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ochalasin D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7초

A Unique Gene Expression Signature of 5-fluorouracil

  • Kim, Ja-Eun;Yoo, Chang-Hyuk;Park, Dong-Yoon;Lee, Han-Yong;Yoon, Jeong-Ho;Kim, Se-Ny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1권4호
    • /
    • pp.248-255
    • /
    • 2005
  • To understand the response of cancer cells to anticancer drugs at the gene expression level, we examined the gene expression changes in response to five anticancer drugs, 5-fluorouracil, cytarabine, cisplatin, paclitaxel, and cytochalasin D in NCI-H460 human lung cancer cells. Of the five drugs, 5-fluorouracil had the most distinctive gene expression signature. By clustering genes whose expression changed significantly, we identified three clusters with unique gene expression patterns. The first cluster reflected the up-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by cisplatin, and included genes involved in cell death and DNA repair. The second cluster pointed to a general reduction of gene expression by most of the anticancer drugs tested. A number of genes in this cluster are involved in signal transduction that is important for communication between cells and reception of extracellular signals. The last cluster represented reduced gene expression in response to 5-fluorouracil, the genes involved being implicated in DNA metabolism, the cell cycle, and RNA processing. Since the gene expression signature of 5-fluorouracil was unique, we investigated it in more detail. Significance analysis of microarray data (SAM) identified 808 genes whos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ltered by 5-fluorouracil. Among the up-regulated genes, those affecting apoptosis were the most noteworthy. The down-regulated genes were mainly associated with transcription-and translation-related processes which are known targets of 5-fluorouraci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ene expression signature of an anticancer drug is closely related to its physiological action and the response of caner cells.

Analysis of the Molecular Event of ICAM-1 Interaction with LFA-1 During Leukocyte Adhesion Using a Reconstituted Mammalian Cell Expression Model

  • Han, Weon-Cheol;Kim, Kwon-Seop;Park, Jae-Seung;Hwang, Sung-Yeoun;Moon, Hyung-Bae;Chung, Hun-Taeg;Jun, Chang-Du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5권3호
    • /
    • pp.253-262
    • /
    • 2001
  • Ligand-receptor clustering event is the most important step in leukocyte adhesion and spreading on endothelial cells.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has been shown to enhance leukocyte adhesion, but the molecular event during the process of adhesion is unclear. To visualize the dynamics of ICAM-1 movement during adhesion, we have engineered stable Chinese hamster ovary cell lines expressing ICAM-1 fused to a green fluorescent protein (IC1_GFP/CHO) and examined them under the fluorescence microscopy. The transfection of IC1_GFP alone in these cells was sufficient to support the adhesion of K562 cells that express $\alpha$L$\beta$2 (LFA-1) integrin stimulated by CBR LFA-1/2 mAb. This phenomenon was mediated by ICAM-1-LFA-1 interactions, as an mAb that specifically inhibits ICAM-1-LFA-1 interaction (RRl/l) completely abolished the adhesion of LFA-1* cells to IC1_ GFP/CHO cells. We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adhesion was followed almost immediately (~10 min) by the rapid accumulation of ICAM-1 on CHO cells at a tight interface between the two cells. Interestingly, ICI_GFP/CHO cells projected plasma membrane and encircled approximately half surface of LFA-1+ cells, as defined by confocal microscopy. This unusual phenomenon was also confirmed on HUVEC after adhesion of LFA-1* cells. Neither cytochalasin D nor 2,3-butanedione 2-monoxime an inhibitor of myosin light chain kinase blocked LFA-1-mediated ICAM-1 clustering, indicating that actin cytoskeleton and myosin-dependent contractility are not necessary for ICAM-1 clustering. Taken together, we suggest that leukocyte adhesion to endothelial cells induces specialized form of ICAM-1 clustering that is distinct from immunological synapse mediated by T cell interaction with antigen presenting cells.

  • PDF

Role of cytoskeleton in Host Cell Invasion by Intracellular Protozoa Toxoplasma gondii

  • Lee, Sook-Hwan;Lee, Boo-Young;Min, Duk-Young;Kim, Jung-Mogg;Ahn, Myou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628-634
    • /
    • 2002
  • A microfilament-based motility in Toxoplasma gondii (T. gondii) Is involved in host cell invasion, yet the exact mechanism has not yet been determined.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localization of actin and tubulin in T gondii using immunofluorescent (IF) and immunogold staining for electron microscopy. Indirect immunofluorescence (IF) staining using anti-actin and anti-tubulin monoclonal antibodies (mAbs) revealed localization of fluorescence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achyzoites. The actin in T. gondii was observed by immunogold staining, and the gold particles were seen on the surface, especially at the anterior end and in the cytoplasm of the parasite. However, there were no gold particles in the nucleus, rhoptries, and dense granules. The tubulin in T gondii was located on the surface and in the cytoplasm of the tachyzoites in the extracellular parasite, compared with anterior part of tachyzoites in the intracellular parasite. The antigens of T gondii recognized by anti-actin mAb were 107 kDa, 50 kDa, 48 kDa, and 40 kDa proteins, while those recognized by anti-tubulin mAb were 56 kDa, 52 kDa, and 34 kDa proteins. Tachyzoites of T gondii pretreated with the actin inhibitor, cytochalasin D (20 $\mu\textrm{g}$/ml), and tubulin inhibitor, colchicine (2$\times$10$\^$-6/ M), for 30 min at 37$\^{C}$ were used to infect the isolated mouse macrophages (tachyzo ites:macrophage=2:1). Pretreatment with the inhibitors resulted in lower multiplication of tachyzoites within the macrophages than in the untreated group 18 h post infection (p<0.05).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actin and tubulin appear to be involved in the invasion of and multiplication in host cells.

탈핵 후 동결한 MII 난자의 활성화 시기가 체세포 핵치환 이후 소 난자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Development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red Bovine Embryos Following Activation Timing in Enucleated and Cryopreserved MII Oocytes)

  • 박세필;김은영;김선균;이영재;길광수;박세영;윤지연;이창현;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5-252
    • /
    • 2002
  • 본 연구는 체세포 핵치환에 탈핵 후 통격한 소미수정란을 사용함에 있어서, MVC 초자화 동결방법과 탈핵난자의 활성화시기가 융해 후 생존율과 핵치환 이후 체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외에서 20시간 동안 체외성숙된 소 미수정란은 수핵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5$\mu\textrm{g}$/$m\ell$ hoechst 처리 후, 형광현미경하에서 핵을 제거하였다. 본 실험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 실행되었다 Group I은 동결하지 않고 핵치환을 한 대조군이며, group III와 group II는 핵이 제거된 난자를 MVC 방법으로 동결하기 전과 후에 활성화 처리 (5$\mu\textrm{m}$의 ionomycin에 의해서 5분간 처리) 한 군이다. 초자화 동결을 위해서는 group II와 group III의 탈핵란은 EG10에서 5~10분간 전처리하고 EG30에서 30초간 노출하여 액체 질소에 침지하였다. 융해는 37$^{\circ}C$에서 4단계로 이루어졌다. 실험군은 모두 소 귀세포를 이용하여 핵치환을 실시하였으며, 전핵을 유도하기 위한 활성화를 위해서는 10$\mu\textrm{g}$/$m\ell$ cycloheximide와 2.5$\mu\textrm{g}$/$m\ell$ cytochalasin D)가 첨가된 CRlaa 배양액에서 1시간, 이후 10 $\mu\textrm{g}$/$m\ell$ cycloheximide가 들어있는 CRlaa 배양액에서 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활성화 처리가 끝난 난자들은 CRlaa 배양액에서 2일간 배양하여 난할이 유도된 난자만을 선별하여 난구세포와 7일 동안 공배양하였다. 동결 융해 이후 group II와 group III의 탈핵된 소 미수정란의 체외 생존율은 81.0%와 84.9%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체세포와 수핵란과의 융합율도 각각 69.0%와 70.0%로 대조군 (75.2%) 과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난할율은 53.4%와 58.4%로 group II와 group III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group II의 분할된 세포질을 가진 이상난자의 비율이 group III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또한, morula 이상으로 발달율도 group II (8.6%) 에서 group III (15.6%)보다 낮은 결과를 얻었다 하지 만 group III (15.6%)의 체외 발달율은 대조군 (24.8%)과 유의한 차이를 없었다. 따라서, MVC 동결 방법은 탈핵된 소 미수정란을 동결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며, 탈핵 후 activation을 유도하고 초자화 동결한 난자는 동결하지 않은 신선란과 동일하게 체세포 핵치환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배양액이 마우스 핵이식 재구축배의 초기발생에 미치는 영향

  • 심보웅;권오용;이은화;김순희;서정선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76-76
    • /
    • 2002
  • 본 실험은 Piezo-미세조작기(PrimeTech Ltd., Japan)를 사용하여 마우스 핵이식 후 재구축배를 CZB와 KSOM 두가지 배양액을 사용하여 체외배양성적을 비교 검토하였다. MII의 미수정란은 성숙한 4~5주령 B6D2Fl에 hCG 주사 후 14시간째에 과적 방법을 통해 난관의 팽대부로 부터 회수하였고, metaphase II chromosome-spindle complex와 최소량의 세포질을 내경이 10$\mu\textrm{m}$인 피펫으로 흡입하여 탈핵하였다. 핵이식에 사용된 난구세포(8-l0$\mu\textrm{m}$)는 3시간동안 12% PVP 에처리 하여 piezo-미세조작기를 이용하여 세포질에 세포의 핵을 직접 미세주입 하였다. 핵이식 후 생존한 재구축배는 2시간동안 배양한 후 10mM SrC1$_2$와 5$\mu\textrm{g}$/$m\ell$의 cytochalasin B가 첨가된 $Ca^{2+}$-free CZB에서 6시간 활성화 처리하였다, 활성화 처리 후 위전핵이 관찰된 재구축란을 CZB 와 KSOM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발달률을 비교하였고, 상실배 및 배반포배로 발달한 재구축배를 day 3 대리모에 이식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구축배의 2-cell로의 발달률에 있어서 KSOM이 CZB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또한 4-cell과 상실배/배반 포배로의 발달률에 있어서도 KSOM이 CZB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발달률을 나타내었다(P<0.01). 또한 KSOM 배지에서 배양된 상실배/배반포배를 대리모에 이식한 경우에 11.5 d.p.c에 생존한 태아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핵이식 재구축배의 활성화 처리 후의 발생에는 KSOM 배지가 CZB 배지에 비하여 유효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그와 같은 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외래유전자를 도입한 일련의 결과에 관하여 보고 하고자한다., 이것은 세포내 유전자가 transfection되지 않은 세포도 neo selection에서 선발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체세포를 이용한 형질전환동물 생산을 위해서는 세포내 유전자 도입과 선발 과정에서 나타난 colony에 대하여 보다 엄격한 screen을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로 우점하였다. 여름철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에 영향은 수온과 직산염이 중요하였으나, 부유물질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다.애를 확인하고 지도 관점을 파악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역사발생적 수학 학습-지도 원리의 실제적인 적용에 관하여는 기초적인 연구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역사발생적 원리를 학교수학에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내용에 대한 철저한 역사적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EX>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of the letter designs in t

  • PDF

Open Pulled Straw(OPS) 방법에 의한 체외배양 동결수정란의 경산돈 이식 : 예비실험 결과 (Sow Transfer of Cultured Freezing Embryos by Open Pulled Straw(OPS) Methods : Preliminary Results)

  • 김인덕;안미현;허태영;홍문표;석호봉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5-163
    • /
    • 2004
  • 본 연구는 도축돈의 난소로부터 난자를 채취하여 체외배양시킨 후 세포 안정제와 원심분리 그리고 OPS를 이용한 유리화동결 하였다. 동결 융해한 수정란을 경산돈에 외과적 또는 비외과적으로 이식하여 자돈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cdot}$ 도축돈 난소로부터 채란되어진 돼지 미성숙난은 Funahashi 등(1994) 방법에 따라 체외 성숙-수정-배양하였다. 체외배양액은 glucose-free NCSU 23을 이용하였으며, 5일째에 10% Fatal bovine serum (FBS)을 첨가 배반포로 발달을 유도하였다. ${\cdot}$ 체외배양된 수정란은 7.5${\mu}$g.mL cytochalasin B에 30분 처리 후 13,000 rpm에 13분간 원심 분리하였고, ethylene glycol(EG) 동결액으로 처리한 뒤 OPS를 이용하여 동결${\cdot}$융해하였다. ${\cdot}$ 동결수정란과 비동결수정란을 plastic straw에 loading 한 후 3두에는 경산돈에 외과적 방법으로 각각 100개, 100개의 동결수정란과 대조군으로 34개의 비동결수정란을 이식하였고 다른 3두에는 비외과적 방법으로 각각 150개, 150개의 동결수정란과 대조군으로 100개의 비동결수정란을 각각 이식하였다. 외과적이식돈의 대조군에 사용한 신선수정란은 비경산돈 3두에서 채란하였다. ${\cdot}$이식 결과 6두 모두 지연성 발정을 보였으며 이중 동결수정란 이식돈은 임상적으로 정상이였으나 비동결수정란은 이식한 경우는 자궁내막염과 복강탈장이 관찰되었다. 주요 원인은 시술시 기술의 미숙과 야외수술에 의한 감염, 난자의 이동과 수송에 의한 영향 그리고 주입 미숙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며 융해 후 생존효율이 높은 수정란의 준비, 이식 기술의 개선과 자궁상태가 청결한 비경산돈의 이식으로 임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돼지 난모세포의 체외 성숙 후 극체 방출 및 미방출란의 핵형과 배발달율 (Comparison of Nuclear Status and Developmental Potential between Polar Body Extruded Oocytes and Non-extruded Oocytes on in vitro Maturation and Development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 김현종;조상래;최창용;최선호;한만희;손동수;김영근;이승수;류일선;김인철;김일화;임경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9-175
    • /
    • 2006
  • 본 연구에서 돼지 난포란에서 채취된 난모세포들을 체외 성숙 후 세포 손상이 없이 성숙 난모세포의 발생능을 알아낼 수 있는 마커로 극체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난모세포를 48시간 성숙 배양 후 극체의 방출 유무를 검사하고, 핵염색하여 염색체의 형태를 검사하였다. 확인된 난모세포들을 $16{\sim}18$시간 추가 배양한 후 7% ethanol로 활성화시키고 $5{\mu}g/ml$ cytochalasin B에 5시간 노출 후 NCSU23 배양액으로 7일간 배양하였다. 극체 방출율은 반복에 따라 $9.9{\sim}52.4%$, 퇴행율은 $21.4{\sim}61.8%$로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p<0.01). 극체를 방출한 난모세포의 핵상은 모두 극체와 19개의 염색체를 가진 제 2 감수분열 중기 핵상을 보여주었으며, 극체를 방출하지 못한 난모세포의 핵상은 핵이 팽화된 상태인 핵형이 39.1%, PCC 형태의 핵상이 19.6%, MI 형태의 핵상이 10.9%, MII이지만 극체가 관찰되지 않거나 매우 작은 상태인 경우가 13%, 핵이 응축된 형태인 경우가 6.5%, 핵이 없는 경우가 8.7%로 나타났다. 퇴행란으로 판단한 난모세포들은 핵염색을 한 결과 역시 세포질 상태가 정상적이지 못한 염색 상태를 보여주었다. 극체 방출 유무를 확인하지 않고 활성화 처리 후 배양하였을 때 분할율은 45.0%, 배반포기까지 발달율은 11.3%였으나, 극체 방출란만을 모아서 활성화처리를 하였을 때 분할율은 94.2%, 배반포기까지 발달율은 42.5%로 급격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퇴행란과 극체 미방출란을 제거하고 실험에 활용한다면 배양 효과를 확인하거나 배아 생명 공학에 활용할 때 좀더 유리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 난모 세포의 Ethanol 처리에 의한 단위 발생에 있어서 극체 방출란과 분할란 선별에 따른 배발달율 비교 (Prediction of Parthenogenetic Developmental Potential by Polar Body Extrusion and First Cleavage on In Vitro Maturation and Development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 김현종;조상래;최창용;최선호;한만희;손동수;이승수;상병돈;류일선;김인철;김성재;김일화;김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1-126
    • /
    • 2007
  • 본 연구에서 돼지 난포란에서 채취된 난모 세포들을 체외성숙 후 형태적으로 선별하거나 극체 방출란을 선별하여 활성화 처리 후 48시간째에 분할란을 선별할 때 배발달율이 어느정도 향상되는지를 검토하였다. 난모 세포를 48시간 성숙 배양 후 형태적 선별과 극체의 방출 유무를 검사하고, 선별된 난모 세포들을 $16{\sim}18$시간 추가 배양한 후 7% ethanol로 활성화시키고 $5{\mu}g/ml$ cytochalasin B에 5시간 노출 후 PZM-5 배 양액으로 7일간 배양하였으며, 배양 중 4일째 5% FBS를 추가하였다. 48시간 성숙 후 형태적으로 선별하였을 때, 21.9%가 제거되고 78.1%가 선별되었으며, 극체 방출란을 선별하였을 때, 32.1%가 제거되고, 67.9%가 선별되었다. 형태적으로 선별한 난자를 활성화 처리하여 48시간째에 분할율을 검사하였을 때, 15.8%가 분할하지 않았으며, 52.6%가 정상 분할하였고, 31.6%가 과분할하였으며, 극체 방출란을 선별하여 활성화 처리 후 분할율을 검사하였을 때 7.1%가 분할하지 않았으며, 73.1%가 정상 분할하였고, 19.8%가 과분할하였다. 체외 성숙된 난모세포를 형태적으로 선별하고 활성화 처리 후 분할란을 선별하지 않았을 때, 16.7%가 배반포기로 발달하였고, 형태적으로 선별하고 분할란을 추가로 선별해 배양했을 때 31.7%가 배반포기로 발달하였으며, 극체 방출란만을 선별하여 활성화 처리 후 분할란을 선별하지 않았을 때 39.0%가 배반포기로 발달하였고, 극체 선별과 분할란 선별을 하였을 때 배반포기 발달율이 49.0%에 이르렀다. 48시간째 미분할 난자와 정상 분할 난자, 과분할 난자를 배양하였을 때 48시간째 미분할 난자는 배반포기로 발달하지 못했으며, 정상 분할 난자는 42.5%, 과분할 난자는 4.5%가 배반포기로 발달하였다. 분할하는 시기를 활성화처리 후 12시간 간격으로 조사하였을 때 $0{\sim}12$시간 사이에 4.1%가 분할하였고, $12{\sim}24$시간 사이에 68.6%, $24{\sim}36$ 시간 사이에 19.1%, $36{\sim}48$시간 사이에 2.3%, 48시간까지 미분할 난자가 5.9%였으며, $0{\sim}12$시간 사이에 분할한 난자나 $36{\sim}48$시간 사이에 분할한 난자에서 배반포기로 발달한 난자는 없었으며, $12{\sim}24$시간 사이에 분할한 난자의 39.1%, $24{\sim}36$시간 사이에 분할한 난자의 9.5%가 배반포기로 발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극체 방출란만을 선별하여 $12{\sim}36$시간 사이에 분할하는 난자들만을 선별하여 배양한다면 배발생능을 가진 난자들의 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Strongly Stimulates Endothelial Cells to Produce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and Interleukin-8

  • Choi, Eun-Kyoung;Kang, Mi-Sun;Oh, Byung-Ho;Kim, Sang-Yong;Kim, So-Hee;Kang, In-Chol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137-145
    • /
    • 2012
  •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is the most important etiologic agent of aggressive periodontitis and can interact with endothelial cells.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and interleukin-8 (IL-8) are chemokines, playing important roles in periodontal pathogenesis. In our current study, the effects of A. actinomycetemcomitans on the production of MCP-1 and IL-8 by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were investigated. A. actinomycetemcomitans strongly induced the gene expression and protein release of both MCP-1 and IL-8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Dead A. actinomycetemcomitans cells were as effective as live bacteria in this induction. Treatment of HUVEC with cytochalasin D, an inhibitor of endocytosis, did not affect the mRNA up-regulation of MCP-1 and IL-8 by A. actinomycetemcomitans. However, genistein, an inhibitor of protein tyrosine kinases, substantially inhibited the MCP-1 and IL-8 production by A. actinomycetemcomitans, whereas pharmacological inhibition of each of three member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 family had little effect. Furthermore, gel shift assays showed that A. actinomycetemcomitans induces a biphasic activation (early at 1-2 h and late at 8-16 h) of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nd an early brief activation (0.5-2 h) of activator protein-1 (AP-1). Activation of canonical NF-${\kappa}B$ pathway ($I{\kappa}B$ kinase activation and $I{\kappa}B-{\alpha}$ degradation) was also demonstrated in these experiments. Although lipopolysaccharide from A. actinomycetemcomitans also induced NF-${\kappa}B$ activation, this activation profile over time differed from that of live A. actinomycetemcomita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ression of MCP-1 and IL-8 is potently increased by A. actinomycetemcomitans in endothelial cells, and that the viability of A. actinomycetemcomitans and bacterial internalization are not required for this effect, whereas the activation of protein tyrosine kinase(s), NF-${\kappa}B$, and AP-1 appears to play important roles. The secretion of high levels of MCP-1 and IL-8 resulting from interactions of A. actinomycetemcomitans with endothelial cells may thus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aggressive periodontitis.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처리로 유도되는 THP-1 세포의 초기 부착에 관한 다양한 인자의 효과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Early THP-1 Cell Adhesion Induced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 조용삼;신지현;최태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52-957
    • /
    • 2008
  • 본 실험에서는 THP-1 세포의 PMA에 의하여 유도되는 초기 세포부착에 관한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인(혈청, 신규 단백질의 합성, 세포 골격 저해제, 단백질 인신화 저해제)들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는 이들 세포부착의 정도를 일반적으로 세포증식 분석에 사용되고 있는 SRB염색법을 도입하여 세포부착 분석에 간편한 방법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PMA에 의한 초기 세포부착에는 배양액중의 혈청의 유무는 영향이 없었으나, 신규 단백질의 합성이 요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초기 세포부착에 PMA처리에 의한 PKC의 활성화는 필수적이나, 그 하류 활성화 인자로 잘 알려진 MAP-kinase (erk1/2)의 인산화는 필요치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액틴 중합 저해제인 cytochalasin D의 PMA와 공 처리는 오히려 세포부착을 PMA 단독 처리시 보다 증가시켰다. 또한 본 실험에서 사용된 SRB 염색법을 통한 세포부착 분석법은 최근 암 등 다양한 질환의 신약 표적 분자로 주목을 받고 있는 PKC 저해제의 초기 세포 기반 분석에 매우 유용하리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