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ing Behavior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9초

천장 브래킷을 이용한 완전강접합 모듈러 시스템의 구조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Modular System with Fully Restrained Moment Connections using Ceiling Bracket)

  • 이승재;곽의신;박재성;강창훈;손수덕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3권12호
    • /
    • pp.37-44
    • /
    • 2017
  • Due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costs and duration of a modular system would be saved by minimizing the schedule on the job site. As such, it is crucial to develop a connection that can guarantee stiffness while allowing for simple assembling. Particularly, the mid- to high-rise construction of the modular system necessitates the securing of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seismic performance of multi-unit frames and connections, and thus, the stiffness of unit-assembled structures needs to be re-evaluated and designed. However, evaluating a frame consisting of slender members and reinforcing materials is a complicated proces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modular unit connection based a method for reinforcing connection brackets and hinges while minimizing the loss of the cross section. Toward this end, the study modeled the beam-to-column connection of a modular system with the proposed connection, and produced a specimen which was used to perform a cycling loading test. The study compared the initial stiffness, the attributes of the hysteretic behavior, and the maximum flexural moment, and observed whether the model acquired the seismic performance, compared to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steel moment frame connection that is required by the Korean Building Cod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connection produced a similar initial stiffness value to that of the theoretical equation, and its maximum strength exceeded the theoretical strength. Furthermore, the model with a larger ceiling bracket showed higher seismic performance, which was further increased by the reinforcement of the plate.

Interaction of 2-Hydroxyquinoxaline (2-HQ) on Soil Enzymes and Its Degradation: A Review

  • Gangireddygari, Venkata Subba Reddy;Bontha, Rajasekhar Reddy;Yoon, Ju-Ye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9-410
    • /
    • 2020
  • The United Nations project the world population to reach 10 billion by the year 2057. To increase the food of the ever-increasing world population, agrochemicals are indispensable tools to the boon in agriculture production. These agrochemicals are a serious threat to the health of humans, plants, and animals. Agrochemicals are ultimately reached to the main reservoir/sink such as soil and contaminating the groundwater, disturb the soil health and in turn a serious threat to biogeochemical cycling and the entire biosphere. Among agrochemicals, quinalphosis one of the most repeatedly and widely used insecticides in the control of a wide range of pests that attack various crops. Quinalphos is shown to be primarily toxic in organisms by acetylcholinesterase enzyme action. Hydrolysis of quinalphos produces amajor metabolite 2-hydroxyquinoxaline (2-HQ), which has shown secondary toxicity in organisms. 2-HQ is reported to be mutagenic, carcinogenic, growth inhibition and induce oxidative stress in organisms. Quinoline is a heterocyclic compound and structural resemblance of 2-HQ with minor changes, but its degradation studies are enormous compared to the 2-HQ compound. Biotic factors in fate and behavior of 2-HQ in the environment are least studied. 2-HQ interactions with soil enzymes are vary from soil to soil. Based on the toxicity of 2-HQ in our stockpile we need to isolate a handful of microorganisms to treat this persistent metabolite and also other metabolites/compounds.This brief review will be significant from the point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afety.

반복 하중을 받는 비내진 저층 RC 구조물의 외부 기둥-보 접합부의 거동 (Behavior of Non-seismic Detailed Low-Rise R/C Exterior Beam-to-Column Joint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 서만식;장준호;김영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9-118
    • /
    • 1999
  • 국내에서는 1988년부터 내진 규준이 시행되었으며, 따라서 그 이전에 지어진 저층 철근콘크리트 건물들은 내진 규준이 적용되지 않고 단지 축하중만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그러므로 약한 지진이 발생하여도 이러한 건물들은 심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진 규준이 시행되기 이전에 지어진 비내진 저층 철근콘크리트 모멘트 저항 골조의 지진 발생시 거동과 피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존재하는 비내진 건물 중 3층 철근콘크리트 라멘조 공공청사 건물의 외부 적합부를 교차보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2종류를 1/2의 실물크기로 제작하고, 횡방향 변위 제어로 반복하중을 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내진 접합부의 가장 큰 특징은 적합부내의 횡보강근이 없다는 것이다. 실험을 통하여 균열의 형태, 강도${\cdot}$강성의 저하, 에너지 소산 그리고 기둥과 보 부재의 철근 미끄러짐을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규정하고 있는 최대지반가속도인 0.12g크기의 횡방향 하중을 가력하였을 경우에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횡방향 하중을 0.12g이상으로 증가할수록 교차보가 없는 외부접합부에서 전단균열이 발생하였다.

ANXA2 Regulates the Behavior of SGC-7901 Cells

  • Sun, Meng-Yao;Xing, Rui-Huan;Gao, Xiao-Jie;Yu, Xiang;He, Hui-Min;Gao, Ning;Shi, Hong-Yan;Hu, Yan-Yan;Wang, Qi-Xuan;Xu, Jin-Hui;Hou, Ying-Ch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6007-6012
    • /
    • 2013
  • ANXA2, a member of the annexin family, is overexpressed and plays important roles in tumor development. However, the significance of ANXA2 expression in gastric carcinoma has not been clarified.To elucidate its roles in growth of gastric cancer, ANXA2 expression in SGC-7901 cells was inhibited with a designated siRNA, then cell proliferation, cell cycling, apoptosis and motility were determined by MTT assay, flow cytometry, Hoechst 33342 staining and wound healing assay, respectively. To further assess the behavior of ANXA2 deleted SGC-7901 cells, changes of microstructures were observed under fluorescence microscopy,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 and electron microscopy. We found that inhibition of ANXA2 expression caused cell proliferation to decrease significantly with G1 arrest, motility to be reduced with changes in pseudopodia/filopodia structure and F-actin and ${\beta}$-tubulin expression, and apoptosis to be enhanced albeit without significance. At the same time, ANXA2 deletion resulted in fewer pseudopodia/filopodia, non-stained areas were increased, contact inhibition among cells reappeared, and expression of F-actin and ${\beta}$-tubulin was decreased, with induction of polymerized disassembled forms.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ANXA2 overexpression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malignancy of cancer cells, and this member of the annexin family has potential to be considered as a target for the gene therapy of gastric carcinoma.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캐소드용 코발트-폴리아닐린-탄소로 구성된 비귀금속 촉매의 제조 및 특성 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n-precious Metal Co-PANI-C Catalyst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Cathodes)

  • 최종호
    • 전기화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2-58
    • /
    • 2013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상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 중의 하나인 가격 저감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백금 촉매를 대신할 비귀금속(non-precious metal) 촉매 제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귀금속 촉매의 합성은 산소환원반응(oxygen reduction reaction, ORR)의 활성점으로 알려져 있는 코발트-질소(Co-N)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질소를 포함하는 폴리아닐린(PANI)과 코발트염(Co precursor), 그리고 카본 블랙(C)을 일정한 비율대로 혼합한 후 특별한 열처리 과정 없이 단순한 화학적 환원법에 제조되었다. 제조된 Co-PANI-C 복합 촉매의 구조 분석을 위해 X-선 회절분석(X-ray diffraction, XRD)과 열중량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을 실시하였고, ORR에 대한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rotating disk electrode(RDE) 및 rotating ring disk electrode(RRDE)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Co-PANI-C 복합 촉매는 ORR반응에 대한 개시 전압은 백금 촉매보다 60 mV 밖에 낮지 않은 값을 보였지만,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환원 전류는 여전히 백금 촉매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이 밖에도 전극 회전 속도에 따른 ORR 특성 변화, 전압 사이클 회수에 따른 내구성 변화, 연료전지 적용 시 성능 변화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In-situ 스퍼터링을 이용한 잔고상 박막 전지의 제작 및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ll Solid-State Thin Film Micro-Battery by in-situ Sputtering)

  • 전은정;윤영수;남상철;조원일;신영화
    • 전기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5-120
    • /
    • 2000
  • 양극 물질로 산화바나듐 박막, 고체전해질로는 LiPON 박막 그리고 음극 물질로는 리튬 금속 박막을 선택하여 $Li/LiPON/V_2O_5/Pt$ 구조의 전고상 박막 전지를 제작하였고 전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산화바나듐 박막은 여러 산소 분압에서 직류 반응성 스퍼터링으로 증착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20\%\;O_2/Ar$비에서 가장 우수한 가역 특성을 나타내었다. 직류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산화바나듐 박막을 제작한 후 진공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r.f.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LiPON 고체전해질 박막을 증착하였다. 그 후 dry room내에서 진공 열증착법에 의해 리튬 금속 박막을 증착하여 전고상의 박막 전지를 제작하였다. $Li/LiPON/V_2O_5$ 박막 전지를 전압 범위와 전류 밀도를 변화시켜 충방전 시험을 행한 결과 $7{\mu}A/cm^2$의 전류 밀도와 3.6-2.7 V의 전압범위에서 가장 우수한 가역 특성을 나타내었다. $Li/LiPON/V_2O_5$박막 전지로 초시계를 구동 시켰으며 이는 in-situ공정에 의해 제작된 박막 전지가 소자 에너지원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산업용 밀폐형 니켈수소전지의 전극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de Fabric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Sealed Ni-MH Battery for Industrial Use)

  • 안양임;김세환;조진훈;김호성
    • 전기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89-296
    • /
    • 2008
  • 산업용 밀폐형 니켈수소전지에 사용되는 수산화니켈 및 수소저장합금 전극에 대해 반쪽전지 시험에 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대용량 밀폐형 니켈수소전지를 제작하여 전지의 충전 효율 및 내압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 실험은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에 따른 전지 내압 상승 억제를 목표로 수산화니켈 전극 및 수소저장합금 전극에 대해 전위주사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전위주사법 실험 결과, 수산화니켈 전극의 프로톤 산화 환원 반응 양태, 산소발생 거동, 그리고 수소저장합금 전극의 수소화 반응 특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산소 과전압이 높은 수산화니켈 분말과 수소 활성화 특성이 우수한 수소저장합금 분말을 사용하여 제작한 130 Ah 니켈수소전지의 충전 효율은 1 C 전류로 충전 시 98% 수준이 얻어 졌으며 과충전 시 전지 내압이 4 atm 이하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충방전 사이클에 의한 전지 보존 용량도 약 400 사이클에서 약 95% 수준으로 그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Withaferin A on A549 Cellular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Cai, Yong;Sheng, Zhao-Ying;Chen, Yun;Bai, Ch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4호
    • /
    • pp.1711-1714
    • /
    • 2014
  • Objective: To explore the effect of Withaferin A on A549 cellular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s and Methods: NSCLC cell line A549 was sele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Withaferin A on A549 cellular proliferation, apoptosis and the PI3K/Akt signal pathway capable of regulating tumor biological behavior by assessment of cellular proliferation, cellular apoptotic rates and cellular cycling as well as by immuno-blotting. Results: Withaferin A could inhibit A549 cellular proliferation and the control rate was dosage-dependent (P<0.05), which also increased time-dependently with the same dosage of Withaferin A (P<0.05). The apoptotic indexes in A549 cells treated with 0, 2.5, 5.0, 10.0 and 20.0 ${\mu}mol{\cdot}L^{-1}$ Withaferin A for 48 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addition, the apoptotic rates of each group in both early and advanced stages were higher than those in 0 ${\mu}mol{\cdot}L^{-1}$ (P<0.05), which were evidently higher after 48 h than those after 24 h (P<0.05). A549 cells treated by Withaferin A for 48 h were markedly lower in Bcl-2 level and obviously higher in Bax and cleaved caspase-3 levels than those treated by 0 ${\mu}mol{\cdot}L^{-1}$ Withaferin A (P<0.05),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5, 10 and 20 ${\mu}mol{\cdot}L^{-1}$ Withaferin A (P<0.05). The ratios of A549 cells treated by Withaferin A for 48 h in G0/G1 stage were higher than those in 0 ${\mu}mol{\cdot}L^{-1}$, while those in S and G2/M stages were obviously lower than those in G2/M st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5.0, 10.0 and 20.0 ${\mu}mol{\cdot}L^{-1}$ Withaferin A (P<0.05). Additionally, p-Akt/Akt values were in reverse association with dosage,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P<0.05). Conclusion: Withaferin A can inhibit the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A549 cells by suppressing activation of the PI3K/Akt pathways.

Nanolayered CuWO4 Decoration on Fluorine-Doped SnO2 Inverse Opals for Solar Water Oxidation

  • Cho, Ha Eun;Yun, Gun;Arunachalam, Maheswari;Ahn, Kwang-Soon;Kim, Chung Soo;Lim, Dong-Ha;Kang, Soon Hyung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82-291
    • /
    • 2018
  • The pristine fluorine-doped $SnO_2$ (abbreviated as FTO) inverse opal (IO) was developed using a 410 nm polystyrene bead template. The nanolayered copper tungsten oxide ($CuWO_4$) was decorated on the FTO IO film using a facile electrochemical deposition, subsequently followed by annealing at $500^{\circ}C$ for 90 min. The morphologies, crystalline structure, optical properties and photo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FTO and $CuWO_4$-decorated FTO (briefly denoted as $FTO/CuWO_4$) IO film were investigat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UV-vis spectroscopy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showing FTO IO in the hexagonally closed-pack arrangement with a pore diameter and wall thickness of about 300 nm and 20 nm, respectively. Above this film, the $CuWO_4$ was electrodeposited by controlling the cycling number in cyclic voltammetry, suggesting that the $CuWO_4$ formed during 4 cycles (abbreviated as $CuWO_4$(4 cycles)) on FTO IO film exhibited partial distribution of $CuWO_4$ nanoparticles. Additional distribution of $CuWO_4$ nanoparticle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FTO/CuWO_4$(8 cycles) IO film. The $CuWO_4$ layer exhibits triclinic structure with an indirect band gap of approximately 2.5 eV and shows the enhanced visible light absorption. The photoelectrochemical (PEC) behavior was evaluated in the 0.5 M $Na_2SO_4$ solution under solar illumination, suggesting that the $FTO/CuWO_4$(4 cycles) IO films exhibit a photocurrent density ($J_{sc}$) of $0.42mA/cm^2$ at 1.23 V vs. reversible hydrogen electrode (RHE, denoted as $V_{RHE}$), while the FTO IO and $FTO/CuWO_4$(8 cycles) IO films exhibited a $J_{sc}$ of 0.14 and $0.24mA/cm^2$ at $1.23V_{RHE}$,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can be explained by the increased visible light absorption by the $CuWO_4$ layer and the favorable charge separation/transfer event in the cascading band alignment between FTO and $CuWO_4$ layer, enhancing the overall PEC performance.

기생성 와편모류 Amoebophrya의 생리 생태적 특성과 적조 (Physiological Ecology of parasitic Dinoflagellate Amoebophrya and Harmful Algal Blooms)

  • 박명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3호
    • /
    • pp.181-194
    • /
    • 2002
  • 기생은 공생하는 두 생물사이에 한쪽(기생생물)은 이득을 얻는 반면에 다른 한쪽(숙주)은 해를 입는 관계를 말한다. 이러한 기생관계가 생물학적으로 적조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적조생물을 숙주로 하는 기생성 와편모류인 Amoebophrya spp.는 그 잠재력이 큰 것으로 오랫동안 주목받아 왔다. Amoebophrya spp.는 유독성 및 유해성 적조를 일으키는 종을 포함하여 24속 40여종 이상의 와편모류들을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생성 와편모류 Amoebophrya는 포자(dinospore)의 분산 및 감염 단계,감염 후 숙주 세포내에서 성장단계 (trophont), 그리고 숙주 세포 밖의 생식단계(vermiform) 등의 간단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분산 및 감염을 담당하는 dinospore는 각 숙주-기생생물 관계에 따라 감염능력, 생존능력 및 감염 성공률 등 서로 다른 생물학적 차별성을 보인다. 각 숙주기생생물 관계 기원 dinospores의 서로 다른 생물학적 특성, 교차 감염실험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결과 등으로 보아 Amoebophrya ceratil가 숙주 특이성이 없는 단일종이라는 이전의 주장보다는 아마도 숙주 특이성을 갖고 있는 여러 분류군으로 구성된 종 복합체 (species complex)라는 가설이 타당하다. 숙주 와편모류들은 기생성 와편모류 Amoebophrya에 의해 일단 감염되고 나면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생식능력을 잃고 모두 사망하게 되는데, 이 감염 과정동안 해당 플랑크톤 생태계에 대한 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독립영양성 와편모류들이 감염될 경우 그들의 광합성 능력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감염위치(핵 또는 세포질)에 따라서 영향받는 속도가 다르다. 이 기생성 와편모류에 의한 감염은 광주성 및 유영속도 등에 영향을 미쳐서 숙주 와편모류의 일주 수직이동 양상과 같은 동태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기생성 와편모류의 감염으로 인한 숙주의 사망은 자연 사망할 때보다 시간적으로 더 빨리 숙주로부터 다량의 유기물이 방출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생생물에 의한 감염은 감염기간 동안에도 숙주로부터 상당한 양의 용존 유기물이 인위적으로 방출되게 할 가능성이 있다. 기생생물에 감염시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숙주 와편모류의 생체량이 사망과 동시에 크기가 작은 수많은 포자들로 생물학적 전환이 일어나고, 이어서 이들 포자들은 섬모류 등의 포식자들에게 먹이로서 이용i소화될 수 있으므로, 숙주 와편모류가 지녔던 물질과 에너지가 미소생물고리내에서 보다 오랜기간 동안 머무를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숙주-기생생물 관계에 대하여 다양한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과 여타의 생물학적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연구는 플랑크톤 생태학과 적조역학에서 기생성 와편모류의 역할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