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otoxic effect

검색결과 1,305건 처리시간 0.031초

반하(Pinellia ternata)에서의 [6]-gingerol 함량과 멜라닌 저해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산지 판별 마커로의 활용 (Utilization of [6]-gingerol as an origin discriminant marker influencing melanin inhibitory activity relative to its content in Pinellia ternata)

  • 안주현;원효준;서수경;김두영;구창섭;오세량;류형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23-330
    • /
    • 2016
  • 반하(Pinellia ternata Breitenbach)는 천남성과(Araceae)의 약용 식물로 동아시아 일대가 원산지이며, 유럽과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도 널리 분포하고 있는 식물이다. 반하의 괴경(tuber)은 약재로 사용되어 구토, 염증, 외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고된 약리학적 작용으로는 항경련, 항종양, 살충, 세포독성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하는 약리학적으로 유용한 약용식물로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산지를 판별할 수 있는 신뢰성이 있고 표준화된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이를 위한 한국산과 중국산 반하를 판별할 수 있는 유의적인 화합물을 탐색하기 위해 UPLC-PDA와 QTof-MS에 기반을 둔 대사체 표지법을 이용하였다. 한국산으로부터 원산지 판별 화합물로 예상되는 화합물을 반복적인 역상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기반을 둔 활성유도 분획법을 통해 분리하였다. 그리고, NMR과 MS를 포함한 물리화학적, 분광학적 정보의 결과를 토대로 [6]-gingerol이라는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6]-gingerol은 원산지를 판별할 수 있는 능력과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을 지닌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어짐에 따라 유효성분 원산지 판별 화합물로 Fingerprint법에 의해 선정되었다. 더욱이, 한국산과 중국산 반하 유래 [6]-gingerol의 함량 비교를 위해,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이에 대한 검량곡선을 작성하여 그 함량을 비교하였다. 이것은 한국산 반하판별을 위한 화합물 선정과 성공적인 유효성 검증을 다룬 최초의 보고이다.

Siamese Crocodile White Blood Cell Extract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Promotes Autophagy in Multiple Cancer Cell Lines

  • Phosri, Santi;Jangpromma, Nisachon;Chang, Leng Chee;Tan, Ghee T.;Wongwiwatthananukit, Supakit;Maijaroen, Surachai;Anwised, Preeyanan;Payoungkiattikun, Wisarut;Klaynongsruang, Somp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6호
    • /
    • pp.1007-1021
    • /
    • 2018
  • Cancer represent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hreats to human health on a global scale. Hence,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ancer prevention strategies, as well as the discovery of novel therapeutic agents against cancer, is urgently required. In light of this challenge, this research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veral potent bioactive peptides and proteins contained in crocodile white blood cell extract (cWBC) against LU-1, LNCaP, PC-3, MCF-7, and CaCo-2 cancer cell lin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25, 50, 100, and $200{\mu}g/ml$ cWBC exhibits a strong cytotoxic effect against all investigated cell lines ($IC_{50}$ $70.34-101.0{\mu}g/ml$), while showing no signs of cytotoxicity towards noncancerous Vero and HaCaT cells. Specifically, cWBC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ancerous cells' colony forming ability. A remarkable suppression of cancerous cell migration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cWBC, indicating potent antimetastatic properties. The mechanism involved in the cancer cell cytotoxicity of cWBC may be related to apoptosis induction, as evidenced by typical apoptotic morphology features. Moreover, certain cWBC concentrations induced significant overproduction of ROS and significantly inhibited the $S-G_2/M$ transition in the cancer cell. The molecular mechanisms of cWBC in apoptosis induction were to decrease Bcl-2 and XIAP expression levels and increase the expression levels of caspase-3, caspase-8, and p53. These led to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cell cycle-associated gene cyclin-B1 and the arrest of cell population growth. Consequentl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prospect of the use of cWBC for cancer therapy.

상용하는 식물성 기름에서 지질과산화의 독성물질 4-hydroxy-2-alkenals 정량 (Quantification of 4-Hydroxyalkenals in Oils Consumed in Korea)

  • 서정희;권훈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905-910
    • /
    • 2002
  • 한국인이 상용하는 식물성 유지로부터 n-3 지방산과 n-6 지방산 산화의 독성 산물인 4-hydroxy-2-hexenal(HHE)과 4-hydroxy-2-nonenal(HNE)를 높은 감도로 동시 정량 하기 위하여 GC/MS/SIM(m/z = 157)을 이용하여 정량 하고 노출량을 추정하였다. 한국인이 섭취하는 식물성 유지의 98%를 차지하는 4종류의 유지로부터 4-hydroxy-2-alkenals의 총 노출량은 $2.7\;{\mu}g/day$로 나타났고, 시장에서 수거한 튀김 기름의 경우에는 상온에서 보관한 유지류에 비해 높은 양의 HHE와 HNE가 검출되었다. 튀김 과정 중에 형성된 4-hydroxy-2-alkenals는 튀김 음식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튀김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집단은 4-hydroxy-2-alkenals에 대한 노출량이 더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n-3와 n-6 지방산의 생리 활성에 대한 보고로 인하여 이들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품으로부터 n-3와 n-6 지방산의 특이적 산화 지표인 4-hydroxy-2-hexenal과 4-hydroxy-2-nonenal을 동시 정량 하여 식품 품질 및 안전성 평가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 보여 준, 상용 식물성 유지의 4-hydroxy-2-alkenals 함량에 관한 데이터는 식품을 통해 노출된 4-hydroxy-2-alkenals가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앞으로의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ntiviral activity of ginsenosides against coxsackievirus B3, enterovirus 71, and human rhinovirus 3

  • Song, Jae-Hyoung;Choi, Hwa-Jung;Song, Hyuk-Hwan;Hong, Eun-Hye;Lee, Bo-Ra;Oh, Sei-Ryang;Choi, Kwangman;Yeo, Sang-Gu;Lee, Yong-Pyo;Cho, Sungchan;Ko, Hyun-Je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8권3호
    • /
    • pp.173-179
    • /
    • 2014
  • Background: Ginsenosides are the major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bi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actions of ginseng, and have been shown to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viral activities of seven ginsenosides [protopanaxatriol (PT) type: Re, Rf, and Rg2; protopanaxadiol (PD) type: Rb1, Rb2, Rc, and Rd)] against coxsackievirus B3 (CVB3), enterovirus 71 (EV71), and human rhinovirus 3 (HRV3). Methods: Assays of antiviral activity and cytotoxicity were evaluated by the sulforhodamine B method using the cytopathic effect (CPE) reduction assay. Results: The antiviral assays demonstrated that, of the seven ginsenosides, the PT-type ginsenosides (Re, Rf, and Rg2) possess significant antiviral activities against CVB3 and HRV3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Among the PT-type ginsenosides, only ginsenoside Rg2 showed significant anti-EV71 activity with no cytotoxicity to cells at $100{\mu}g/mL$. The PD-type ginsenosides (Rb1, Rb2, Rc, and Rd), by contras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antiviral activity against CVB3, EV71, and HRV3, and exhibited cytotoxic effects to virus-infected cells. Notably, the antiviral efficacies of PT-type ginsenoside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ribavirin, a commonly used antiviral drug. Conclusion: Coll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ginsenosides Re, Rf, and Rg2 have the potential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CVB3, EV71, and HRV3 infection.

Deoxypodophyllotoxin Induces a Th1 Response and Enhances the Antitumor Efficacy of a Dendritic Cell-based Vaccine

  • Lee, Jun-Sik;Kim, Dae-Hyun;Lee, Chang-Min;Ha, Tae-Kwun;Noh, Kyung-Tae;Park, Jin-Wook;Heo, Deok-Rim;Son, Kwang-Hee;Jung, In-Duk;Lee, Eun-Kyung;Shin, Yong-Kyoo;Ahn, Soon-Cheol;Park, Yeong-Min
    • IMMUNE NETWORK
    • /
    • 제11권1호
    • /
    • pp.79-94
    • /
    • 2011
  • Background: Dendritic cell (DC)-based vaccines are currently being evaluated as a novel strategy for tumor vaccination and immunotherapy. However, inducing long-term regression in established tumor-implanted mice is difficult. Here, we show that deoxypohophyllotoxin (DPT) induces maturation and activation of bone marrow-derived DCs via Toll-like receptor (TLR) 4 activation of MAPK and NF-${\kappa}B$. Methods: The phenotypic and functional maturation of DPT-treated DCs was assess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cytokine production, respectively. DPT-treated DCs was also used for mixed leukocyte reaction to evaluate T cell-priming capacity and for tumor regression against melanoma. Results: DPT promoted the activation of $CD8^+$ T cells and the Th1 immune response by inducing IL-12 production in DCs. In a B16F10 melanoma-implanted mouse model, we demonstrated that DPT-treated DCs (DPT-DCs) enhance immune priming and regression of an established tumor in vivo. Furthermore, migration of DPT-DCs to the draining lymph nodes was induced via CCR7 upregulation. Mice that received DPT-DCs displayed enhanced antitumor therapeutic efficacy, which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IFN-${\gamma}$ production and induction of cytotoxic T lymphocyte activity. Conclusion: These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the adjuvant effect of DPT in DC vaccination is associated with the polarization of T effector cells toward a Th1 phenotype and provides a potential therapeutic antitumor immunity.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Corni fructus)

  • 권승혁;양희선;김재용;박경욱;손미예;강갑석;심기환;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87-291
    • /
    • 2009
  • 산수유를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의 수소공여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300 및 $500{\mu}g/mL$ 농도에서 각각 64, 7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 RAW264.7에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을 100, 300 및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산수유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O(nitric oxide)의 생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을 유방암세포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24, 48, 72시간 반응시킨 결과 농도 및 시간에 의존적으로 유방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500{\mu}g/mL$ 농도로 72 시간 처리 시 60% 이상의 높은 증식억제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MCF-7 유방암 세포에 bisphenol과 $17{\beta}$-estradiol과 같은 환경호르몬을 $0.1{\mu}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증식이 유도되었으며, 이 세포에 산수유 에탄올추출물을 농도별로 72시간 처리하였을 때 유방암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산수유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배암차즈기 에탄올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 저해 효과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and Anti-Adipogenetic Effect of the Salvia plebeia R. Br. Ethanol Extract in Murine Adipocytes, 3T3-L1 Cells)

  • 김성옥;김미려;황경아;박노진;정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1-408
    • /
    • 2017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에탄올 추출물(SP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 생성 및 축적 저해 효능을 조사하였다. 배암 차즈기 에탄올 추출물은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mouse embryo fibroblast) 유래 지방세포인 3T3-L1에서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PPAR{\gamma}$, $C/EBP{\alpha}$, SREBP-1c, pACC, pAMPK, CPT-1, 지방산 합성효소(FAS, fatty acid synthase) 발현 억제, 호르몬자극지방분해효소(HSL, hormone sensitivity lipase) 활성화 등 지방합성 관련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SPE가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대사에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 생성 및 지방 축적을 저해하는 효능을 보유하기 때문에 배암차즈기를 활용한 비만 개선을 위한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막걸리 분획물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증가 효과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 신미옥;강대연;김미향;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8-293
    • /
    • 2008
  • 막걸리의 암 예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막걸리 농축물을 핵산, 메탄올, 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분획별로 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효과와 암 예방 지표인 QR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 분획물의 경우 낮은 농도의 시료첨가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종의 모든 암세포주 HepG2, B16-F10, HT29 및 MCF-7에서 농도 의존적인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epG2에서 측정한 QR활성 증가 효과에 있어서도 메탄올 분획물이 가장 높은 QR활성 증가 효과를 보여 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된다. 따라서 앞으로 막걸리를 이용하여 항암관련 기능성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며, 이를 위하여 특히 메탄올 분획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백단향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antalum album Extracts by Extracting Methods)

  • 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56-4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백단향의 다양한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활성, 미백 효과 및 세포 독성을 평가 하였다.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은 n-Hexane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에서 양성대조군인 L-ascorbic acid ($IC_{50}$, $28.7\;{\mu}g/mL$)보다 강하거나 동등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에서도 70% acetone추출물에는 강한 라디칼 소거능($IC_{50}$, $18.6\;{\mu}g/mL$)을 나타내었다. 또한 LDL 산화억제 실험에서도 활성이 인정되었고 총 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난 70% acetone 추출물에 가장 강한 활성($IC_{50}$, $58.3\;{\mu}g/mL$)이 확인되었으며, 다음으로 MeOH, EtOH, Hot water, n-Hexane추출물 순의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양성 대조군인 arbutin ($IC_{50}$, $13.7\;{\mu}g/mL$) 및 kojic acid ($IC_{50}$, $8.3\;{\mu}g/mL$)보다 다소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70% Acetone을 이용하여 백단향을 추출할 경우 미백 활성이 가장 강한 결과를 얻었다. 백단향의 열수 추출물은 마우스멜라노마세포(B16F10)에 대해서 1.0 mg/mL의 농도에서 24.7%의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보음거풍지양탕(補陰祛風止痒湯)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誘發)한 NC/Nga 생쥐의 면역(免疫) 조절작용(調節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BGG on Various Immunological Factors Related to Pathogenesis of Allergic Dermatitis in NC/Nga Mice Induced by Der-f)

  • 방찬국;최정준;엄동명;김동희
    • 혜화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7-169
    • /
    • 2007
  •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BGG on atopic dermatitis, we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immune cells of lymph node, PBMC and skin of Dermatophagoides farinae-induced NC/Nga mice. The levels of immunoglobulins in serum were analyzed at the protein level and the amount of pathologic cytokines were investigated using CD3/CD28 stimulated splenocyt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1. BGG showed no cytotoxic effect up to $200\;{\mu}g/m{\ell}$ on mLFC in vitro. 2. BGG showed no hepatotoxicity in vivo based on the levels of ALT and AST. 3. Atopic dermatitis was improved through naked eye examination. BGG reduced the skin clinical index from 2.9 to 1.3 (p<0.01). 4. H&E and toluidine blue staining of tissue biopsies revealed that BGG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lymphocytes and mast cells to skin. 5. BGG reduced the number of CD19 positive B cells in PBMCs by 16% (p<0.01), whereas cells were increased by 26% (p<0.05) in lymph nodes. 6. BGG reduced the numbers of B220+/CD23+ cells by 15% (p<0.01) and 33% in PBMCs and lymph node, respectively. 7. BGG reduced the numbers of B220+/IgE+ cells in PBMCs and lymph node by 21% and 33% (p<0.01), respectively. 8. BGG suppressed the levels of IgE (13%, p<0.001) as well as IgM (34%, p<0.001), IgG2a (40%, p<0.001) and IgG2b (26%, p<0.05). 9. BGG reduced the levels of IL-4 and IFN-$\gamma$ by 7% (p<0.05) and 13% (p<0.001) in anti-CD3 and anti-CD28-activated splenocytes, respectively. 10. BGG considerab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NF-$\alpha$ and IL-6 by 42% (p<0.01) and 15% in the serum,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concluded that BGG has therapeutic effects on atopic dermatitis by regulating the differentiation of B cells and isotype switching of IgE. Further investigations on the molecular mechanisms of BGG on atopic dermatitis are anticip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