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ized abutment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7초

설측 슬롯을 부여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서 내면 간격이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nal gap on retentivity in implant fixed prosthesis with lingual slot)

  • 김태균;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06-211
    • /
    • 2018
  • 목적: 최근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제작 시 나사 유지형 보철물의 교합적, 심미적 단점을 해결하고,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에서 착탈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철물 설측에 슬롯을 형성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설측 슬롯을 부여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 시에 내면 간격이 보철의 제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티타늄 지대주와 상부에 합착할 지르코니아 보철물 내면 간격을 30, 35, $50{\mu}m$의 3종류로 설정하여 종류별로 3개씩 총 15개를 제작하였다. 지르코니아 보철물은 티타늄 지대주의 선반 부위와 만나는 위치에서 1 mm의 공간이 생기도록 하여 탈착을 위한 슬롯(retrievable cement-type slot, RCS)을 형성하였다. 지대주와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합착에는 자가 중합 레진 시멘트를 이용하였고, 합착 된 시편을 맞춤 제작된 장비를 이용하여 최대 제거 응력 값을 Ncm단위로 측정하였다. 통계적 분석으로 세 그룹을 비교하기 위해 Kruskal-Wallis 검정을 시행하였고 (${\alpha}=.05$), 사후검정으로 수정된 Mann-Whitney U-test와 Bonferroni correction 방법을 이용하여 차이를 보았다 (${\alpha}=.017$). 결과: 내면 간격이 $30{\mu}m$ 군과 $35{\mu}m$ 군간의 비교에 있어서 제거 응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P = .032), $30{\mu}m$군과 $50{\mu}m$군, $35{\mu}m$군과 $50{\mu}m$군간을 비교 할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17). 결론: 그러므로 내면 간격은 지르코니아 보철물과 티타늄 지대주 사이의 유지력에 영향을 미쳤다.

지르코니아 블록과 CAM 종류에 따른 코핑의 변연적합도와 기계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n marginal fit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pings with zirconia block and CAM type)

  • 정인성;전병욱;김원영;강재민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5-82
    • /
    • 2017
  • Purpose: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data for selection the zirconia block and CAM by means of marginal fitness observations, flexural strength test and hardness test. Methods: Three dental zirconia blocks(ABCera, NaturaZ, ST98) and two dental milling machines(CAD/CAM MS, DWX-50) were used in this study. Metal abutment(diameter 10 mm, height 5 mm, inclined angle $3^{\circ}$ taper, 1 mm chamfer margin) was fabricated by Ti customized abutment, and then zirconia copings were fabricated for each ten specimens. Silicone replica technique was used to observe the marginal fitness of cross-sections with a stereomicroscope at ${\times}50$ magnification. The dental zirconia blocks was cut into 10 pieces each having a size of $25mm{\times}5mm{\times}1mm$, and fabric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nd flexural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For hardness test, a micro Vickers hardness tester was used as it was in the flexural strength tes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one way ANOVA and post-test was performed by Scheffe test. Results: For marginal fitness of bucco-lingual axial, ZU group($59.7{\pm}10.3{\mu}m$) was the lowest, followed by RA, ZA, ZD, RD, RU. For marginal fitness of mesio-distal axial, ZU group($59.3{\pm}10.2{\mu}m$) was the lowest, followed by RA, ZA, RD, ZD, RU. One-way ANOV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p<0.05). For flexural strength, ABCera block($718.0{\pm}57.2MPa$) was the highest, followed by NaturaZ, ST98. For hardness, ABCera block($1550.3{\pm}19.8Hv$)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T98, NaturaZ.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lexural strength and hardness between blocks(p>0.0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ype of dental zirconia block did influence the marginal fitness, and all dental zirconia blocks are expected to be suitable for clinical application. The highest flexural strength and hardness were ABCera block,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3차원 디지털 영상과 CAD/CAM 시스템을 활용한 전악 임플란트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utilizing 3D digital image and CAD/CAM system: case report)

  • 강세하;정승미;신재옥;방정환;김대환;최병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2호
    • /
    • pp.158-168
    • /
    • 2015
  • 본 증례는 상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진단, 식립 그리고 보철물 제작에 디지털 방식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상악은 구개 부위, 하악은 기존 의치에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부착한 후 구강스캔 및 CBCT 촬영을 시행하였다. 구강스캔 이미지와 CBCT 이미지를 중첩시켜 진단 및 수술가이드와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였다. 골유착 후에는 스캔바디를 이용한 구강스캔을 통해 최종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수복에서 디지털 방식을 다양하게 활용하였으며 정확성과 환자의 불편감 최소화라는 목적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골 편측 절제 환자에서 High Performance Polymer (PEKK)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tic restoration using a high performance polymer (PEKK) in a mandibular unilateral resection: A case report)

  • 공대룡;민경원;장기열;이경제;이선행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54-262
    • /
    • 2022
  • 편악 부분 무치악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 적절한 수복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하지 않은 수복 재료는 보철 수복의 결과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재료들인 지르코니아와 치과용 합금은 피질골보다 탄성 계수가 높아 외력 발생시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 주위 골에 유해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최근 새롭게 소개된 재료인 Polyetherketoneketone (PEKK)은 피질골과 유사한 탄성계수를 가졌으며, 물리적 특성 및 생체 친화성에 있어서도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PEKK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치료를 진행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치과용 CAD/CAM 밀링기에 대한 치과의료종사자들의 선호도 조사 (Survey study on the Preference of Dental Medical Personnel for Dental CAD/CAM Milling Machines)

  • 송은성;김봉주;임영준;이준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88-198
    • /
    • 2018
  • 목적: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치과영역에서도 다양한 보철물 제작을 위해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e (CAD/CAM) 시스템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CAD/CAM 시스템은 전통적인 방식의 보철물 제작의 단점을 극복하여, 치과의사와 치기공사가 보철물을 제작할 때, 환자에게 한 두 번의 병원 방문으로도 정확하고 정밀도 높은 보철물의 제공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 국내의 CAD/CAM 시스템 현황 및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새로 장비를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항목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설문 조사는 서울대학교 치과 병원을 포함한 전국 298 명의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및 치과기공사를 대상으로 2016년 11월부터 12월까지 2 개월간 우편을 통해 실시하였다. 결과: 치과용 CAD/CAM 밀링기 구매 시 가장 고려하는 요인은 밀링기의 성능(64.43%)이었으며 용도는 치과보철물 제작과 임플란트용 맞춤형 지대주 제작이 49.33%로 가장 높았다. 또한, 응답자의 약 60% 이상이 CAD/CAM 밀링기가 만족할 만한 성능으로 개선된다면 새로운 장비의 구매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결론: 설문조사 분석결과, 성능이 개선된 CAD/CAM 밀링기 디지털화 및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치과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치조골이식과 디지털 방법을 활용한 상악 중절치 임플란트 심미 수복 증례 (Aesthetic implant restoration with alveolar bone graft and digital method on maxillary central incisor: a case report)

  • 장한솔;표세욱;김선재;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68-174
    • /
    • 2022
  • 상악 전치부의 임플란트 식립 시 치은 퇴축이나 골 결손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심미적인 임상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우측 중절치에서 순측 치조골판의 소실이 진단되어 발치 후 연조직을 확보한 후에 골 이식을 동반하는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하였다. 또한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위해 디지털 가이드 수술을 시행하였고, 치조골 결손부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하악지에서 자가골 채취 후 이종골과 함께 골유도재생술을 동반하였다. 충분한 임플란트의 골 유착 기간을 거친 뒤 2차 수술 및 인상 채득을 통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주기적인 외형 조정을 통해 연조직의 형태를 개선하였다. 최종 보철물 제작시에는 양극 처리를 시행한 맞춤형 지대주를 사용하여 자연 치아의 색조를 유도하였고, 구강 스캔을 통하여 임시 보철물의 형태를 재현해 줌으로써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장착해 주었다.

디지털 안궁이전과 가상교합기를 이용하여 하악의 운동을 고려한 구치부 수복 증례 (Posterior rehabilitation considering mandibular movement with digital facebow transfer and virtual articulator: A case report)

  • 김민범;권호범;임영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31-441
    • /
    • 2022
  • 디지털 안궁이전 장치로 하악의 운동로를 기록하고 캐드 소프트웨어(CAD software) 상에 반영할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한 보철 수복은 치료 결과를 향상시킨다. 본 증례는 상하악 대구치가 소실된 환자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 및 보철 수복한 증례이다. 구내 스캔 후 디지털 진단 왁스업을 토대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제작한 뒤 임플란트 식립했다. 6개월의 충분한 골유착 후, 맞춤형 지대주와 첫번째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2개월 후 지대주 수준에서 구강 스캔 및 디지털 안궁이전 장치로 가상 교합기 상마운팅하고 하악 운동을 기록했다. 하악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두번째 임시 보철물을 제작, 장착 후 안정된 교합 상태에서 더블 스캔 과정으로 복제하여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물을 디자인하고 장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