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 simulan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Drosophila simulans와 D. mauritiana 사이 종간잡종의 성즐과 생식궁 형성에 미치는 X 염색체의 효과 (Effects of the X Chromosome on the Formation of Sex Comb and Genital Aech in the Hybrids between Drosophila simulans and D. Mauritiana)

  • 최영현;유미애;이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6-220
    • /
    • 1996
  • Drosophila simulans와 D. mauritiana는 동일 subgroup에 속하는 동포종으로, 전자는 전세계 분포종이며, 후자는 Mauritius 섬에만 서식하는 지역종이다. D. simulans의 성즐(sex comb)은 약 9.83개의 치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D, mauritiana의 성즐 치열수는 약 12.90개 정도이다. D. simulans의 생식궁(genital arch)은 큰 반월형이며, D. mauritiana는 가는 막대형이다. 두 종간 성즐의 치열수와 생식궁의 형태적 차이에 미치는 X 염색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유전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X 염색체상 돌연변이 유전자들을 가지는 D. simulans 계통과 정상의 D. mauritiana 사이의 잡종 {TEX}$F_{1}${/TEX}을 부모계통과 역교배를 실시하여 얻은 자손들을 대상으로 상기 두가지 형질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F1의 성즐 치열수는 평균 11.79개 정도였으며, 외부생식기의 일반적인 형태는 D. simulans와 D. mauritiana의 중간형이었다. 성즐의 치열수와 외부생식기의 주요 특징분석에서 X 염색체 효과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rosophila melanogaster와 D. simulans 및 그들간 잡종의 형태학적 유연관계 (Morp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Drosophila melanogaster, D. simulans and their Hybrids)

  • 최영현;유미애;이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3-199
    • /
    • 1993
  • Drosophila melanogaster(OR)와 D. simulans(09) 및 그들 종간 잡종 사이의 형태적 유연관계를 비교하기 위하여 내.외부생식기 및 성즐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D. melanogaster 암컷과 D. simulans 수컷의 교배에서 암컷을, 그 정역 교배로서 수컷을 얻었으며 두 종간 사이의 잡종 $F_{1}$들은 모두 불임이었다. 내부생식기의 비교에서, 두종간 (melanogaster female $\times$ simulans male) 잡종 {$F_{1}$ 암컷의 경우는 양쪽 난소가 모두 퇴화된 형태였으며, 그 정역교배에 의한 $F_{1}$ 수컷의 정소는 미발달된 상태로 남아 있었다. 이런 형태적 특징은 D. melanogaster P-M system에서의 hybrid dysgensesis에 의한 양상과 매우 유사하였다. 수컷의 앞다리 제1부절에 존재하는 성즐의 평균 치열수는 D. melanogaster와 D. simulans에서 각각 10.73개와 8.35개 였으며, 잡종 $F_{1}$ 수컷의 경우는 9.97개 정도였다. 두 종간 잡종 $F_{1}$ 수컷의 외부 생식기의 전체적인 형태는 D. melanogaster와 비슷하였으나, 부분적으로 D. simulans에 유사하거나 중간적인 형질을 가지는 mosaic 구조였다.

  • PDF

Cytogenetic Studies in Hybrids from a Pair of Sibling Drosophila Species

  • Park, Yung-Hyun;Kim, Heui-Soo;Lee, Won-H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48-50
    • /
    • 2000
  • The cytogenetic pattern of autosome and sex chromiosome after Giemas staining were examined in the hybrids between two sibling species, Drosophila melanogaster and D. simulans. The analysis of karyotype in the hybrid female between D. melanogaster females and D. simulans males could be easily distinguished the characteriation of eight chromosomes from bothe species, especially with regard to X chromosomes. The lagging duplication of Y chromosome was investigated in the interspecific hybrid males from the cross between female of Drosophila melanogaster(OR) and males of D. simulasn (K18). On the other hand, the X chromatids of D. simulans were loosely separated in the early stage of anaphase.

Drosophila melanogaster complex내의 유전적 유연관계에 관한 연구 (Genetic Relationship within the melanogaster Complex of the Genus Drosophila)

  • 최영현;이원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9-75
    • /
    • 1999
  • Genus Drosophila에서 melanogaster complex내의 4종에 대한 유연관계 해석을 위하여, insemination test에 의한 premating isolation, 잡종형성 여부에 의한 postmating isolation, 형태 형성에 관한 영향 및 종 분화 관련 유전자의 특징 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종내 교배에서는 insemination rate는 96∼99% 정도였고 종간 교배에서는 정역 교배간에 심한 변이를 보였으며 D. melanogaster 암컷은 타종 수컷과의 교배에서 전반적 성공률이 높으며 D. sechellia 수컷은 타종 암컷과의 교배에서 비교적 높은 교배 성공률을 보였다. 종간 잡종 형성에서는 특히 simulans, mauritiana 및 sechellia 사이에서 임성이 완전한 암컷과 불임의 수컷이 형성되어 이들 3종이 더욱 근연임을 시사하고 있다. sex comb과 genital arch에 대한 잡종의 형태 형성에 관한 영향은 대부분이 polygene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 melanogaster와 simulans에 있어서 분화 관련 유전자로 추정되는 잡종의 온도 감수적 생존도는 주로 simu-lans의 X 염색체상의 유전자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 PDF

Drosophila melanogaster comple 3종 및 그들간 잡종의 성즐과 생식궁의 표현형적 유연관계 (Phenogenetical Relationships of Sex Comb and Genital Arch in Drosophila melanogaster Complex and Their Hybrids)

  • 최영현;유미애;이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8-313
    • /
    • 1995
  • Drosophila melanogaster와 D. Simulan는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며, D. Sechellia 는 Africa의 Seychelles 제도에만 서식하는 지역종으로, 모두 D. melanogaster complex에 속하는 동포종이다. 이들 D. melanogaster complex 3종을 대상으로 종간 교배를 통한 잡종을 형성하여 성증(sex-bomb)과 생식궁(genital arch)의 표현형적 유연관계를 부모계통과 상호 비교하였다. 상기 3종들 사이의 교배를 통해 4가지 유형의 잡종 수컷을 얻었으며 이들은 모두 불임이었다. 성즐의 평균 치열 수는 D. melanogaster(OR)가 10.73개, D. sechellia(Ja)는 10.69개였으며, D. simulans($O_9$)에서는 8.35개였다. 종간 잡종의 치열수 분석으로 뚜렷한 성즐의 유전양식을 제시할 수가 없었다. 외부 생식기를 구성하는 각 부속기관 중 분류상 중요 기준이 되는 생식궁은 종 특이적 모양을 띠고 있었으며, 종간 접종 생식궁의 일반적인 형태는 부모종간의 중간형인 mosaic 구조였다.

  • PDF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와 그 동포종들에 있어서 Gramoxone의 독성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Toxic Effects of Gramoxone in the D. melanogaster and its Sibling Species)

  • 최영현;이원호;유미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3
    • /
    • 1992
  • Physiological toxic and mutagenic effects of gramoxone in Drosophila melanogaster were invetigated. Gramoxone was highly toxic on the development, resulting in of lowering the viability and in prolongation of the developmental times. Adults treated with gramoxone during the developmental stages caused a lowering of the productivity and a little chinge in protein quantity. But the effect on the sex-linked lethal mutagenesis was found to be negative. The order of mortality causing ado리t stoa형e feeding to gramoxone in the D. melanogaster complex was like this ; D. mauritiana, D. sechellia, D. simulans and D. melanogasteu Two species of the D. yakuba complex were alike. Those results were more or less correlation with speciation of the D. melanogaster sub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