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 value

검색결과 8,535건 처리시간 0.037초

산업 특성에 따른 연구개발비 지출과 특허취득이 기업가치에 차별적으로 반응하는가? (Do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R&D Expenditure and Patents on Firm-value Exits between High-tech and Low-tech Industries?)

  • 전성일;이기세;양해면
    • 지식경영연구
    • /
    • 제11권3호
    • /
    • pp.1-11
    • /
    • 2010
  •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assets have increased unprecedentedly with the advent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vestment in R&D has contributed to the rise of productivity and firm-value in the capital markets. but it is very difficult to determine the economic benefits of R&D investment, due to elusive link between time requirements and the realization of firm value from R&D investment.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R&D expenditure and patents on firm-value by industry. Patents are intangible, proprietary rights that develops new products, plays a crucial role in market competition and result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If firms get patents, their R&D expenditure is assumed to be successful. The study analyzes whether successful R&D expenditu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rm-value. The study considers two industries : high-tech industries and low-tech industries. These industries are expected to have different effect on R&D expenditure and firm-val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successful R&D expenditure increased the firm-value. Successful R&D expenditure in high-tech industries more increased the firm-value more than that in low-tech industries.

  • PDF

Lagged Effects of R&D Investment on Corporate Market Value: Evidence from Manufacturing Firms Listed in Chinese Stock Markets

  • LEE, Jung W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69-76
    • /
    • 2020
  • The study examines lagged economic effec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 on the market value of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the Shanghai Stock Exchange or the Shenzhen Stock Exchange in China. This study applies panel data analysis methods to address the following issues: 1) There might be an adjustment lag in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corporate market value, and 2) Unobserved firm effects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e balanced panel data includes a total of 1,462 observations with 34 cross-sections of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Chinese stock markets and with 27 time-specific quarterly periods from 2007 to 2017.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D investment of Chinese manufacturing firms tends to yield favorable market value of the firm with some adjustments to time. The results show that R&D investment exhibits a strong positive impact on their market value of manufacturing firms in Chinese stock markets. Moreover, R&D investment has a positive time-lag effect on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Interestingly, the R&D investment of Chinese manufacturing firms generate a relatively constant positive effect on their market value, supporting the notion that the corresponding returns of R&D investment for such firms yield lagged but added market values.

기계소재 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R&D investment on Machine and Material Industry and Eletronics Industry)

  • 오승룡;김건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04-111
    • /
    • 2011
  • 본 연구는 기술혁신에 관한 산업유형별 연구개발투자와 실물옵션가치, 기업가치와 시장가치를 사후적(ex post) 측면에서 실증 분석하여 기계소재 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개별 산업의 실물옵션가치, 기업가치 및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 성과로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분석 결과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실물옵션법에 의해 도출된 기업가치의 평가가 시장가치를 잘 반영하고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업의 성장 동력으로 연구개발투자가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기존 이론과 일치하는 실증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R&D 투자가 기업시장가치에 미치는 R&D 영향 : 기술혁신시스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Market value of Firms : The role of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 송세찬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52-156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D investment and Market value of Firms using data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f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ole of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in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firm's Market value of Firms. Findings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Market value of Firms are positive relationship. Main of the previous studies demonstrated a positive impact of R&D investment on Market value of Firms. On the other hand, some recent studies showed this is not the case. Those studies persisted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for managing and efficiently utilizing R&D investment and capability has to be built in order for R&D investment to give rise to increases in Market value of Firms. According to the Oslo manual by OECD, it is assumed that a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can becharacterized as three factors :capability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management. This study divides sample firms into two groups using the "Inno-Biz" certificate system of the Korean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MBA): Inno-Biz firms Vs. Not Inno-Biz firms. The system selects innovative SMEs denoted as "Inno-Biz" using the above factors as criteri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has the moderating effect to R&D investment on Market value of Firms.

  • PDF

Relation between P-D value of Autopilot and Transfer Distance under Wind Pressure

  • Seong, Yu-Cha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1-277
    • /
    • 2008
  • When performing steering by an autopilot (automatic steering gear), a sensitivity adjustment is mainly determined by P value and D value. These values differ in the optimal combination by model of ship and external forc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simulation case studies and examined movement of Pure Car Carrier, which easily received ship by wind pressure influence in low spee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horizontal migration(transfer) of ship's body and P-D value. Based on it, four parameters of P-D at approaching berth could be suggested Hence there were suggestions of parameters; Distance to maximum lee point, Time to maximum lee point, Time to return to original course and Time to 300th second. The correlation of these parameters and P-D value were also considered. As a result, we think that this index, like formulated P-D, leads to an easy and safe navigation by utilizing these indices.

경영자 특성에 따른 R&D 투자와 기업가치 관련성: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Value by Characteristics of CEO: Focused on Venture Business)

  • 김이진;김정은;전성일
    • 중소기업연구
    • /
    • 제41권1호
    • /
    • pp.75-9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 최고의사결정권한을 가진 CEO의 특성이 R&D 투자 결정과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CEO의 특성을 나이, 학력, 전공일치, 재직기간으로 측정하여, 이러한 특성이 연구개발투자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O의 나이는 적을수록 R&D 투자를 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가 적은 CEO의 R&D 투자는 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EO의 학력은 높을수록 R&D 투자를 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수준이 높은 CEO의 R&D 투자는 주가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CEO의 전공과 업종이 일치할수록 R&D 투자는 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EO의 전공일치도가 높은 기업의 R&D 투자와 주가와의 가치관련성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EO의 재직기간은 길수록 R&D 투자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재직기간이 긴 CEO의 R&D 투자는 기업가치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실증 분석을 통해 벤처기업의 R&D 투자와 기업가치관련성은 CEO의 특성이 반영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CEO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반영한 R&D 투자가 자본시장에서 어떻게 평가 받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실측 O-D값과 중력모형 재현 O-D값의 일치비율을 이용한 개선 중력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dvanced Gravity Model Using Accordance Rate Of Observed O-D Value and Derived O-D Value from Gravity Model)

  • 유영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287-295
    • /
    • 2013
  • 본 논문은 중력모형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해 개선 중력모형을 개발한 것으로 개선 중력모형은 잔차를 이용한 것이다. 기존 잔차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잔차를 기준연도 실측 값에서 중력모형의 재현 값을 뺀 값으로 하였고, 이를 장래 중력모형 예측 결과 값에 더하여 장래 통행분포로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잔차를 중력모형 계수 추정과정에서 산출 하였는데, 산출결과, 이 잔차가 실측 통행분포량을 중력모형에서의 재현 값으로 나눈 값(재현 일치비율)임을 밝혔다. 재현 일치비율을 중력모형에서 산출된 장래 통행분포량에 적용하였는데, 사례분석 결과, 기본 중력모형, 잔차 부가 개선 중력모형 등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예측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코스닥(KOSDAQ)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Firm Value : An Examination of KOSDAQ Listed Firms)

  • 신용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053-3061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연구개발투자와 기업가치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결과,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와 역 U자 형태의 비선형적(nonlinear)인 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선형적인 관계는 연구개발투자가 일정한 범위까지 기업가치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지만,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제조기업 및 IT기업 여부 등의 기업특성과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구분한 하위 집단의 분석결과, 대체로 연구개발투자와 기업가치 간에 역 U자 형태의 비선형적인 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하위 집단에서 양(+)의 선형적 관계가 발견되었고, 추정계수의 크기 및 통계적 유의성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특성과 금융위기 등이 연구개발투자와 기업가치의 관계에 부분적으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개발투자를 결정하는 경영자와 관련 기업의 투자자에게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업의 재무적 특성변수가 R&D 투자와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inancial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Value)

  • 신민식;김수은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1호
    • /
    • pp.45-73
    • /
    • 2012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재무적 특성변수가 R&D 투자와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규모는 R&D 투자와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이는 R&D 투자는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의 기업가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기업의 잉여현금흐름은 R&D 투자와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음(-)의 영향을 미친다. 이는 잉여현금흐름이 높은 기업은 순현재가치(NPV)가 음(-)인 투자안에 여유자금을 투자할 과잉투자위험이 존재한다는 Jensen(1986)의 이론을 지지한다. 기업의 시장점유율은 R&D 투자와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시장점유율과 R&D 투자는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므로, 시장점유율이 높은 기업은 R&D 투자도 증가하여 시장가치가 증가한다. 기업의 외부금융 의존도는 R&D 투자와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음(-)의 영향을 미친다. R&D 투자는 비대칭정보로 인한 역선택비용을 크게 발생시키므로, 외부금융에 의존하기보다 내부금융을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기업의 노동집약도와 자본집약도는 각각 R&D 투자와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데, 전자는 노동집약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종업원들 간에 초과수익률이 희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고, 후자는 자본집약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재무적 제약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기업의 재무적 특성변수 중에서, 기업규모와 시장점유율은 R&D 투자와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잉여현금흐름, 외부금융의존도, 노동집약도 및 자본집약도는 음(-)의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들은 이러한 재무적 특성변수들이 R&D 투자와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올바르게 이해하여 R&D 투자를 결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 PDF

벗나무에 부착된 지의식물의 생태적 연구 (Epiphytic Lichens on Chery trees in Korea.)

  • Park Seung T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권1호
    • /
    • pp.1-8
    • /
    • 1978
  • Epiphytic lichens were sampled quantitatively on the cherry trees (Prunus serrulata) at Jeonju and Hadong along both north and south exposures of tat trees. Coverage of lichens was determinated for each species by 10*20cm quadrat. Lichen species diversities such as total diversity (D), mean diversity (D), Shannon diversity (D') and redundancy (R) were estimated according to Brillouin and Shannon equation. The importance value of lichen species was meassured by niche preemption model, The importance value transformed into some fraction k of the niche space. The value of k was compared with aggregation of lichens communities in to areas. The ten most important awariensis, Parmelia incurva, Parmelia crinita, Dirinaria applanta, Parmelia wallichiana, Parmelia austrosinensis and Cetraria platyphylla. The mean coverage epiphytic lichens on north side of tree was higher than of south side in two areas. The species diversities of epiphytic lichen of two areas shows that a change in the value of D' along vertical was not paralled with the D and R. In Kumsan-sa, D, D and D' increased upward along the tree of north exposure, but did not follow this trend in south, However in Sangge-sa, D, D and D' of both sides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