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ber Trend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7초

지리정보시스템과 관제시스템의 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서태웅;김창수;이재승;이철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703-709
    • /
    • 2011
  • 국가기반 인프라가 IT기반의 네트워크와 맞물려 이에 따른 해킹, 인터넷 침해, 테러 등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IT융합기술 시장의 확장에 따라 위험 대상의 범위 또한 광범위해져 가고 있다 최근 보안관제의 개념이 IT분야와 결합되어 사이버 보안관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기존 관제 시스템이 타 분야와 융합되어 그 활용 및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기반인프라가 되는 관제 시스템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융합기술과 접목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 및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관제 시스템 융합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CCTV 관제 분야', ITS를 도입해 운용하고 있는 '교통관제 분야', 다양한 기술들의 활용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재난관제 분야'로 정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GIS 등의 관련 시스템을 적용하고 향상된 융합 기술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도입에 의한 디자인 변화 연구 - 평면에서 가상공간으로 변화 - (A Study on the change of design by computer introduction - Change from plane space to Cyber Space -)

  • 오양순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83-92
    • /
    • 1998
  • 뉴 미디어의 발달로 현재 모든 분야가 바뀌어가고 있다. 산업혁명을 제1산업혁명이라면 현대의 20세기는 제2의 산업혁명기라고 일컫는다. 즉, 오토메이션 시스템(Automation System), 컴퓨터, 인공두뇌(Cybemetics)등에 의해 인간의 두뇌노동으로부터 해방시킨 혁명이라고 한다. 정보화시대와 기술혁명으로 디자인분야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전자화를 통한 제작시간과 효과를 극대화, 비용절감과 디자인의 차별화로 경쟁력을 꾀하고자 최첨단의 기능을 갖춘“컴퓨터”에 거의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의 표현매체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즉, 평면에서 이루어지던 디자인작업 및 표현매체가 이제는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표현되어지고 있다. 즉, 디자인분야에서 컴퓨터를 활용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되었고, 가상의 공간인 컴퓨터 화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흐름이 디자인 분야에 파급되므로 인하여 발생되어지는 영향과 그에 따른 문제점, 이점 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현대패션에 포함된 게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The Ways in which Clothes worn by Game Characters as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 이효진;양아랑
    • 복식
    • /
    • 제58권4호
    • /
    • pp.86-98
    • /
    • 2008
  • This study is purpo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ontemporary fashion and game characters' clothes and to analyze the formative property of the game characters' clothes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fashion.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is from 2004 to 2007 based on general online game ranks, while the game type is limited to 3D-online role playing game. The most popular clothes of game characters are analyzed and found to have imaginary, sensualistic, and cross-sexual features. These are also expressed as Cyber resistance image, Femme fatal image and Asexual image in the contemporary fashion. Firstly, the Cyber resistance image in the recent fashion is shown as belligerent, destructive and surrealistic image in contemporary fashion. Secondly, the Femme fatal image represents bewitching, brutal and narcissistic image with sleek materials and glowing colors in contemporary fashion. Thirdly, the Asexual image means the concept of sex as the neuter gender. Especially, this image has been introduced by simple and straight silhouette, black, silver, khaki colors in fashion. Accordingly, the clothes of game characters with the popularity and formative property have close correlation with contemporary fashion even if they do not pursue for practical creativity. In this respect, they can consolidate the position as a new fashion trend if they are developed with various design ideas.

사이버공간과 글로벌 공감사회 (The Global Empathetic Society in Cyber Space)

  • 서문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1-122
    • /
    • 2019
  • 국제지형에서 인터넷의 효과와 핵심쟁점을 이해하는 작업은 각국의 발전전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연구모델을 보다 심화시킬 수 있으며, 세계화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는 사이버 공간의 발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새로운 흐름을 결정하는 요인을 진단하기 위해 기존의 핵심요소인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하는 객관적인 접근에서 확장하여 정보화와 함께 사회문화적인 가치체계를 반영하는 통합적인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이버 공간을 통한 소통방식과 각국의 문화적 토대는 글로벌 공동체의 분권화를 향한 새로운 균형점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다원화된 네트워크 구조에서 온라인 공간에 참여하는 과정은 상호의존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자발적인 협력관계에 의해 기존 질서로부터 벗어나 역동적인 권력이동의 함수관계를 포함하며 글로벌 공감사회를 향한 중요한 과제를 안겨주는 것이다.

재택 근무를 위한 실내 공간의 유형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totype and Design Strategy for the Interior Space for the Home Office)

  • 문경하;김형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호
    • /
    • pp.69-75
    • /
    • 1999
  • The extensive coverage and high speed of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 basic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society, enables the provision of various forms of informatiov. especially, such services as cyber medicine, cyber education, home office, home banking, and home shopping will be common; and, now, no one can deny that the information society starts to be part of our life. Regarding home office, John Navigate predicted home office through the electronic house in New Mecca Trend and Alvin Toffler asserted in The third Wave that people could do their work anywhere including living room in their hoses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ther related appliances. Such predictions are realiz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v. Therefore, housing space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alization of home office and the direction of housing plan need to be set for home office.

  • PDF

Fileless cyberattack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 Lee, GyungMin;Shim, ShinWoo;Cho, ByoungMo;Kim, TaeKyu;Kim, Kyounggon
    • ETRI Journal
    • /
    • 제43권2호
    • /
    • pp.332-343
    • /
    • 2021
  • With cyberattack techniques on the rise, there have been increasing developments in the detection techniques that defend against such attacks. However, cyber attackers are now developing fileless malware to bypass existing detection techniques. To combat this trend, security vendors are publishing analysis reports to help manage and better understand fileless malware. However, only fragmentary analysis reports for specific fileless cyberattacks exist, and there have been no comprehensive analyses on the variety of fileless cyberattacks that can be encountered. In this study, we analyze 10 selected cyberattacks that have occurred over the past five years in which fileless techniques were utilized. We also propose a methodology for classification based on the attack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used in fileless cyberattacks. Finally, we describe how the response time can be improved during a fileless attack using our quick and effective classification technique.

사이버범죄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민간조사제도의 도입방안 (A study on the Private Investigator usage for Cyber Crime)

  • 신현주
    • 시큐리티연구
    • /
    • 제46호
    • /
    • pp.63-86
    • /
    • 2016
  • 이 연구는 기존의 수사체계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민간조사제도의 도입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최근 사이버 범죄의 경향은 인터넷 사기, 사이버 도박, 해킹 등 국경을 초월하여 더 복잡하고 정교하게 진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국가 수사기관에서는 고도의 전문적인 기술과 더불어 각국의 협력을 통한 수사방법을 총동원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성 부족, 전담 조직의 분산 및 관련 법제도의 미흡 등으로 인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미 외국에서는 국가가 직접 행하는 것이 비능률적인 탐지 및 추적 업무 등은 전문성을 지닌 민간조사원에게 용역을 주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현 문제점을 보완하고, 사이버 범죄에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협력 치안의 동반자로서 민간조사제도 도입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사이버범죄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방안으로써 국가와 민간의 파트너쉽 치안서비스의 의의 및 민간조사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의미를 재평가한다. 그리고 제도의 도입과 관련한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도입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도록 한다. 먼저, 파트너쉽 치안 서비스 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민간조사제도의 법제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민간조사원의 업무 범위 확립과 신뢰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전문적인 국제 자격증 취득 및 충분한 교육과 시험을 걸친 면허 제도의 도입을 제언하는 바이다. 민간조사제도의 도입을 통해 수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사이버범죄의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도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가상대학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Cyber University)

  • 최성;유갑상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1998년도 제13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6-127
    • /
    • 1998
  • The Necessity of Cyber University. With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global economics, the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also, has been, encountering various changes. Popularization on higher education related to 1lifetime education system, putting emphasis on the productivity of education services and the acquisition of competitiveness through the market of open education, the breakdown of the ivory tower and the Multiversitization of universities, importance of obtaining information in the universities, and cooperation between domestic and oversea universities, industry and educational system must be acquired. Therefore, in order to adequately cope wi th these kinds of rapid changes in the education environment, operating Cyber University by utilizing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its fixations such as Internet, E-mail, CD-ROMs, Interact ive Video Networks (Video Conferencing, Video on Demand), TV, Cable etc., which has no time or location limitation, is needed. Using informal 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especially the Internet is expected to Or ing about many changes in the social, economics and educational area. Among the many changes scholars have predicted, the development and fixations of Distant Learning or Cyber University was the most dominant factor. In the case of U. S. A., Cyber University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nd in under operation by the Federate Governments of 13 states. Any other universities (around 500 universities has been opened until1 now), with the help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citizens have been able to partly operate the Cyber University and is planning on enlarging step-by-step in the future. It could be seen not only as U. S. A. trying to elevate its higher education through their leading information technologies, but also could be seen as their objective in putting efforts on subordinating the culture of the education worldwide. UTRA University in U. S. A., for example, is already exporting its class lectures to China, and Indonesia regions. Influenced by the Cyber University current in the U.S., the Universities in Korea is willing .to arrange various forms of Cyber Universities. In line with this, at JUNAM National University, internet based Cyber University, which has set about its work on July of 1997, is in the state of operating about 100 Cyber Universities. Also, in the case of Hanam University, the Distant Learning classes are at its final stage of being established; this is a link in the rapid speed project of setting an example by the Korean Government. 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has selected 5 universities, including Seoul Cyber Design University for experimentation and is in the stage of strategic operation. Over 100 universities in Korea are speeding up its preparation for operating Cyber University. This form of Distant Learning goes beyond the walls of universities and is in the trend of being diffused in business areas or in various training programs of financial organizations and more. Here, in the hope that this material would some what be of help to other Universities which are preparing for Cyber University, I would 1ike to introduce some general concepts of the components forming Cyber University and Open Education System which has been established by JUNAM University. System of Cyber University could be seen as a general solution offered by tile computer technologies for the management on the students, Lectures On Demand, real hour based and satellite classes, media product ion lab for the produc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s, electronic library, the Groupware enabling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Arranging general concepts of components in the aspect of Cyber University and Open Education, it would be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establishment of Cyber University and the service of Open Education as can be seen in the diagram below.

  • PDF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이익조정 연구동향 토픽모델링 (Topic Modeling of Profit Adjustment Research Trend in Korean Accounting)

  • 김지연;나홍석;박경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5-139
    • /
    • 2021
  • 본 연구는 이익조정을 연구주제로 국내 회계학 관련 논문들의 세부 연구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회계학 또는 경영학에 속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초록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익조정 관련 회계학 논문들이 감사 및 감사보고서, 법인세 및 부채비율, 기업의 전반적인 경영전략, 재무제표와 회계기준의 4가지 연구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재무제표와 회계기준이 주된 토픽일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감사가 가장 많이 연구된 토픽으로 분석되었다. 이어 토픽별 논문 수를 기준으로 토픽 트렌드를 확인하고 특이사항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K-IFRS의 도입이 이익조정 연구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익조정에 대한 자세한 연구 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회계학 문헌분석 연구방법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책결정자 및 기업 실무 담당자가 이익조정 관련하여 회계기준 외에 감사 등 4개 토픽별로 추가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그 추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SCORM 기반의 온라인 교육 IT 표준 컨텐츠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IT Standard Contents for On-line Education Based on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 최혜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3호
    • /
    • pp.7-14
    • /
    • 2008
  •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정보통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시간과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정보통신 전문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을 통하여 교육 수요자 측면에서의 열린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원격 교육 컨텐츠의 표준화 모델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정보통신 관련 컨텐츠의 표준 모형을 제시하여, 사이버대학의 정보통신 교과목 컨텐츠 제작과 운영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정보통신 교과목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사이버대학 및 사이버 교육 기관의 정보통신 관련 컨텐츠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이버 교육 컨텐츠 제작에 관한 국제 표준화 활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정보통신 교과목의 컨텐츠 표준모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