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Revision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62초

교육과정 개정의 시사점 도출을 위한 싱가포르와 인도 수학 교육과정의 비교${\cdot}$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Singapore and India to Search for the Implication for the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4호
    • /
    • pp.497-508
    • /
    • 2005
  •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iculum in other countries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to reflect our own curriculum. Since Korea is now under the curriculum revision,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curricula of Singapore and India to elicit some implications. These two countries were especially chosen because their curricula have not been actively investigated yet. Singapore mathematics curriculum starts the tracking based on students' mathematical ability from the 4th grade, and provides different curricula for the three tracks. This differentiated curriculum provides rich implications to next Korean curriculum which aims to classify the contents based on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s. Indians, who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have unique mathematics curriculum, remote from so called 'canonical curriculum'. After the U.S. announced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in 1989 and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in 2000, many countries benchmarked these NCTM documents, and Korea was no exception. Since each country has their own school syste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national mentality, it is not desirable to just adopt the curriculum of other countries. In this regard, Indians who have preserved their own mathematics curriculum can be a model. In sum, when we revise the curriculum, it is require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open-mindedness to accept the strengths of other curricula, and the conservative attitude to preserve our own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 PDF

수학전쟁의 기원과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 개정 - '중등수학교육의 문제점'과 '1923 Report' -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ng Processes & Directions from the Standpoints of the Comtemporary Two Reports in the 1920's as the Origin of Math Wars)

  • 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645-668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과정에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최근 수학교육과정 개정에 나타나는 전통과 개혁, 내용과 방법 사이의 갈등을 일컫는 '수학전쟁'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수학전쟁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1920년대 중등 수학교육과정에 관한 두 보고서, 일명 Kilpatrick 보고서와 1923 보고서에 주목하고, 보고서의 배경과 저자, 수학과 수학교육에 대한 관점과 보고서 내용, 그 파급 효과 등을 상세히 비교 대조하여 거시적 안목에서 교육과정 개정의 쟁점을 정리하였다. 또 Standards 중심의 개혁에 대한 최근 미국 수학전쟁의 양상, 해외 수학교육의 동향, 우리나라와 미국 수학 교육 개정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현재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 연구와 개발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과 현안 과제를 제안하였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하 성취기준에 대한 논의 (Achievement Standards of Geometry According to the 2011 Revision of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 이환철;김선희;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603-617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은 수학 교과 내용 양의 20% 경감과, 수학적 과정을 통한 수학적 창의성 강조,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 확보를 위한 학년군제 반영을 배경으로 하여 개정되었다. 그러나 2007 개정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교육과정 해설서가 발행되지 않아 해석을 하는 데 모호함이 발생하거나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생겨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기하영역을 학교현장에서 이해하는 데 보다 도움이 되고자,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의도, 내용, 반영 방법 등을 논의하였다.

  • PDF

한국의 수학교육 평가 유형에 관한 연구동향

  • 김영옥;정성희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487-504
    • /
    • 2012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evaluation in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on , . The study explores the futur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ssessment research by investigating whether such evaluation was suitable for the expectation about the assessment required in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evaluation-related researches based on Korea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from 1991-2010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evaluation in each season in Korea, analyze the articles by 'monitoring of student's progress', 'judgement on instruction', 'giving the value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students', 'value judgement of the program' that were the purpose of evaluation presented in 1995 NCTM(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As a result,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 classified by the tim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had the most number of the papers announced from 1997-2006. Despite 2007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was the short period from announced 2007-2008 before the next educational curriculum was placed, 11 papers(34.4%)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category by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prescribed in NCTM, it showed that researches of 'monitoring of student's progress(46.9%)' were the most, those of 'value judgement of the program' and 'giving the value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students had a similar percentage.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의생활산업' 관련 교육내용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Clothing Life Industry' in Middle and High Schools According to Curriculum Revision)

  • 이은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4
    • /
    • 2024
  • At a time when the direc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is being discussed in line with the change in the future education paradigm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ost-COVID-19 era,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clothing life education by exploring the clothing life contents with content analysis method and analyzing the 'clothing life industry' related educational content of the curriculum revision period.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iddle and high school 'clothing life industry' were not systematic.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clothing life industry' and the digital fashion industry are presented as content related to the 'clothing life industry', so it is expected that the textbooks implement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future will mention specific content about this. In addition,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clothing life is also needed because the 'clothing life industry' can be an important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Above all,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enhance the value of clothing life education in the future in the reality that the aware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clothing life education is low.

한·일 수학과 교육과정의 외·내적 체재 비교 분석 : 직전 교육과정과의 변화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ternal & internal structure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the aspects of recent revisions)

  • 권오남;이경원;이아란;한채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187-22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이 나아가야할 변화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2009,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2008, 2017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초, 중, 고등학교급 전반에 걸쳐 직전 교육과정과의 변화를 살피고, 그 변화를 양국 간 비교하였다. 비교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행에 따른 학년간 내용 이동 분석 (On the Gap of Revision and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Shifts in Contents)

  • 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2호
    • /
    • pp.95-103
    • /
    • 2008
  • 제7차에서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이행하면서 이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를 2009년부터 실행하게 된다. 개정안으로 이행함에 따라 수학과 교육내용의 일부는 학년 간에 이동하였다. 이로 인하여 교육과정 이행 시기 속에 있는 특정 학년도 학생들은 별도의 조치가 없이 도입된다면 일부 내용의 탈락이 예상된다. 본 논문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이행 시기에 있는 학년별 수학과 교육내용의 이동을 분석하고 이행 시기에 있는 특정 학년도 학생들이 겪게 되는 학년 간 내용 이동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첫째로,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이행에 따라 학년 간 이동하는 수학과 교육내용을 영역별로 살펴보고, 둘째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실시 시기에 따라서 특정 학년도 학생들에게 나타나게 될 학년 간 이동에 따른 교육 내용의 탈락을 분석하였다.

  • PDF

2011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CCSSM 비교.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2011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CCSSM in the United States)

  • 김지원;박교식;이정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9-295
    • /
    • 2014
  • 2015년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있는 현재, 현행 교육과정과 다른 나라 교육과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미국의 CCSSM과 우리나라의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CCSSM에서 취급하는 학습 내용이 2011 교육과정에서 취급하는 학습 내용에 비해 적다고 하기 어렵고, 2011 교육과정보다 훨씬 빠른 시기에 도입하여 깊게 배우는 학습 내용과, 심지어 우리나라에서는 중학교 이상에서 취급하는 학습 내용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나라의 차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기초적인 개념의 이해와 기능의 습득을 충분히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학과에서 학년군제의 시행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 개정은 충분한 논의를 거쳐 이루어져야 하며, 개정의 과정을 잘 정리하여 공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우리나라의 차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CCSSM에 대한 미국 내의 비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 PDF

가정과 교육에서의 부모교육 -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Parent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정순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5-3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연계하여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을 모색 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개정 기술 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2016년 여성가족부에서 제시한 대학생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그 연계성과 위계성을 고찰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2015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 내용체계는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 구성내용과 연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5개정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 내용체계는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 구성내용과 연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5개정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은 위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을 중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내용과 통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안임을 논의하였다.

On Directions for the Revision of Language Forms Listed in the 2007 Korean English Curriculum

  • Lee, Hyun-Oo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2호
    • /
    • pp.39-58
    • /
    • 2011
  • This study highlights some very important future directions for the revision of language forms in the 2007 Korean English Curriculum, expected to be made public in the summer of 2011. A critical review of the 2007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hows that language forms exemplified in that curriculum are not well-chosen or well-sequenced from the viewpoint of grammar selection and gradation, and that no mention of structural labels or grammatical terminologies makes it hard for teachers to recognize their formal properties. To fulfill the original purpose that languages should be listed in the curriculum so that functional-notional syllabuses can be complemented by form-focused instruction, the study presents partial inventories of grammatical items with well-chosen and well-sequenced examples. Minimal descriptions are given to these inventories that are based on general notions or well-known grammatical notions. Occasional suggestions are also made for which language forms should be taught in which schoo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