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noglossus joyneri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2초

아산만 저어류 -II. 종조성의 주야 및 계절변동- (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II.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 이태원;김광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3-114
    • /
    • 1992
  • 1989년 가을에서 1990년 여름 사이 아산만에서 otter trawl로 저어류 자료를 수집하여 아산만 저어류의 주야 및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주야 자료는 각 조사시기마다 주야 각각 3-5회씩 수집하였다. 동정된 32종의 저어류 중, Chaturichthys stigmatias, Cynoglossus joyneri, Thrissa koreana, Repomucenus lunatus와 Hexagrammos otakii가 총개체수의 $79.5\%$를 차지하였고, 생체량에서는 C. jeyneri, T. koreana, H. otakii, Raja kenoiei와 Kareius bicoloratus가 $67.1\%$%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밤에 채집된 개체수와 생체량이 낮보다 많았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각 계절별 어류 군집구조 및 주요 저어류의 평균체장도 밤낮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여름에 높았고 겨울에 낮아 조사 해역 저어류의 양적 변동은 수온, 혹은 수온과 같은 변화를 보이는 요인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참서대과 Cynoglossidae 어류 6종의 상두개골계(epicranical bony system) (Epicranial Bony System of Six Species in Family Cynoglossidae (Pisces,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최윤;김익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3호
    • /
    • pp.329-334
    • /
    • 1995
  •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우리나라의 연안에서 채집된 참서대과 어류 6종의 상두개골계(epicranical bony system) 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상두개골 가운데 erisma 와 frontal element 의 발달정도에 따라 1. Paraplagusia japonica, 2.Cynogossus joyneri 와 C.robustus, 3.c. semilaveis와 C. abbreviatus, 4.C. interruptus 의 4 group 으로 구분되엇고, erisma를 지지하는 proximal radials 의 수에서도 P.japonica와 C. robustus 가 10-11개, C. joyneri 10-12 . C. semilaevis 9-11. C. abbreviatus 9-10 , C. interruptus 7-8개로 종간에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골격의 형태적 차이는 종간의 유연관계를 나타내는데 중요한 형질로 사료된다.

  • PDF

장봉도 갯벌을 이용하는 어류군집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on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 서인수;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10-52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fish assemblages on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Fish were collected monthly using a small otter trawl from November 1999 to January 2001. Thirty-six fish species were recorded, with a mean density of 185 individuals and biomass of 2,594.3 gWWt. The most abundant species by number were Johnius grypotus (23.7%), Acanthogobius hasta (17.8%), and Cynoglossus joyneri (10.7%), while the dominant species by catch weight were Acanthogobius hasta (21.2%), Sebastes schlegeli (16.2%), J. grypotus (14.0%), and C. joyneri (10.8%).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were applied to assess the seasonal fluctuation in the fish assemblag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the faunal group could be divided into cold- and warm-water specialist groups. The cold-water specialists included A. hasta, Acanthogobius luridus, Triaenopogon barbatus, Tridentiger trigonocephalus, and Liza haematocheila. The warm-water specialists were J. grypotus, C. joyneri, S. schlegeli, and Hexagrammos otakii. In conclusion, the community structure showed a distinct seasonal trend, which seemed to be related to the seasonal fluctuations in water temperature.

소흑산도(小黑山島) 일대(一帶)에 서식(棲息)하는 어족(魚族) 자원(資源)과 그 특성(特性) (The Fish Fauna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ohuksando Island, Korea)

  • 이충렬;주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4-73
    • /
    • 1996
  • 1993년 6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소흑산도(小黑山島) 주변에 서식(棲息)하고 있는 어류를 조사한 결과 모두 3강(綱) 14목(目) 59과(科) 97속(屬) 128종(種)이 서식(棲息)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에서 농어목(目) 어류가 모두 27과(科) 44속(屬) 54종(種)으로 전체 어류의 42.2%로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이 횟대목(目) 어류로서 8과(科) 15속(屬) 25종(種)으로 19.5%에 해당되었다. 이외에도 가자미목(目) 어류가 5과(科) 13속(屬) 16종(種)으로 12.5%였고, 복어목(目) 어류가 3과(科) 4속(屬) 8종(種)으로 6.3%였다. 한편 이들 중 많은 종(種)을 포함(包含)하고 있는 분류군은 횟대목(目)의 양볼락과(科)로서 13종(種)이 확인(確認)되었고, 다음이 농어목(目) 어류의 민어과(科)와 가자미목(目)의 가자미과(科)로 각각 8종(種)씩 출현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서식(棲息)이 확인되지 않았던 종(種)으로 Cypselurus unicolor, Signauns canaliculutus, Tarphops elegans 등의 3종(種)이 추가 확인되었고, 이 외에도 Raja sp., Scorpaenopsis sp. Sebasticus sp., Entomacrodus sp. 및 Psettodes sp. 등이 분류학적으로 주목되었다. 한편 본 해역에서 출현하고 있는 어종(魚種)중에서 경제적(經濟的)으로 부가가치(附加價値)가 높은 종(種)으로는 Raja kenojei, Sebastes schlegeli, Sebastes thompsoni, Lateolabrax japonicus, Nibea albiflora, Argyrosomus argentatus, Pseudosciaena poliactis, Miichthys miiuy, Mugil cephalus, Paralichthys olivaceus, Cynoglossus joyneri 및 Cynoglossus semilaevis 등(等)이고 이 중에서 Sebastes schlegeli와 Sebastes thompsoni는 소흑산도(小黑山島)를 상징(象徵)할 수 있는 대표적(代表的)인 어종(魚種)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

저인망에 의한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주변 해역의 어류분포 (Distribution of Fishes around the Offshore Wind Farm at the Southern Part of Yellow Sea by Trawl Net)

  • 최윤;이흥헌;오정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2-229
    • /
    • 2014
  •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전라북도 영광군 위도 해역의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2011년 10월부터 2012년 6월까지 4회에 걸쳐 모두 9목 26과 46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이 가운데 망둑어과(Gobiidae)가 6종으로 전체 종수의 13.04%를 차지하였고, 쏨벵이목(Scorpaeniformes) 어류가 5과 7종,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 4과 5종, 청어목(Clupeiformes) 어류는 2과 4종, 복어목 (Tetraodontiformes) 1과 2종 순이었다. 우점종은 전체의 53.10%가 채집된 보구치 (Argyrosomus argentatus)였다. 4개의 조사정점에서 모두 채집된 어류는 참서대(Cynoglossus joyneri)를 비롯하여 17종이었고, 1개의 조사정점에서만 채집된 어종은 쏨뱅이(Inimicus japonicus)를 비롯하여 13종이었다. 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공사 시에 이 해역 어류의 일시적인 어종의 감소가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풍력단지 구조물 등이 좋은 서식환경을 제공함으로 돌돔과 조피볼낙 등의 어종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산만 저어류 -III. 정점간 양적 변동과 종조성- (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III. Spati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38-445
    • /
    • 1993
  • 1991년 가을에는 1992년 여름 사이 아산만에서 otter trawl로 저어류 자료를 수집하여 저어류의 계절 및 정점간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출현한 34종 중,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민태(Johnius belengeri), 곤어리(Thrissa koreana) 및 등가시치(Zoarces gillii)가 총 채집개체수의 $93\%$를 차지하였다. 위의 4종 중 부어류인 곤어리를 제외한 우점 3종은 저질이 세립질인 만 내부에서 생물량이 많았다. 각 계절 정점간 군집구조를 rank correlation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한 결과, 정점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계절에 따른 군집구조 변화는 뚜렷하였으며, 그 변화는 수온, 혹은 수온과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에 의하여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조사해역은 수온의 연교차가 크고, 조류에 의한 해수의 혼합이 활발하여 이에 적응한 소수종이 우점하고 이 우점저어류는 퇴적물의 입도에 따라 그 분포가 결정되지만, 출현 개체수가 적은 대부분의 종은 정점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계절에 따라 군집구조가 변하여 가는 것으로 보인다.

  • PDF

고군산군도 연안 어류상 (The Fish Fauna of the Kokunsan Island, Korea)

  • 김익수;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52
    • /
    • 1993
  • 1989년부터 1993년까지 고군산군도의 어류상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12목 50과 81속 102종을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중에 많은 개체가 채집된 종은 밴댕이 Herengula zunasi, 멸치 Engraulis japonica, 민태 Johnius grypotus, 흰베도라치 Pholis fangi, 꽃돛양태 Repomucenus ornatipinnis, 별망둑 Chasmichthys gulosus,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과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의 8종이었다. 채집된 12목 어류중에 농어목, 횟대목 그리고 가자미목의 3개 목에 포함된 어류가 약 7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과별로는 망둑어과가 1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채집된 어류중에 흰베도라치 Pholis fangi, 꽃돛양태 Repomucenus ornatipinnis, 참돛양태 Repomucenus koreanus, 황점복 Takifugu flavidus, 황복 Takifugu obscurus 등 5종은 황해에만 출현하는 고유종들이다. 본 조사 지역에서 15개체가 채집된 Sebastes sp.는 Sebastes hubbsi 그리고 Sebastes longispinnis와 유사하지만 등지느러미 기조수, 측선공수, 새파수와 체색에서 한국에 출현하는 Sebastes속 어류 어느 종과도 달라서 분류학적으로 주목되었다.

  • PDF

군산 연안 어류의 군집 변동 (The Fluctuation of Fish Communities from the Coast of Kunsan, Korea)

  • 유봉석;최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94-207
    • /
    • 1993
  • 1992년부터 1993년까지 군산 연안 어류 군집의 계절적 변동을 조사하였으며, 조사 기간에 채집된 어종은 14목 47과 82속 98종이었다. 저인망에 의해서 채집된 어류 가운데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와 꽃돛양태 Repomucenus ornatipinnis가 연중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낭장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로는 밴댕이 Harengula zunasi와 멸치 Engraulis japonica가 겨울을 제외한 계절에 우점어류로 나타났다. 낭장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와 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생체량은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전자의 경우 여름철에 후자의 경우 늦봄과 겨울철에 가장 많은 양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여름철에 양태 Platycephalus indicus, 겨울철에 꼼치 Liparis tanakai가 조사 해역에서 많은 출현량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들 어류는 특히 산란기에 내만쪽으로 모여든다. 한편 조간대에서는 모두 14종의 어류가 출현하였는데 이들 중 13종은 망둑어과 어류이며 산란기에 다량 출현함으로서 군산 연안은 많은 연안 어류의 산란장으로 여겨진다. 조사 기간 동안에 낭장망, 족대, 저인망, 그 밖의 어망으로 채집한 어류의 계절별 종 수는 봄철에 64종, 여름철에 59종, 가을철에 63종, 겨울철에 27종이었으며 군산 연안 어류의 계절별 출현량 및 종조성 변동은 주로 수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저인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 허성회;정석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2호
    • /
    • pp.178-195
    • /
    • 1999
  • 낙동강 하구 주변 해역에서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1년 동안 매월 소형 기선저인망(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00개 어종에 속하는 23,008마리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어종은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 흰베도라치(Pholis fangi),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밴댕이 (Sardinella zunasi)였는데, 이들 5어종은 총 개체수의 63.0%와 생체량의 47.8%를 차지하였다. 계절별 우점종을 보면, 봄에는 흰베도라치와 실양태, 여름에는 실양태와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가을에는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과 청멸(Thryssa kammalensis), 그리고 겨울에는 설양태, 주둥치, 밴댕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어종수, 채집 개체수 및 종다양도지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다. 또한 어종 수 및 채집 개체수는 정점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낙동강 하구쪽으로 갈수록 어종수 및 채집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수온은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염분은 어류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산만 저어류 I. 적정 채집 방법 (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I. Optimal Sample Size-)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48-254
    • /
    • 1991
  • 1990년 8월 아산만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저어류를 채집하여 정점을 대표할 수 있는 저어류 군집 자료수집 방법을 추정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17종, 957개체, 21,840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 곤어리 (Thrissa koreana),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와 민태 (Johnius belengerii)가 출현 빈도도 높고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하였다. 주야 10회 반복 채집결과 종조성은 주야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otter trawl 20분 예인의 개체수 자료는 우점종의 경우는 평균에 대하여 $2.2-385.1\%$, 전어종은 $52.2-162.0\%$의 넓은 변이를 보였다 채집면적을 늘려 갔을 때 누적종수는 예인 4회 자료 누적 이후에는 증가가 둔화되었고 종다양성지수는 3회 이후 거의 점관선에 도달하였다. 개체수의 평균에 대한 분산은 자료를 누적시켰을 때 감소하여 4회 이후에는 자료가 Poisson 분포 양상을 보였다.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아산만 저어류를 채집할 때 20분 예인 4회 이상의 자료를 합하면 정성, 정량적으로 한 조사정점을 대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