운동정자의 최종동도가 $1{\times}10^5$sperm/mL 의 농도로 체외수정한 다음 NCSU-23 에서 체외발달을 유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구와 EGF 첨가구에서 C4군의 COC 비율이 각각 41%dhk 82%로써 EGF 첨가가 난구세포의 팽화 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난핵포 붕괴율과 핵성숙율에서는 EGF 첨가 여부나 배양소적당 COC 수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두 요인간 상호작용도 없었다. 2. 정자 침투율, 웅성전핵 형성율 및 다정자수정 발생율에서도 EGF 첨가 여부나 배양소적당 COC 수에 따른 차이가 유의적인 것이 아니었고, 두 요인간 상호작용 역시 유의적이지 않았다. 3. 난분할율에서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배반포 발달율, 배반포의 ICM 세포수, TE 세포수 및 총세포수에서는 EGF 첨가구가 모두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COC수에 따른 차이나 두 요인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돼지 미성숙 난포란을 mNCSU-23에서 성숙배양할 때 10 ng/mL EGF 첨가는 성숙배양 단계에서 난구세포의 팽화를 더욱 심화시키고, 발달배양단계에서 배반포의 세포수와 배반포발달율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