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314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4초

New Records of Testate Amoebae from Korea

  • Jung, Jongwoo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14-319
    • /
    • 2016
  • Testate amoebae are useful organisms when evaluating the condition of freshwater ecosystems and wetland habitats. Herein, I report on seventeen unrecorded species of testate amoebae from Korea: Arcella arenaria, A. costata, A. hemisphaerica, Centropyxis constricta, C. discoides, C. spinosa, Difflugia amphora, D. globulosa, D. longicollis, D. penardi, Heleopera rosea, Hyalosphenia subflava, Nebela militaris, N. penardiana, Netzelia wailesi, Cyphoderia ampulla, and C. trochus.

Studies on Decolorization Process for rhEGF as Cosmetic Ingredient

  • Zhao Xiao-wei;Xu Zhi-nan;Zhou Mao-hong;Cen Pei-li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3호
    • /
    • pp.236-241
    • /
    • 2005
  • A decolorization process using ion exchange chromatography was developed to refine rhEGF as a cosmetic ingredient. A macroreticular resin (D314) was selected, with respect to its high decolorization rate and recovery yield of rhEGF, and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decolorization process optimized. The optimum conditions were as follows: the rhEGF effluent was ion exchanged at a flow rate of 60.0mL/h, with an effluent pH 5.0, using a chromatographic column (i.d. 16mm) packed with D314, with a 7.5cm in bed height. The decoloriz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and halted when the effluent volume reached 350mL, giving a decolorization rate and recovery yield of rhEGF higher than 67 and $80\%$, respectively. When the decolorization rate exceeded $67\%$, the final product turned out to be white or light yellowish, which was to the satisfaction of the cosmetic standard.

Bradyrhizobium sp. SNU001의 nodD와 nodA의 염기서열 (Nucleotide Sequences of nodD and nodA from Bradyrhizobium sp. SNU001)

  • 나영순;심웅섭;안정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9-196
    • /
    • 1993
  • 대두(Glycine max) 뿌리혹의 질소고정 공생균주 Bradyhizobium sp. SNU001 의 nod D 와 nodA 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총 314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nod D 의 open reading frame (ORF) 은 942bp 로 B. japonicum USDA110 의 nodD1 과 99.4% 의 유사성을 보여주었으며, 총 210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콩과식물의 Bradyrhizobium 에서는 처음으로 염기서열이 결정된 nodA 의 ORF 는 630bp 로 B. sp. (Parasponia) 의 nodA 와 81.5% 의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nodYAB 오페론과 nodD 상류에서는 9bp의 반복서열을 각각 4번, 2번 가지는 보존적인 nodbox 가 발견되었으며 nodD 의 상류에서는 A, T-rich 서열도 존재하였다.

  • PDF

전선 구조해석 모델을 이용한 진동해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brat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Global Structural Analysis Model)

  • 박형식;최수현;이용섭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4권3호
    • /
    • pp.314-322
    • /
    • 2007
  • In general, the vibration and structural analyses have been carried out by using each finite element model separately because of different size of finite element mesh and different focusing area of each analysis. In some cases, however, it is required to perform both global vibration and structural analyses at the same time using a finite element model for global structural analysis, which asks for a special treatment for a vibration analysis. In this study, a technique to perform a global vibration analysis using a finite element model for a global structural analysis has been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has been verified by its application to a whole ship.

제올라이트 칼럼에 의한 인공생활하수처리 (Treatment of Artificial Sewage Using a Zeolite Column)

  • 서정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8-188
    • /
    • 2002
  • 제올라이트를 식물 여과상의 여재로 사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설계 인자를 얻기 위하여 식물을 식재하지 않고 제올라이트만 칼럼에 충전하여 유기물, 인 질소 등의 제거효율 분석하여 최적 수리학적 부하, 최적 여재의 입경범위 결정 그리고 원수의 상 하향류 주입에 따른 제거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경 범위 0.5$\sim$1 mm와 1$\sim$3 mm인 두 종류의 제올라이트를 부피비 1 : 1로 혼합하여 높이 1 m에서 수리학적 부하 53, 113, 160, 314, 450, 667 $L/m^2{\cdot}d$로 변화시키며 실험한 결과 수리학적 314 $L/m^2{\cdot}d$에서 $COD_{Cr}$, 94.63%, T-P 41.41%, T-N 90.46%과 $NH_4^+-N$ 99.75% 정도로 안정적으로 제거되었다. 제올라이트 입경 0.5$\sim$1 mm와 1$\sim$3 mm의 혼합비를 1 : 1(I), 1 : 3 (II), 1$\sim$3 mm만을 여재(III)로 사용하여, 수리학적 부하 314 $L/m^2{\cdot}d$로 동일하게 각 칼럼에 주입한 결과 T-N과 $NH_4^+-N$은 입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87%, 99%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보였고, COD의 경우 I, II에서 89%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반면 T-P의 경우는 입경에 관계없이 56.42$\sim$58.71% 제거되었다. 그러나 1$\sim$3 mm인 제올라이트에서 제거효율이 약간 좋지 않아 두 제올라이트를 1 : 1로 혼합한 여재가 적합하였다. 수리학적 부하 314 $L/m^2{\cdot}d$, 제올라이트 입경 0.5$\sim$1 mm와 1$\sim$3 mm를 1 : 1로 혼합한 여재 높이 100 cm에서 원수를 하향류 및 상향류로 주입하면서 하향류 20, 40, 80, 100 cm, 상향류 20, 40, 60, 80, 100 cm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원수가 주입되는 부근 여재 높이 20 cm에서 가장 많이 제거되었다. 상향류 보다 하향류로 원수를 주입했을 때 제거효율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