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s clearance data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의 무역자동화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rade Automation in Korea)

  • 전재경;이재승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139-150
    • /
    • 1998
  • 과학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그리고 컴퓨터의 폭넓은 보급으로 지금까지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던 제반 서류전달 및 서류결재가 컴퓨터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하거나 수행할 수있도록 하는 공장자동화(Factory Automaton : FA), 그리고 사무자동화(Office Automation : OA)로 발전하였으며 이러한 기술을 무역업무에 적용시키는 무역의 사무자동화(Trade Automation : TA)에 무역업계와 무역관련기관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의 무역자동화에 관한 현황을 고찰함으로서 EDI의 효용성과 가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대중국 전자상거래 해상운송 기종점 분석 (An Analysis of Maritime E-commerce Transpor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 신성호;정현재;이동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93-112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과의 전자상거래 교역에 해상으로 운송되는 화물의 흐름을 분석하고 지역별/품목별로 화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중국으로의 전자상거래 수출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종점 분석 및 시각화 기법을 활용하여 2015년부터 2018년 1분기까지 해상운송을 이용한 대(對)중국 전자상거래 수출입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중국과 해상특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인천항에서 가장 많은 대(對)중국 전자상거래 화물이 수입되고 있었으며, 평택항의 경우,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전자상거래 화물이 다시 인천세관으로 운송되어 통관 절차를 거치는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음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최종 배송지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전자상거래 수입의 경우와는 달리, 해상을 통해 중국으로 수출되는 전자상거래 제품들은 배송대행업체 및 포워더 업체들이 밀집된 서울과 경기지역에만 국한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자상거래 수입과는 달리, 해상을 통해 수출되는 전자상거래 품목은 주로 의류와 화장품류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수출 규모 역시 수입에 비해 적게 나타나고 있다. 해상을 통한 대(對)중국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방안으로는 전자상거래 환적을 통해 중국으로의 수출 제품 다변화로 수출 화물량을 증가시키는 방안과 더불어, 중국과의 전자상거래 운송에 콜드체인(cold chain)을 구축하여 수출품의 다변화를 도모하는 방안이 도출되었다.

우리나라 컨테이너 물류 정보 교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Exchange in Container Cargo Logistics)

  • 박남규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1-103
    • /
    • 1994
  • Increasing costs and competition in the global trade and transportation arena have led to a search for effient, cost-effective, particularly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Most recently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Data Interchange(EDI) technologies in both trading and trade facili-tation activitiess have bagun to change the complextion of the international transport space. Korea as well as the other developing countries has become aware of the need to embrace EDI strate-gies in order to maintain a competitive market position with their more technologically advanced neighbou-ring and international trading partners. A way of EDI implementation, KMPA has invested large budgets in the research of the EDI since 1990. As the result of study in EDI of transport, KL-Net(Korea Logistics Network) was organized for the EDI business in cargo logistics. In spite of these KMPA's activities, the development plan of container logistics data interchange is not good and useful. So a new model of EDI in transportation is required by using the concepts of cargo data shar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new way of container logistics data interchange model. This paper therefore analyze the information flow in the current container logistics and find the problem in the area to derive a new model.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paper : (1) There are many problems and user's requirements in container logistics data interchange in Korea. (2) Many messages of UN/EDIFACT are able to be used in container logistics data interchange. (3) The container cargo data are stored in Container Logistics Network(CL-Net) database. And when necessary by requesting message transmission, the container logistics data interchange is possible. (4) Customs cargo clearance system and PORT-MIS can be linked to CL-Net. If the systems, however, are to introduce EDI in data interchange, the quality of user's software has to be assured.

  • PDF

대행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해외 패션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구매 경험자와 무경험자의 차이 연구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Purchasing foreign fashion Goods through Korean Internet Shopping Mall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Purchasers and Non-purchasers)

  • 박혜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92-903
    • /
    • 2003
  • Korean Internet shopping malls, which provide customers not only with convenient shopping experiences but also with purchasing, warehousing, shipping, and customs clearance services, have been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rapidly transforming Korean consumers into global consumers especially in purchasing fashion goods. Utilizing Ajzen and Fishbein(1980)'s Behavioral Intention Model, which postulates that behavioral intention is determined by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this study identifie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purchasing foreign fashion goods through Korean Internet shopping malls and the differences of behavioral intentions according to consumers’purchasing experiences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s. The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and 222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cross tabulation, and $\chi$$^2$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urchasers had more favorable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and higher behavioral intentions than non-purchasers. With respect to attitu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ral beliefs and evaluation of outcomes for the variety and scarcity value factor. With respect to subjective nor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rmative beliefs and motivation to comply toward friends, people who had purchasing experiences, fashion magazines. and celebrities between the two groups.

한-아세안 FTA 상품무역의 물류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ogistics Performance on the Trade of Goods in the Korea-ASEAN FTA)

  • 안태건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45-160
    • /
    • 2021
  • 본 연구는 국제무역에 있어서 물류규제와 물류역량에 대한 물류업계 종사자들의 평가지표라 할 수 있는 물류성과지표를 활용하여 한국과 아세안 FTA의 상품무역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World bank에서 발표한 물류성과지표는 관세통관, 물류인프라, 선적의 용이성, 물류서비스, 운반의 적시성, 물품추적역량의 6가지 세부항목과 총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류성과지표를 관측변수로 하여 페널데이터 중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물류성과지표의 총점과 세부항목 모두 상품무역량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과 아세안 양국교역 증대를 위해 물류비용을 현실화하고 물류 규제를 철폐하며, 물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차원축소를 활용한 해외제조업체 대상 사전점검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Preliminary Inspection Prediction Model to select the on-Site Inspected Foreign Food Facility using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 박혜진;최재석;조상구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121-142
    • /
    • 2023
  • 수입식품의 수입 건수와 수입 중량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식품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수입식품의 안전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통관단계의 수입검사와 더불어 통관 전 단계인 해외제조업소에 대한 현지실사를 시행하고 있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한정된 자원 등의 제약으로 데이터 기반의 수입식품 안전관리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지실사 전 부적합이 예상되는 업체를 사전에 선별하는 기계학습 예측 모형을 마련하여 현지실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식품안전정보망에 수집된 총 303,272건의 해외제조가공업소 기본정보와 2019년도부터 2022년 4월까지의 현지실사 점검정보 데이터 1,689건을 수집하였다. 해외제조가공업소의 데이터 전처리 후 해외 제조업소_코드를 활용하여 현지실사 대상 데이터만 추출하였고, 총 1,689건의 데이터와 103개의 변수로 구성되었다. 103개의 변수를 테일유(Theil-U) 지표를 기준으로 '0'인 변수들을 제거하였고, 다중대응분석(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을 적용해 축소 후 최종적으로 49개의 특성변수를 도출하였다. 서로 다른 8개의 모델을 생성하고, 모델 학습 과정에서는 5겹 교차검증으로 과적합을 방지하고, 하이퍼파라미터를 조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현지실사 대상업체 선별의 연구목적은 부적합 업체를 부적합이라고 판정하는 확률인 검측률(recall)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머신러닝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Recall_macro, AUROC, Average PR, F1-score, 균형정확도(Balanced Accuracy)가 가장 높은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모델이 가장 우수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모델에 의해서 평가된 개별 인스턴스의 부적합 업체 선정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을 적용하고 현지실사 업체 선정 시스템에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위험관리 모델을 통해 수입식품 관리체계의 구축으로 인력·예산 등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운영방안 마련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전자무역에서 구매자와 판매자의 역할분석 (An Analysis the Role between the Buyer and Seller in the Field of e-Trade)

  • 이주원
    • 통상정보연구
    • /
    • 제7권3호
    • /
    • pp.195-212
    • /
    • 2005
  • International trade has been changed from traditional trade to e-trade due to the fast expanding of information technology like e-marketplace,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using Internet since mid of 1990's. e-Trade, as a new trade method, could handle every trade procedure such as market research, contract, customs clearance, logistics and payment using IT like internet without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The evolution of transaction-based business model is upon us. The business models of many e-Marketplace in their early stages have typically been based on transaction fees. Many e-Marketplaces have even called out transaction revenues as a core element of their business plans. The transaction business represents the most simple of business models, but it does not provide a long-term sustain able advantage. For buyer's convenience, wide selection and test price hold appeal. For suppliers, the extended global market reach and direct access to customers and consortiums of customers is powerful. To maximize leverage of these new e-marketplace, you must from both a buyer perspective as well as a supplier perspective. Also required is a strategy that takes in account all of the various e-Marketplace transaction standards and one that allows the easy accomodation to new e-marketplace as the market change. These new e-marketplace will need to be factored into the sales channel strategies. To be successful, integration with these e-marketplaces should occur at a complete business process level. This study would suggest on the role of buyers and sellers for e-trade which could maximize effect of e-trade in order to cope with rapid changing IT environment and global trad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p priority tasks for implementing on the specialization strategy of e-trade process.

  • PDF

수입식품 빅데이터를 이용한 부적합식품 탐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y on Anomaly Detection Method of Improper Foods using Import Food Big data)

  • 조상구;최경현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33
    • /
    • 2018
  • FTA체결의 증가, 식품교역 증가 및 소비자의 다양한 식품 선호도 등으로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의 수입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정밀검사는 전체 수입식품건수 대비 20%정도를 차지하고 계속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정부의 수입안전관리에 필요한 예산과 인력은 그 한계점에 다다르고 있다. 수입식품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수입식품의 수입허용여부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선제 대응하는 것은 수입안전관리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식품분야에서는 이미 엄청난 양의 정형 데이터가 과거로부터 쌓여 왔으며 이에 대한 충분한 분석을 통한 활용은 아직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전체 수입건수와 중량 중에서 차지하는 가공식품의 비중은 평균 75%에 달하고 있어 식품분야에서도 빅데이터의 분석, 분석기법의 적용 등으로 다량의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과학적이고 자동화된 부적합탐지시스템의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기계학습분야의 다양한 부적합 예측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예측 모형의 정확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새로운 파생변수의 생성을 통한 데이터 전처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분야의 일반적인 기저 분류기를 적용하여 예측 모형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여러 기저분류기 중 Gaussian Naïve Bayes예측 모형이 수입식품의 부적합을 탐지하여 예측하는 가장 좋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향후 Gaussian Naïve Bayes 예측 모형을 이용한 부적합 탐지 모형을 적용하여 수입식품의 정밀검사 비중을 낮추고 부적합률을 제고시킴으로써 수입안전관리 국가사무의 효율성과 수입통관의 신속성에 지대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환황해권 LCL화물의 유치를 위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평택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for Attracting Less than Container Load of the Pan Yellow-Sea Ports: Focusing on Pyeongtaek Port)

  • 이동현;안우철;정현재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3호
    • /
    • pp.299-322
    • /
    • 2015
  •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화물은 FCL과 LCL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 LCL화물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항만물동량 유치를 가능하게 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화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황해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LCL화물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 평택항으로 중심으로 LCL화물을 처리함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 분석을 통해 평택항의 LCL화물 유치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황해권 지역 LCL화물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는 관세청의 자료를 기본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평택항 LCL화물 처리의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포워더, 카페리선사, 보세창고업체 등과의 면담을 통해 주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평택항의 LCL화물 유치를 위한 주요 개선방안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퍼지계층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평택항의 가장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통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사장비 및 인력의 확충이 가장 중요한 개선방안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관련업체들의 수익성 향상을 위해 지자체 등에서 지급하는 인센티브의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이, 미용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 선호도 및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Trend Analysis of Barber and Hairdresser Acquisition of 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

  • 오정선;이숙자;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637-643
    • /
    • 2022
  • 현대사회의 미용은 예술과 과학이 융합적으로 접목된 전문 직종으로서 이, 미용인으로 입문하기 위하여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은 일상적 통관 절차이다. 또한 예비 미용인이 선호하는 이, 미용 국가기술 자격증과 취업 분야에 대한 객관적 자료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에 미래 미용산업에서 성공을 설계하는 뷰티아카데미 수강생들이 선호하는 이, 미용 국가기술 자격증에 대한 인식과 동향을 다각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호하는 국가기술 자격증과 희망하는 취업 분야는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남성, 젊은 연령층, 미혼자, 학생층에서는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우선순위로 선택한 반면 30대 이상, 기혼자나 이혼자, 자영업자, 회사원, 주부에서는 취업 전망의 선택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 인재의 본질적 성향과 발전 방향에 대한 모색을 도모할 수 있으며, 향후 국가기술 자격증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연구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고 뷰티아카데미 시장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