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ber Security Assessment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2초

해사 사이버보안 동향 분석 및 해사 사이버보안 시스템 구축 (Maritime Cyber Security Status and Establishment of Maritime Cyber Security System)

  • 안종우;임정규;박개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32
    • /
    • 2019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선박 내 시스템 간 또는 선박과 육상 시설 간의 정보 교환 및 통신이 용이하게 되어 업무 효율이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사와 선박의 업무 환경의 변화는 회사 및 선박의 시스템으로의 비인가된 접근 또는 악성코드 감염과 같은 사이버보안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어 안전, 환경 및 상업적으로 중대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증가하는 사이버위헙을 식별하고 대응하기 위하여 사이버 리스크 기반 접근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해사 사이버보안 동향을 분석하고 해상 사이버보안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망분리 네트워크 상황에서 사이버보안 취약점 실시간 보안관제 평가모델 (Real-time security Monitroing assessment model for cybersecurity vulnera bilities in network separation situations)

  • 이동휘;김홍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5-53
    • /
    • 2021
  • 망분리 네트워크에서 보안관제를 할 경우 내부망 또는 위험도가 높은 구간에서는 평시 이상징후 탐지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보안 네트워크 구축 후 최적화 된 보안구조를 완성하기 위해서 망분리된 내부방에서의 최신 사이버 위협 이상징후를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일반 네트워크와 망분리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사이버 취약점과 악성코드를 데이터셋으로 발생시켜 평가하여, 망분리 내부망 사이버 공격에 위협 분석 및 최신 사이버 취약점을 대비 할 수 있게 하고, 특성에 맞는 사이버 보안 테스트 평가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실제 망분리 기관에 적용 가능한 평가모델을 설계 하고, 테스트 망을 각 상황별로 구축하여 실시간 보안관제 평가 모델을 적용하였다.

사이버안전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on Public Awareness of Cyber Security)

  • 윤영선;안개일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7-9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안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인터넷 사용 환경의 파악, 국민들이 노출되기 쉬운 사이버 위협, 불안감을 느끼는 분야, 건전성을 해치는 콘텐츠 등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국민들이 많이 노출되었다고 생각하는 사이버위협과 불안정도가 높은 사이버위협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인터넷 사용 환경, 불건전 콘텐츠에 대한 생각, 예방주체 및 방법 등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는 사이버안전 분야의 융합 연구 아이템을 기획할 때 참조해야할 요구사항을 도출할 수 있도록 그 결과를 분석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Cyber Security Risk Evaluation of a Nuclear I&C Using BN and ET

  • Shin, Jinsoo;Son, Hanseong;Heo, Gyun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517-524
    • /
    • 2017
  • Cyber security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field of nuclear engineering because nuclear facilities use digital equipment and digital systems that can lead to serious hazard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Regulatory agencies worldwide have announced guidelines for cyber security related to nuclear issues, including U.S. NRC Regulatory Guide 5.71. It is important to evaluate cyber security risk in accordance with these regulatory guid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cyber security risk evaluation model for nuclear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s using a Bayesian network and event trees. As it is difficult to perform penetration tests on the systems, the evaluation model can inform research on cyber threats to cyber security systems for nuclear facilities through the use of prior and posterior information and backpropagation calculations. Furthermore, we suggest a methodology for the application of analytical results from the Bayesian network model to an event tree model, which is 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method. The proposed method will provide insight into safety and cyber security risks.

사이버공격에 의한 사이버공간 전투피해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Method of Battle Damage in Cyberspace by Cyberattacks)

  • 장원구;이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447-1461
    • /
    • 2019
  • 전쟁수행 간 선정된 표적에 대한 공격 실행 후 전투피해를 평가하는 것은 현대전에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이버공격에 따른 전투피해평가 방안은 제한적인 상황 하에서 가능한 방법들만이 제안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투평가 이론상의 전투피해평가 방법에 근거하여 군사적으로 적용 가능한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전투피해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이버공간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사이버 표적을 분류하고 이를 대상으로 기존의 전투피해평가 방법인 물리적 피해평가, 기능적 피해평가, 표적체계 평가 외 데이터 피해 평가, 사회인식적 피해 평가, 파생적 피해평가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과거의 실제 사이버 공격 사례에 적용이 가능함을 예시하였다.

AHP와 TOPSIS 융합 방법론을 이용한 국가 사이버 역량 강화 방안 (The Enhancement Strategy on National Cyber Capability Using Hybrid Methodology of AHP and TOPSIS)

  • 배선하;박상돈;김소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3-55
    • /
    • 2015
  • ICT가 사회 주요 기반 구조로 자리매김 함에 따라 사이버 역량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효과적인 사이버 역량 평가 방법론이 존재하지 않아 우리나라의 사이버 역량을 평가하고, 이에 기반한 역량 강화 방안 마련이 어려운 실정이다. 사이버 역량 평가는 우리의 사이버 역량 실태를 점검하여 정책 방향 수립에 활용하고 효과적인 예산 편성을 위한 근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사이버 역량 평가 항목이 다양하고, 각 항목의 판단 척도가 상이하여 의사 결정자가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AHP와 TOPSIS를 융합한 사이버 역량 평가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AHP는 다양한 평가 항목간의 중요도 판별에 활용하고, TOPSIS는 평가 대상국 간의 순위 판별에 활용하였고, 가상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요 4개국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사이버 평가 방법론은 AHP를 이용한 사이버 평가에 비해 평가 항목과 평가 대상국의 확장이 가능하고, 보다 정교한 수학적 기반을 통해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the framework for quantitative cyber risk assessment in nuclear facilities

  • Kwang-Seop Son;Jae-Gu Song;Jung-Woon L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6호
    • /
    • pp.2034-2046
    • /
    • 2023
  • Industrial control systems in nuclear facilities are facing increasing cyber threats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To implement cyber security programs effectively through the RG 5.71, it is necessary to quantitatively assess cyber risks. However, this can be challenging due to limited historical data on threats and customized Critical Digital Assets (CDAs) in nuclear facilities. Previous works have focused on identifying data flows, the assets where the data is stored and processed, which means that the methods are heavily biased towards information security concerns. Additionally, in nuclear facilities, cyber threats need to be analyzed from a safety perspective. In this study, we use the system theoretic process analysis to identify system-level threat scenarios that could violate safety constraints. Instead of quantifying the likelihood of exploiting vulnerabilities, we quantify Security Control Measures (SCMs) against the identified threat scenarios. We classify the system and CDAs into four consequence-based classes, as presented in NEI 13-10, to analyze the adversary impact on CDAs. This allows for the ranking of identified threat scenarios according to the quantified SCMs. The proposed framework enables stakeholders to more effectively and accurately rank cyber risks, as well as establish security and response strategies.

전투기 감항 보안 인증을 위한 위험기반 보안위협 평가 프로세스 설계 (A Design of Risk-Based Security Threat Assessment Process for Fighter-Aircraft Airworthiness Security Certification)

  • 김현주;강동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6호
    • /
    • pp.223-234
    • /
    • 2019
  • 첨단 무기체계들이 고도로 연동되어 수행되는 네트워크 중심전에서는 사이버 공격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커다란 위협으로 대두되었다. 또한 최신예 전투기로 발전할수록 증가하는 소프트웨어 의존도는 사이버 공격에 대한 전투기 소프트웨어의 강화된 보안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감항 보안 인증 표준인 DO-326A를 적용함에 있어 전투기의 특성 및 운용환경을 반영하여 위험기반 보안위협 평가 프로세스를 설계한다. 이를 위하여 DO-326A의 감항 보안 인증 프로세스의 보안위협 평가 단계에서 전투기 보안위협을 도출하고 사이버 공격의 발생 가능성과 전투기에 미치는 영향력의 관점에서 위협을 점수화하며 보안위험 심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적용한다.

FLORA: Fuzzy Logic - Objective Risk Analysis for Intrusion Detection and Prevention

  • Alwi M Bamhd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5호
    • /
    • pp.179-192
    • /
    • 2023
  • The widespread use of Cloud Computing, Internet of Things (IoT), and social media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ield has resulted in continuous and unavoidable cyber-attacks on users and critical infrastructures worldwide. Traditional security measures such as firewalls and encryption systems are not effective in countering these sophisticated cyber-attacks. Therefore, Intrusion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s (IDP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risk to an absolute minimum. Although IDPSs can detect various types of cyber-attacks with high accuracy, their performance is limited by a high false alarm rate. This study proposes a new technique called Fuzzy Logic - Objective Risk Analysis (FLORA)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false positive alarm rates and maintain a high level of security against serious cyber-attacks. The FLORA model has a high fuzzy accuracy rate of 90.11% and can predict vulnerabilities with a high level of certainty. It also has a mechanism for monitoring and recording digital forensic evidence which can be used in legal prosecution proceedings in different jurisdictions.

Towards Cyber Security Risks Assessment in Electric Utility SCADA Systems

  • Woo, Pil Sung;Kim, Balho H.;Hur, Do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888-894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unified model based assessment framework to quantify threats and vulnerabilities associated with control systems, especially in the 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In the past, this system was primarily utilized as an isolated facility on a local basis, and then it started to be integrated with wide-area networks as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would make rapid progress. The introduction of smart grid, which is an innovative application of digital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to the power grid, might lead to more and more cyber threats originated from IT systems. However, an up-to-date power system often requires the real-time operations, which clearly implies that the cyber security would turn out to be a complicated but also crucial issue for the power system. In shor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reamlin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ioritizing cyber security risks which are expressed by the combination of threats, vulnerabilities, and values in the SCADA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