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noglossus robustu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Feeding ecology of three tonguefishes, genus Cynoglossus (Cynoglossidae)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 Baeck, Gun-Wook;Park, Joo-Myun;Hashimoto, Hiroak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5권4호
    • /
    • pp.325-336
    • /
    • 2011
  • Feeding ecology was compared among the three tonguefishes Cynoglossus abbreviatus, C. joyneri and C. robustus, collected from Seto Inland Sea, Japan, from June 2000 to May 2001. They are benthivores, consuming mainly gammarid amphipods, shrimps, crabs, gastropods, bivalves and ophiuroids. C. abbreviatus consumed greater proportions of ophiuroids whereas C. joyneri and C. robustus ate more amphipods and shrimps. While C. abbreviatus consumed mostly ophiuroids in all size classes, the diets of C. joyneri and C. robustu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er individuals of C. joyneri and C. robustus consumed gammarid amphipods, whereas larger C. joyneri ate shrimps and gastropods, and larger C. robustus fed mainly on gastropods, crabs, bivalves and polychaetes. Cluster analysis based on diet similarities emphasized that the three Cynoglossus species could be categorized on a size-related basis into three feeding groups: smaller C. joyneri and C. rubustus (<25 cm TL) could be classified as group A, and the larger of them (>25 cm TL) as group B, whereas C. abbreviatus was categorized as group C. This means that some degree of resource partitioning can occur among the three Cynoglossus species. The seasonal changes in the diets were also significant for the three Cynoglossus species.

Maturation and Spawning of Robust Tonguefish (Cynoglossus robustus (Soleidae; Teleostei)

  • Baeck Gun Wook;Kim Jae W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136-140
    • /
    • 2004
  • We examined the ovaries of 312 robust tonguefish (Cynoglossus robustus) collected each month from January to December 2001, off the coast of Yeosu, Korea. The samples were used to investigate robust tonguefish reproductive activity.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indicated that spawning peaked between June and August. Fish size at first spawning was 15-19 cm total length (TL). Over $50{\%}$ of female fish 25-29 cm TL were sexually mature, and this rose to $100{\%}$ for female fish 35-39 cm TL. The tonguefish spawned four or more times during the spawning season. Most females commenced spawning in their second year.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 (cm TL) and fecundity (F) was F=528646Ln(TL)-1E+06.

외국산 참서대과(Cynoglossidae) 어류 2종 (Two Foreign Species of Tongue Soles (Cynoglossidae))

  • 최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7-269
    • /
    • 1996
  • Morphology of two foreign species of tongue soles (Cynoglossidae), Cynogiossus browni and C. senekalensis, was observ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from Kunsan fish market from 1992 to 1994. These species are externally similar to Cynoglossus robustus from Korean coast. But these are quite distincitive from Cynogiossus robustus by interlinear scale rows, body size, other counts and proportional measurements of body. The Cynogfossus browni and C. senegalensis are only distributed in western coast of Africa and commercially imported to Korea through Pusan fish market.

  • PDF

Feeding Habits of Tonguefishes, Cynogzolssus robustus and Cynoglossus abbreviatus,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 Baeck, Gun-Wook;Hiroaki Hashimoto;Huh, Sung-Hoi;Kenji Gushima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83-384
    • /
    • 2001
  • The tonguefish, Cynoglossus robustus and C. abbreviatus (Order Pleuronectiformes, Family Cynoglossidae), inhabits on soft and sand mud bottoms at depth of 20∼85 m around Korea, China and Japan(Nakabo, 1993; Okamura et al., 1970). The tonguefishes are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and are relatively abundant among the fishes found in the Seto Inland Sea(Inaba, 1963: Inaba, 1988). (omitted)

  • PDF

한국산 참서대과 Cynoglossidae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Cynoglossidae (Pisces,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김익수;최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03-813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참서대과 어류 3속 8종에 대하여 재검토하고 그들의 검색표를 제시하였으며, 1992년부터 1993년 까지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채집되어진 다음의 6종의 참서대과 어류는 그림과 함께 재기재 하였다; 칠서대 Cynoglossus interruptus, 참서대 C. joyneri, 개서대 C. robustus, 박대 C. semilaevis, 용서대 C. abbreviatus, 흑대기 Paraplagusia japonica. 종전에 보고된 한국산 참서대과 어류 가운데 까지서대 Areliscus trigrammus, 서대기 A. hollandi, 박대 A. rhomaleus는 각각 용서대 Cynoglossus abbreviatus, 물서대 C. gracilis 박대 C. semilaevis의 동종이명이다. 우리나라의 참서대과 어류는 주로 서해와 남해안에 서식하지만 C. interruptus와 C. abbreviatus의 서식지는 남해안에만 한정되어 있으며 C. semilaevis는 서해안과 남해의 서부 연안에, Paraplagusia japonica는 동해를 비롯한 서해와 남해의 모든 연안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 남해안 개서대 Cynoglossus robust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Robust Tonguefish, Cynoglossus robust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서영일;김주일;오택윤;이선길;김성태;주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4-331
    • /
    • 2007
  • 본 연구는 남해안 여수인근 해역의 주요 어종의 하나인 개서대의 비늘을 이용하여 개서대의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개서대는 2004년 2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여수 인근해역에서 기선저인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어획물 중 무작위로 표본 채집하였으며, 총 402미를 조사하였고 그 중 353미를 정밀측정 및 비늘을 적출하여 연령사정에 사용하였다. 체장의 범위는 암컷이 전장 20.2~39.3 cm였으며, 수컷의 전장은 20.8~35.0 cm로 나타났다. 개서대의 체중(BW)과 체장(TL)의 관계는 $BW=0.0013TL^{3.399}$ ($R^2=0.916$)이었고, 암 수별로 체장에 대한 체중의 차이가 있었다(P<0.05). 개서대의 연령에 대한 체장자료의 오 차구조를 확인한 결과 합의 오차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개서대의 성장식은 von Bertalanffy 성장모델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추정된 개서대의 성장식 $L_t=43.77(1-e^{-0.186(t+2.295)})$ ($R^2=0.976$)이었다. 암 수간의 연령에 대한 체장의 상대성장에는 차이가 없었다(P>0.05).

다중 PCR 분석법을 이용한 참서대과 어종의 신속하고 정확한 종판별 분석법 개발 (Rapid and Specific Identification of Genus Cynoglossus by Multiplex PCR Assays Using Species-specific Derived from the COI Region)

  • 노은수;강현숙;안철민;박중연;김은미;강정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07-10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산 참서대과 어류 5종(개서대, 참서대, 칠서대, 박대, 용서대) 및 수입산 참서대과(Cynoglossidae) 어류 5종(기니개서대, 긴개서대, 큰비늘개서대, 큰입개서대, 세네갈 개서대)을 대상으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신속하고 정확한 종판별법을 검토하였다. 참서대과 어류 10종에 대한 최적의 종 특이 프라이머를 선정하기 위하여 약 1,500 bp의 COI 유전자를 분석하였으며, 종간 특이적인 단일염기다형성 유전자가 3’ 말단에 위치하도록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10종에 대한 종특이 정방향 프라이머는 동일한 PCR조건과 전기영동을 통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할 정도의 PCR 산물의 상대적인 크기를 고려하였다. 다중 PCR 분석을 위해 종특이 정방향 프라이머는 모두 혼합되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 세네갈개서대(208 bp), 용서대(322 bp), 큰입개서대(493 bp), 큰 비늘개서대(754 bp), 박대(874 bp), 칠서대(952 bp), 참서대(1,084 bp), 긴개서대(1,198 bp), 개서대(1,307 bp), 기니개서대(1,483 bp)에 해당하는 종 특이적인 증폭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의 PCR 민감도를 측정한 결과 0.1~1.0 ng/μ l의 농도까지 검출이 가능한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참서대과 어류 10종에 대한 종특이 프라이머는 특이도 및 민감도가 우수하며 향후 수산물의 수출입 및 유통 관리에 사용이 이루어진다면 정확한 종명 표기가 가능하여 국민 먹거리 안전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한국산 참서대과 Cynoglossidae 어류 6종의 상두개골계(epicranical bony system) (Epicranial Bony System of Six Species in Family Cynoglossidae (Pisces,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최윤;김익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3호
    • /
    • pp.329-334
    • /
    • 1995
  •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우리나라의 연안에서 채집된 참서대과 어류 6종의 상두개골계(epicranical bony system) 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상두개골 가운데 erisma 와 frontal element 의 발달정도에 따라 1. Paraplagusia japonica, 2.Cynogossus joyneri 와 C.robustus, 3.c. semilaveis와 C. abbreviatus, 4.C. interruptus 의 4 group 으로 구분되엇고, erisma를 지지하는 proximal radials 의 수에서도 P.japonica와 C. robustus 가 10-11개, C. joyneri 10-12 . C. semilaevis 9-11. C. abbreviatus 9-10 , C. interruptus 7-8개로 종간에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골격의 형태적 차이는 종간의 유연관계를 나타내는데 중요한 형질로 사료된다.

  • PDF

2006 남해안 해역별 어류의 출현 종 및 양적변동 (Species and Abundance Variation of Fish by a Gill Net in Coastal Waters of Southern Sea, Korea, 2006)

  • 차병열;김대권;서성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0-224
    • /
    • 2007
  • 조사기간 동안 남해안 4개 해역에서 자망에 의한 어류의 총 어획량은 577,422.9 g, 어획종수는 총 68종이었다. 전체 어획 종에서 양태가 차지하는 어획량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숭어, 개서대 그리고 보구치의 순이었다. 상대서식량 지수 면에서는 양태, 보구치, 개서대 그리고 숭어가 전체의 63.1%를 점유하였다. 해역별에서는 경남 통영 도남해역이 어획량과 어획종수에서 53,148.8 g, 18종 그리고 우점종은 문치가자미, 양태, 쥐노래미 등이었고, 전남 여수 계동해역이 123,926.9 g, 44종의 어획량과 어획종수 그리고 우점종은 양태, 갯장어, 문치가자미 등이었으며, 전남 장흥 수문해역에서 228,920.9 g, 28종의 어획량과 어획종수, 우점종은 숭어, 양태, 개서대 그리고 전남 진도 모도해역에서는 어획량과 어획종수가 171,426.3 g, 32종 그리고 우점종은 양태, 보구치, 개서대이었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 남해안의 어류군집은 어획량과 어획종수 그리고 어획 종들에서 해역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해안 해역별 해양환경 조건과 생산성 그리고 어종별 생태습성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남해안 연안의 어류는 수온이 상승하고, 염분값이 낮아지는 봄철이후에 점차 증가하는 경향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