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tting media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5초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활용한 서브버시브 베이식(subversive basics) 패션의 특성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versive Basic Fashion Utilizing Text Mining Techniques)

  • 임민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5호
    • /
    • pp.78-92
    • /
    • 2023
  • Fashion trends are actively disseminated through social media, which influences both their propagation and consumption. This study explored how users perceive subversive basic fashion in social media videos, by examining the associat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tyle's social media dissemination were identified and its distinctive features were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80 keywords were selected for semantic network and CONCOR analysis. TF-IDF and N-gram results indicate that subversive basic fashion involves transformative design techniques such as cutting or layering garments, emphasizing the body with thin fabrics, and creating bold visual effects. Topic modeling suggests that this fashion forms a subculture that resists mainstream norms, seeking individuality by creatively transforming the existing garments. CONCOR analysis categorized the style into six groups: forward-thinking unconventional fashion, bold and unique style, creative reworking, item utilization and combination, pursuit of easy and convenient fashion, and contemporary sensibility. Consumer actions, linked to social media, were shown to involve easily transforming and pursuing personalized styles. Furthermore, creating new styles through the existing clothing is seen as an economic and creative activity that fosters network formation and inter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addresses language expression limitations and subjectivity issues in fashion image analysis, revealing factors contributing to content reproduction through user-perceived design concepts and social media-conveyed fashion characteristics.

서향의 삽목번식 방법과 실내도입을 위한 광, 토양에 관한 연구 (Rooting Performance Using Cuttings and Analysis of Light and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Indoor Plants of Winter Daphne (Daphne odora Thunb))

  • 노나영;고호철;허온숙;강만정;오세종;허윤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6-351
    • /
    • 2011
  • 본 실험은 자생식물인 서향의 실내 분화로의 도입을 위해 대량 번식 및 광, 토양 조건 구명 실험을 수행하였다. 서향의 대량 번식을 위해 적합한 삽목 상토, 발근촉진제의 농도, 삽목 시기를 찾는 실험을 하였고, 실내로 도입하기 위해 인공광 처리(100, 1000, 2500lux)와 분화상토처리(원예용 혼합상토(바로커), 펄라이트 + 원예상토(1 : 1), 송이 + 원예상토(1 : 1), 마사토 + 원예상토(1 : 1), 모래 + 원예상토(1 : 1))를하였다. 삽목 상토 선발하기 위해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 혼용(1 : 1), 원예용상토 처리를 한 결과에서는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 혼용(1 : 1)처리 구에서 발근율이 93.3% 가장 우수하였다. 발근촉진제를 농도별로는 루톤과 IBA 100ppm 처리에서 뿌리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녹지삽 시기는 7월에 하는 것이 발근율이 96.7%로 우수하였다. 화분 이식 후 1000lux 이상의 광 조건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분화용 상토로는 제주 송이와 원예용 상토를 혼합한 토양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물배지의 종류 및 첨가물의 농도가 후피향나무 삽목묘의 발근 및 이식 후 활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of Water Media and Concentration of Additives on Rooting and Survival of Ternstroemia japonica after Transplanting Cuttings)

  • 강현우;김민수;김동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41-152
    • /
    • 2011
  • 물을 배지로 하는 삽목은 토양을 배지로 하는 삽목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관리가 용이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물배지에서 발근이 되는 수종이 아주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물배지 삽목은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물배지에서는 삽수의 생존율은 높으나 발근이 잘 되지 않고 캘러스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가 형성된 삽목묘가 토양에 정식된 후 발근되어 활착할 수 있다면 물배지 삽목도 조경수의 주요한 번식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물배지 내에서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후피향나무의 삽수를 여러 종류의 물 배지에 침적시킨 후 캘러스의 형성과 발근상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물배지 삽목묘를 토양에 이식한 후, 활착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만 형성된 삽목묘도 정식 후 발근되어 활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 형성 상태가 양호한 삽목묘일수록 정식 후 활착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물배지 내에서 발근된 삽목묘는 정식 후 96. 6%의 높은 활착율을 나타내었다. 4. 후피향나무의 물배지 삽목 시기는 7월말이나 8월말이 6월말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IBA 50ppm24시간 침적 처리한 처리구가 IBA전 처리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정식 후 활착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6. IBA 50ppm 24시간 침적 처리하고 아토닉 오천배액, 포리옥신 오천배액, 포리옥신 일만배액에서 물배지 삽목한 삽목묘는 80~85%의 발근 활착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물배지 삽목은 삽수의 발근율은 낮지만 삽목시기와 식물호르몬처리, 물배지의 선정을 적절하게 하면 높은 발근 활착율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물배지 삽목은 소량 다품종 생산을 필요로 하는 조경수의 주요한 번식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고려인삼의 영양번식에 관한 연구 제2보 합성 Auxin의 처리가 인삼경삽수의 발근 및 발근후 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Vegetative Propagation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I. Effects of Synthetic Auxins on the Rooting and the Root Growth after Rooting from Ginseng Stem Cutting.)

  • 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04-508
    • /
    • 1983
  • 본 실험은 인삼경의 삽목시 발근 및 발근후 근의 비대생장에 미치는 합성 Auxin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묘삼 및 2년생 인삼의 경삽후 NAA, IBA를 각각 0.5, 1.0 및 2.0ppM 그리고 2.4-D는 1.0ppM을 처리하였다. 경삽후 발근된 근은 초기에는 모두 반투명의 수염 뿌리였으나 경삽 120일 후에 조사하였던 바 이들 수염 뿌리 중 3-4개는 비대하여 본질 화되었고, 나머지는 없어졌다. IBA가 발근 및 발근후의 근비대 생장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바 IBA 2.0ppM 처리구에서는 85%의 삽수가 2.0mm이상의 비대근을 형성하였으며 67%의 삽수는 3.0mm이상의 비대근을 형성하였다. 이들 본질 화된 비대근은 종자근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것과 callus 모양의 구형근 3-4개가 서로 유착된 두 가지의 형태였으며 익년 7월까지도 근은 건조되거나 죽지 않았던 반면 뇌두도 형성되지 않았다.

  • PDF

희귀식물(稀貴植物) 눈측백나무(Thuja koraiensis Nak.)의 삽목증식(揷木增殖) (Propagation by Cutting Method of Korea Rare Endemic Thuja koraiensis Nak.)

  • 송정호;이정주;구영본;이갑연;한상돈;양병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393-397
    • /
    • 2006
  • 눈측백나무(Thuja koraiensis Nak.)는 중국 동북부와 한반도의 고산지대에서만 자라는 상록성 소관목으로서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으며, 세계자연보존연맹(IUCN) 적색목록에 DD(data deficient)로 등재되어 있다. 세계적 희귀수종인 눈측백나무의 유전자원보존을 위한 삽목증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목시기, 상토 및 생장 조절제의 종류별 농도에 따른 발근특성을 조사하였다. 삽목 발근율은 삽목시기,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종류 및 농도에서 각각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삽목증식은 4~5월 숙지삽목이 적정시기로 판단되었으며, 발근율과 발근특성을 고려한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종류 및 농도는 IAA 1000 mg/l와 NAA 500mg/l로 처리하는 것이 캘러스 형성율이 높고 발근이 촉진(발근율: 100%)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눈측백나무는 5월 삽목의 경우 무처리에서도 93% 이상의 높은 삽목 발근율을 보여 본 연구 결과는 눈측백나무의 유전자원 보존 및 증식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Choosing a culture medium for SCNT and iSCNT reconstructed embryos: from domestic to wildlife species

  • Cordova, A.;King, W.A.;Mastromonaco, G.F.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11호
    • /
    • pp.24.1-24.14
    • /
    • 2017
  • Over the past decades, in vitro culture media have been developed to successfully support IVF embryo growth in a variety of species. Advanced reproductive technologies, such as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challenge us with a new type of embryo, with special nutritional requirements and altered physiology under in vitro conditions. Numerous studies have successfully reconstructed cloned embryos of domestic animals for biomedical research and livestock production. However, studies evaluating suitable culture conditions for SCNT embryos in wildlife species are scarce (for both intra- and interspecies SCNT).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derive from previous IVF work done in conventional domestic species. Extrapolation to non-domestic species presents significant challenges since we lack information on reproductive processes and embryo development in most wildlife species. Given the challenges in adapting culture media and conditions from IVF to SCNT embryos, developmental competence of SCNT embryos remains low. This review summarizes research efforts to tailor culture media to SCNT embryos and explore the different outcomes in diverse species. It will also consider how these culture media protocols have been extrapolated to wildlife species, most particularly using SCNT as a cutting-edge technical resource to assist in the pre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Teacher Perception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Cutting Edge Technologies in Rural Public Schools: Focusing on Tablet PCs, e-Whiteboards, and Fastel

  • SUNG, Eunmo;JIN, Sunghe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2권1호
    • /
    • pp.95-124
    • /
    • 2011
  • Teachers' perception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new technologies can be dealt with a critical factor for enhanc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using new technologies in education.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cutting edge technologies established through a government-driven educational agenda, "The rural public school model", To achieve this purpose, e-survey was conducted for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TPCs, e-Whiteboards, and Fastel according to teachers' working areas, school levels, teaching experiences, and training experiences. Participants were 1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le:62, female:61) and 66 middle school teachers (male:37, female:29) who are working in the rural public model schools (Gyeonggi: 29, Chungcheong: 12, Jeolla: 30, Gyeongsang: 88, Gangwon: 22, Jeju: 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levels; second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TPCs and Fastel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were not shown; thirdly,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according to their training experiences were meaningfu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ree new technologies,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in order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for using the technologies.

OTT 서비스 진화와 유료방송 생태계 변화 (Evolution of OTT Service and Changes of Pay TV Industry)

  • 도준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43-149
    • /
    • 2022
  • OTT 서비스의 확산은 기존 미디어 산업의 가치 사슬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범용 인터넷에 기반을 둔 OTT 서비스는 유료방송 플랫폼 사업자의 강점인 소비자와 접점 확보 능력을 무력화시키며 압도적인 마케팅 능력으로 가입자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OTT 서비스 확산이 미국의 미디어 시장과 유료방송 산업의 변화를 살펴보고 미디어 기업의 변화하는 전략을 분석하였다. OTT의 확산으로 고가의 미국 유료방송 시장은 코드 커팅과 코드 쉐이빙을 경험하며 가입자 규모가 축소되었다. OTT 사업자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능력과 신작 영화의 배급 창구에서 OTT는 극적인 우세를 보이며 기존의 미디어 시장을 재편하고 있다. 최근 미디어 기업의 인수 합병 사례를 살펴보면 OTT 서비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향후 미디어 산업은 OTT를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될 것이며 기존 미디어 산업 가치사슬의 모든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 중요하다.

Propagation of Three Rubus Species Native to Korea by Stem Cutting

  • Cheong, Eun J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73-175
    • /
    • 2018
  • Stem cuttings of three Rubus species native to Korea were treated by two commercial root stimulation formula for propagation. Differences among the species was obvious, toot was induced relatively easily on R. hongnoensis. Fifty percent of stem rooted without any treatment on this species and two stimulators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root induction. On the other hand, two other species, R. schizostylus and R. ribisoideus, had very low percent of rooting. Treatment using root stimulators was effective but still lower than that of R. hongnoensis. Root induction was not influence by the medium that resulted no differences between two media.

Root Induction and Propagation of Sedum takesimense Nakai Using Leaf Cutting Method

  • Cheong, Eun J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50-52
    • /
    • 2018
  • The effect of basal nutrients concentrations and exogenous auxin for root induction from leaves of Sedum takesimense were investigated for mass-propagation. Root induc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centrations of basal salts but not influenced by supplemented IBA in the medium. The lowest concentration of MS basal salts (1/10) was most effective to induce roots from leaves followed 1/5 MS, and 1/2 and full strength MS medium. Supplement of IBA $10{\mu}M$ in the medium did not improve the root induction that resulted no differences compare to the hormone free media. Rooted leaves were transplanted in soil and survived in green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