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문화기반형 도시재생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based on historical context and cultural infrastructure)

  • 오덕성;이기복;유르겐 피치
    • KIEAE Journal
    • /
    • 제7권6호
    • /
    • pp.53-64
    • /
    • 2007
  • The idea that city culture can be employed as a driver for urban development has become part of the new orthodoxy by which cities seek to enhance their competitive position. Such development reflect not only the rise to prominence of the cultural sphere in the city development, but also how the meaning of culture has been refined to include new uses in order to meet the main objectiv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dure how the cultural infrastructure and historical context can be applied for urban regeneration strategy. Two successful cases (Bilbao, Spain and Yokohama, Japan) were selected for analysis of strategies as a whole, background, main characteristics of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nd their effect for urban regeneration have been analyzed in detail. In conclusion, less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were suggested in terms of resources, planning and linking strategies.

문화적 도시재생 지역의 브랜드 경험이 진정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고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Brand Experience on Integrity and Re-Visit Intention- Focus on the Ancient City of China)

  • 장정;백보현;권혁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72-587
    • /
    • 2021
  • 최근 문화적 도시재생이 문화관광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도시재생 지역의 관광객이 느끼는 목적지 브랜드 경험이 진정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대상은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관광 성공사례인 태아장 고성으로 선택하였으며, 방문 경험이 있는 중국인 관광객을 표본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목적지 브랜드 경험의 하위 요인에서 감각 경험, 정서 경험, 지적 경험이 목적지 진정성의 객관적 진정성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 경험, 지적 경험이 목적지 진정성인 실존적 진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목적지 진정성이 재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노스탤지어가 목적지 브랜드 경험이 목적지 진정성과 재방문의도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고성 문화적 도시재생을 알아볼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국 관광객의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중국 관광객의 목적지 브랜드 경험과 진정성, 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시사점을 가진다.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공도서관 계획 특성 연구 (An Analysis of the Design of Public Librarie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 문은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43-151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sign of public libraries which act as anchor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They have been built as city's symbols as well as catalysts to revitalize city centers and urban spaces since the 1990s. This study finds that the public libraries play roles in the urban development as cultural icons, multi-functional spaces, and public domain. This study examines the five examples of the libraries and finds their important design qualities as follow. First, public libraries are planned to symbolize local culture and history as cultural icons. The shapes of public libraries are expressed with sculptured cultural icons, while their facades are designed to signify cities' identities and images. Second, public librarie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have multi-functional spaces which provide diverse activities and experiences to visitors. The libraries often have galleries and theaters for cultural life, cafes and shops for daily uses, educational facilities, as well as public services, parking, and transport systems that connect to urban infrastructure. Third, the public libraries become the anchors of surrounding public spaces and cultural buildings. The libraries have the sequences of approach from entry plazas, transitional zones, and entrances to lobbies. Especially the transitional zones between the libraries and the cities that are covered with giant cantilevers expand the libraries' space and establish attractive urban spaces. Forth, the libraries employ nature and cityscapes in their design. The surfaces and openings of the libraries are adjusted to allow many attractive views to visitors. Fifth, the libraries have big lobby spaces which are the centers of the buildings as well as the public domain. The lobby spaces are designed as in-door spaces like out-door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openness that allow the natural flows of light from ceilings, glass walls and vertical voids.

거창군 협업형 마을만들기 실천전략 연구 (A Study of Practical Strategies for Cooperative Rural Community Regeneration in Geochang)

  • 오형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87-99
    • /
    • 2015
  • 과거 하드웨어 중심의 하향식 농촌개발사업을 개선하고자 2000년대부터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업을 지향하였고, 지자체 주도의 마을만들기가 행해졌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마을만들기 사업들 역시 외형적으로는 상향식 개발구조를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행정기관의 관여 아래 추진되는 하향식 추진절차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재의 마을만들기 진행과정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상향식 개발방식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여러 사람이 같은 자격으로 모여 마을만들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업형 마을만들기'를 제시한다. 연구대상지는 거창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행정 관련 공무원과 1:1 인터뷰를 통해 현재 거창군 마을만들기의 현황 및 실태분석을 알아보고, 이장단 설문조사와 일반주민 심층면담을 통해 마을만들기에 대한 주민 인식을 선행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련 공무원, 전문가, 지역주민의 참석 하의 10회에 걸친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하여 거창군의 협업형 마을만들기 실천전략을 로컬푸드, 문화 복지, 귀농 귀촌, 마을개발, 도농교류의 5가지 핵심분야를 선정하였다. 또한, 이는 행정의 지속적인 협업체계 구축과 주민의 참여역량 강화 노력, 전문가의 체계적인 통합운영관리 지원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로서 거창군만의 협업형 마을만들기 실천전략을 모색하였으며, 향후 각 농촌지역에서 상향식 마을만들기를 진행하고 도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공간문화콘텐츠 창제작 프로젝트 기반 수업 :신촌 도시재생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PBL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Project Based Learning for University-Led Urban Regeneration: A Case Study on the Strategic Communication Campaign Class for the Sinchon Regeneration Project)

  • 유승철;정광희;류정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207-215
    • /
    • 2020
  • 광고PR을 포함한 문화콘텐츠 응용학문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하 PBL)에 대한 수요가 날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전략 커뮤니케이션 캠페인'과목을 PBL 방식으로 두 학기 동안 진행한 후 수업 프로젝트가 목표한 성과를 측정하고 관련된 요인 구조를 파악했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 도시재생'을 주제로 진행된 프로젝트 기반수업에서 수강생 대상으로 학기 초와 말에 두 차례 진행한 사전-사후 설문 분석결과 본 수업에서 주요 변수로 간주한 '신촌에 대한 장소애착'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수업의 지적효용, 수업의 즐거움, 수업만족과 장소애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토한 결과 수업만족이 장소애착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했다. 수업성적은 장소애착에 직접적 영향을 행사하지만 타 변인들과의 영향관계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창제작 분야 PBL 수업 실제 사례를 다룬 연구로 문화콘텐츠 영역 PBL 학술연구뿐 아니라 대학교육 현장에서 PBL을 실제 적용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가 대학들에 PBL 교수법을 확산시킴으로써 문화콘텐츠 관련 전공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청년들의 취창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일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 함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