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lpo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낙동강 중류 지역의 부착규조 군집의 변화와 유기오탁지수(DAlpo)에 의한 수질평가 (Variation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DAlpo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 최재신;김미경;박정원
    • 생태와환경
    • /
    • 제37권1호통권106호
    • /
    • pp.70-77
    • /
    • 2004
  • 본 연구는 낙동강 중류 지역에 9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2002년 5월부터 2003년 1월까지 2개월마다 각각 1회씩 채집 ${\cdot}$ 조사하였다. 동정된 부착조류는 모두 102분류군으로 33속 139종 23변종으로 구성되었고, Achnanthes minutissima, Navicula subminuscula, Navicula viridula var. rostellata, Nitzschia inconspicua 및 Nitzschia palea등 5분류군이 조사 기간 내내 출현하였다. 본 조사정점의 DAlpo의 월 평균값의 범위는 30.90${\sim}$44.61로 ${\beta}$-중부수성이었다.

달포늪의 퇴적물과 유기물함량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Organic Content in the Dalpo Wetland)

  • 강동환;김성수;정휘제;권병혁;김일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양산 신불산 고층습원인 달포늪 퇴적물의 입도, 주상도 및 유기물함량을 분석하여 퇴적물 입도와 종류에 따른 유기물함량의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연구지역인 달포늪은 3개 습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습지면적은 약 $31,295m^2$ 이다. 달포늪 퇴적물의 입도분석은 7개 지점(습지A 3개, 습지B 3개 및 습지C 1개)에서 채취된 시료를 이용하였으며, 건식체분석과 피펫분석이 수행되었다. 입도분석 의하면 퇴적물 입도는 습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크고, 습지A > 습지C > 습지B의 순으로 나타났다. 습지A와 습지B의 장축 및 단축과 습지C의 장축 방향에서 수평거리별 시추조사가 수행되었다. 습지A의 장축에서는 점토질 이탄층이 지표면하 심도 10~90cm 정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습지 중앙부인 수평거리 100 m 지점에서 지표면하 심도 90 cm로서 가장 두꺼웠다. 습지B에서는 점토질 이탄층의 지표면하 심도가 27 cm 이하로서 습지로서의 수명이 다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습지C는 규모가 적어 퇴적물의 조성이 단순하였으며, 점토질 이탄층이 지표면하 심도 10~34 cm 정도에 분포하고 있다. 달포늪에서 시추조사에 의해 채취된 퇴적물을 10 cm 간격으로 절단하여 유기물함량을 분석하였다. 습지A 퇴적물에서는 지표면하 심도 70 cm 정도까지 유기물함량이 4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지C 퇴적물에서도 지표면하 심도 10 cm 정도까지는 습지A와 유사하였으나 지표면하 심도가 30 cm 이상인 깊이에서는 20% 이내의 유기물함량을 보였다. 습지B는 지표면하 부근에서의 유기물함량이 40% 정도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개 습지 모두 지표면에 근접한 점토질 이탄층에서의 유기물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점토질 이탄층의 입도가 세립질이며 또한 식생의 사체를 통해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달포늪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습지A > 습지C > 습지B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퇴적물 내 점토질 이탄층의 형성 정도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달포늪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퇴적물의 입도와 상부 식생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중랑천의 부착 규조 군집분석

  • 김용재;송진석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및 심포지움 초록집
    • /
    • pp.41-41
    • /
    • 2002
  • PDF

Seasonal variation of Attached Diatoms community in the Hantan River

  • Kim, Yong-Jae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 /
    • pp.24-24
    • /
    • 2004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the seasonal variation of attached diatoms communities in the Hantan River in November 2001, February, Ma and August 2002. It was identified the total 107 taxa which were composed of 95 species, 11 varieties and 1 unidentified speCies. The standing crops ranged 298,5004,776,000cells${\cdot}cm^{-2}.$and showed marked irregularly seasonal variations. It was higher value at the lower station than the upper station in fall. But it was similar values from the upper to the lower station by the effect of typhoon in summer. Chlorophyll concentrations ranged $13.4~304.2{\mu}m{\cdot}cm^{-2}.$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showed similar trends during investigation. Low diversity index values probably indicated the effects of envi~onmental stresses(water temperature, flow and current velocity) other than organic pollution. An assessment of organic pollution using epilithic diatoms(DAlpo) was $\alpha$-oligosaprobic states at the upper and mid stations, and was $\alpha$-mesosaprobic states at the lower stations.

  • PDF

신천의 부착규조 군집을 이용한 유기오탁 판정 (An Assessment of Organic Pollution using Attached Diatom Assemblages in the Shinchon Stream)

  • 김용재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199-205
    • /
    • 2001
  • 본 연구는 신천의 부착규조 군집을 분석하고 유기오탁을 판정하기 위해 5곳의 정점을 선정하여 1999년 4월,6월,9월, 12월에 총 4회 시료를 채집 및 조사하였다. 부착규조 군집은 총 74분류군으로 2목,3아목,8과 19속,68종, 4변종 및 2미동정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규조목은 5분류군이고, 익상규조목은 69분류군이었다. 우점종은 4월, 6월과 9월에 정점 1${\sim}$3에서 Nitzschia palea, 정점 4에서 Navicula saprophila, 12월에 정점 1에서 N. palea, 정점 2${\sim}$5에서 Navicula. subminuscula로 3분류군만이 조사되었다. 3가지 생태군 중 호청수성종은 1.5%이하였으며, 광적응성종은 0.7${\sim}$28.1%로 낮았다. 그러나 호오탁성종은 70.6${\sim}$99.3%로 매우 높았다. DAIpo 값은 조사동안 0.4${\sim}$15.3의 범위였다. 조사 계절별 DAIpo 값은 1999년 4월에 3.6${\sim}$13의 범위로 수질은 전체 정점에서 강부수성이였다. 6월에는 정점 1에서 15.3으로 ${\alpha}$-중부수성이었으나 만약 미동정종인 Navicula sp.가 호오탁성종으로 동정되면 DAlpo값은 3.5로 낮아진다. 이 결과 정점 1${\sim}$3까지 2.5${\sim}$3.5의 범위이고 정점 4와 5에서 10.7과 11.9로서 강부수성의 수질로 판정된다. 9월과 12월에는 DAIpo값이 각각 0.8${\sim}$4.3의 범위와 0.4${\sim}$6.1의범위로 유기오탁은 모두 강부수성으로 판정되었다. DAIpo 값에 의한 본 하천은 상류부터 하류까지 강부수성의 매우 오탁된 수질로 판정되었다.

  • PDF

메기(Silurus asotus) 기아 시 외부형태 및 체 절단면 변화 (The effect of starv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metric measurement and body-sectioned shape in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박인석;구인본;길현우
    • 환경생물
    • /
    • 제39권1호
    • /
    • pp.55-67
    • /
    • 2021
  • 메기(Silurus asotus)를 대상으로 210일간 기아 시 계측형질 및 체 절단면 형질을 측정하여 그 기아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종료시 섭이군의 생존율은 92.2±0.47%였으며, 기아군에서는 74.4±2.59%의 생존율을 보였다. Ls, DALPO/Ls, DADOP/Ls, ED/Ls, CH/Ls, BDAA/Ls, BDMA/Ls 및 BWAA/Ls의 8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다른 16개 항목 DALAD/Ls, DPDPL/Ls, HPLAA/Ls, HALAV/Ls, HALOP/Ls, DAUPO/Ls, DADAV/Ls, DADAA/Ls, Max BL/Ls, Man BL/Ls, LD/Ls, HWOP/Ls, DAUF/HL, DAUS/HL, IW/HL 및 DAUE/HL에서는 초기군, 섭이군 및 기아군의 세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섭이군은 각 체 절단면에서 기아군보다 더 높은 전체 높이(THX), 더 넓은 너비(WX) 및 더 넓은 면적(AX)을 보였다. 본 연구는 메기의 기아 상태에 대한 외형 및 체 절단면 형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메기에 대한 먹이 조절에 대한 방법을 보조하고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 분석 방법을 타 어종에서 적용 시 그 영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울릉도 수계의 부착규조군집의 계절적 변이와 DAIpo에 의한 수질평가 (Seasonal Varia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DAlpo in the Water System of Ulleung Island)

  • 최재신;박정원;이경락;양명숙;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378-384
    • /
    • 2004
  • 울릉도 수계의 부착규조군집의 계절적 변이와 DAIpo에 의한 수질평가를 조사하였다. 채집은 2003년 4월, 5월, 7월, 8월, 10월과 11월 그리고 2004년 1월과 2월에 4개의 정점에서 채집하였다. 총 95분류군이 동정되었으며 우점종들은 Nitzschia inconspicua, Achnanthes minutissima, Gomphonema angustum과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였다. DAIpo는 51.15에서 77.77의 범위였고 울릉도 수계의 수질은 ${\alpha}$-빈부수성에서 ${\beta}$-빈부수성이었다.

부착규조지수와 영양단계 평가를 이용한 남대천, 연곡천과 사천천의 수질 평가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Using Trophic Status and Epilithic Diatom Indices)

  • 김용진;이옥민
    • 생태와환경
    • /
    • 제43권1호
    • /
    • pp.117-128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 5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양양의 남대천, 강릉의 연곡천과 사천천의 이화학적 수질, 영양단계 및 부착규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남대천, 사천천 및 연곡천의 이화학적 수질은 일부 공사구간 및 하류 정점을 제외하고, BOD가 $2mg\;L^{-1}$ 이하의 농도로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류정점의 경우 남대천과 사천천이 해수에 의한 염도의 영향과 폐쇄하구의 특성상 영양염의 농축 등 오염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단계 판정결과 남대천은 전지점이 대체적으로 중영양단계를 나타내며, 연곡천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사천천은 전체적으로 부영양단계로 나타났다. 영양단계의 판정은 각 정점간의 결과와 영양염의 유엽 정점을 잘 반영하고 있으나, 강우 및 유량의 변화로 계절별 영양단계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 남대천은 하류 정점을 제외하고 $\beta\sim\alpha$-빈부수성 이고, TDI는 50 이하로 생물학적 수질이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공사구간과 하류정점은 $\beta$-중부수성이며, TDI는 70 이상으후 생물학적 수질이 다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곡천은 $\beta\sim\alpha$-빈부수성이며, TDI는 40 이하로 대체적으로 생물학적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천천은 2008년 5월과 2009년 2월의 상류정점을 제외하고 $\beta\sim\alpha$-중부수성 이며, TDI는 70 이상으로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생물학적 수질평가 지수인 DAIpo와 TDI 간에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규조지수인 DAIpo와 TDI는 BOD보다 수질 영 양단계(TSI)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화 정도에 따른 포천천과 영평천의 돌 부착규조 군집 변화 (Change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according to Urbanization Influence in the Pocheon and Youngpyeong Streams)

  • 김용재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68-480
    • /
    • 2007
  • 도시화는 하천의 수리, 수질 및 수로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수생태계의 조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최근 포천천과 영평천 주변에 많은 인구와 소규모의 공장 등이 유입되어 도시화됨으로써 오, 폐수의 방류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화의 정도에 따라 하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돌 부착규조 군집의 조성이 다른 것에 기초로 하여 돌 부착규조 군집의 조성, 우점종 및 생태군 별 종 조성과 생물지수(DAIpo)에 의한 수 환경을 평가하였다. 두 하천의 도시화 지수는 포천천의 정점 P-3와 P-5에서 각각 85와 91로 매우 높은 반면에 영평천 주변의 도시화지수는 약 20 이하였다. 본 조사에서 돌 부착규조는 총 141종류로써 2목, 8과, 30속, 128종, 12변종, 1미동정종으로 구성되었다. 출현 종수는 포천천에서$11{\sim}36$종류의 범위였고, 영평천에서 $14{\sim}45$종류의 범위였다. 우점종은 포천천에서 Navicular saprophila, N.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Gomphonema pseudoaugur 등이었으며, 영평천에서 Achnanthes alteragracillima, A. convergens, A. minutissima, N. minima, N. fonticola, N. frustulum와 Cymbella minuta var. silesiaca 등으로써 두 하천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도시화 지수와 EC, BOC, COD, TN, TP. 및 DAIpo 등은 높은 상관관계 $(r^2>0.8)$를 나타내었다. 도시화에 따라 유기오염의 정도가 매우 다르며, 이에 따라 돌 부착 규조의 생태군이 포천천에서는 호오탁성종의 종수 및 상대빈도가 매우 높은 반면 영평천에서는 호청수종의 종수 및 상대빈도가 높았다. 생물지수(DAIpo)에 의한 두 하천의 수질은 포천천에서 조사 동안 강부수성(P-3, 4, 5)을 나타내었고, 영평천에서는 빈부수성(Y-1)에서 강부수성(Y-4)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