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SH7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7초

Implementation of an RFID Key Management System for DASH7

  • Vegendla, Aparna;Seo, Hwajeong;Lee, Donggeon;Kim, How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2권1호
    • /
    • pp.19-25
    • /
    • 2014
  • The wireless sensor networking standard DASH7 operates in low-power communication with a better transmission quality in active RFID networks. The DASH7 security standard supports public key cryptography. At present, the DASH7 standard uses the message authentication code in the network layer for authentication and integrity. However, its security standard is still in an incubation stage with respect to the implementation of a crypto exchange over a DASH7 network. Effective key man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for privacy and security. If organizations are not careful about where and how keys are stored, they leave the encrypted data vulnerable to theft. In this regard, we present a key management system designed for efficient key management through public key infrastructure authentication as well as a non-repudiation feature for the DASH7 standard.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on a basis of various performance criteria such as latency and throughput.

Non-DASH 클라이언트상에서 DASH 서비스 제공 가능한 Smart AP 설계 (Design of Smart AP for DASH Service in Non-DASH Client)

  • 전성희;조민주;이웅재;황준;백종호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7-53
    • /
    • 2012
  • 일반적으로 유무선 네트워크상에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일정 수준의 품질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적절한 비트율의 콘텐츠 제공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에 MPEG에서 표준으로 채택한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는 HTTP 기반의 적응적 스트리밍 기술로써 DASH 콘텐츠를 저장하는 서버와 서비스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에서 DASH 서비스가 가능하려면 서버에서 제공하는 XML 파일을 파싱하고 다양한 비트 율로 잘게 나누어진 세그먼트들을 액세스한 후 재생하는 기능 구현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DASH 콘텐츠 서버와 이러한 기능이 구현되지 않은 Non-DASH 클라이언트 사이에 Smart AP를 위치함으로써 Non-DASH 클라이언트에게 DASH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클라이언트는 구현에 필요한 추가적인 개발 비용이 없이 기존 환경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안한 Smart AP를 통해 DASH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끊김 없는 DASH 기반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세그먼트 스케줄링 기법 (Segment Scheduling Scheme to Support Seamless DASH-based Live Streaming Service)

  • 윤두열;정광수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10-314
    • /
    • 2016
  •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기반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DASH 기반 스트리밍 기술들은 낮은 버퍼링 지연을 유지하면서 끊김 없는 재생을 제공하지 못하여,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Quality of Experience)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QoE 기반의 세그먼트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세그먼트 수신 시간과 변화량을 기반으로 세그먼트 요청시간을 적응적으로 스케줄링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한 기법이 낮은 버퍼링 지연을 보장하고 버퍼 언더플로우를 적게 발생시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확인하였다.

MP4 파일 포맷 기반 MPEG-DASH 클라이언트 구현 (Implementation of MP4 File Format Based MPEG-DASH Client)

  • 박민규;송해봉;신아영;김용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9-101
    • /
    • 2011
  • MPEG-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 표준화 중인 HTTP를 이용한 적응형 비디오 스트리밍 기술이다. MPEG-DASH는 인터넷 방화벽에 의해 차단되는 RTP/UDP를 이용한 AV 스트리밍 대신 현재 HTTP/TCP를 이용하여 AV 스트리밍을 하는 추세에 맞춰 유무선 인터넷에서 망 환경 및 단말 환경에 동적 적응적으로 AV 스트리밍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표준이다. HTTP를 이용한 AV 스트리밍은 서버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클라이언트의 지능적 처리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스트리밍 방식이다. MPEG-DASH 클라이언트는 HTTP의 파일 전송 요청 또는 파일 일부 전송 요청만을 사용하여 스트리밍을 달성한다. 2011년 7월 제97차 MPEG 회의에서 MPEG-DASH DIS(Draft International Standard) 2차 버전이 승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DIS 2차 버전에 따라 MP4 파일 포맷 기반의 MPEG-DASH 클라이언트를 구현하고 그 동작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Network and Data Link Layer Security for DASH7

  • Seo, Hwa-Jeong;Kim, Ho-W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0권3호
    • /
    • pp.248-252
    • /
    • 2012
  • The sensor network standard DASH7 was proposed to improve transmission quality and low power communication. Specifications for the standard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so the security specification has not been firmly implemented. However, without a security specification, a network cannot work due to threats from malicious users. Thus we must ensure confidentiality and authentication of data packets by using a cryptography method. To contribute to the DASH7 security specification, this paper shows the implementation results of network and data link layer security by using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 counter with CBC-MAC (CCM) over CC430 sensor nodes.

DASH7 환경에서 안전한 메시지 전송을 위한 CoAP 기반 보안 프로토콜 설계 (A Design of Security Protocol Based on CoAP for Secure Message Transmission in DASH7 Environment)

  • 최슬기;송경환;송진희;전문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24-627
    • /
    • 2015
  • IoT 환경에서는 자원 제약적인 디바이스가 보안이 취약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초저전력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표준 DASH7 Mode 2는 보안 분야 표준화가 진행 중이며 다양한 취약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 중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ASH7 환경에서 IoT 표준 프로토콜인 CoAP를 이용하여 안전한 메시지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또한 데이터 위변조, 재전송 및 가장 공격에 대한 안전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Minimally invasive distal biceps tendon repair: a case series

  • Paul Jarrett;Anna-Lisa Baker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3호
    • /
    • pp.222-230
    • /
    • 2023
  • Background: Distal biceps tendon repairs are commonly performed using open techniques. A minimally invasive distal biceps tendon repair technique using a speculum and hooded endoscope was developed to improve visualization, reduce soft-tissue dissection, and minimize complications. This paper describes the technique and reports the outcomes of 75 minimally invasive distal biceps tendon repairs. Methods: The operation reports and outcomes of 75 patients who underwent distal biceps tendon repair using this technique between 2011 and 2021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Median time to follow-up was 12 months (interquartile range [IQR], 6-56 months). Primary outcomes were function as measured by the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Score (DASH) questionnaire, and rate of complications. Median DASH score was 1.7 of 100 (IQR, 0-6.8). There were 2 of 75 (2.7%) re-ruptures of the distal tendon. There were no cases of vascular injury, proximal radius fracture, or posterior interosseous nerve, median, or ulnar nerve palsy. Conclusions: In this series, minimally invasive distal biceps repair was safe and effective with a low rate of major complications. Recovery of function, as indicated by low DASH scores, was satisfactory, and inconvenience during recovery was minimized. Level of evidence: 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