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and Arts

검색결과 1,481건 처리시간 0.028초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 개발사례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 (A Study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Culture and Arts Based Learning Development Case)

  • 설연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517-526
    • /
    • 2014
  • 본 연구는 문화예술활동을 하나의 교육방법으로 활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화예술활동은 다른 활동과 비교하였을 때 과학적, 논리적 경험과 구별되는 독특한 경험인 미적경험을 제공받게 되어 학습자는 보다 풍부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에 대한 실제적 자료를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과가 아닌 교직과목에서 14차시의 문화예술 활동기반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학습자의 변화과정 및 교육효과 분석은 수업을 진행하면서 얻게 된 그림저널, 성찰저널, 학습결과물, 개방식 설문 결과를 미적경험의 교육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루브릭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지적 정서적 실천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문화예술활동이 주는 교육적 효과에 관한 실제적 자료를 제시하고, 나아가 교육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필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풍류의 장, 안의삼동(安義三洞) 누정(樓亭)과 선비문화의 현대적 활용 (Modern application of Nu-jung, a place of taste for the arts, of Aneuisamdong and the culture of classical scholar)

  • 김형석;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2호
    • /
    • pp.48-63
    • /
    • 2015
  • 본 연구는 안의삼동의 누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누정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그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 하였으며, 누정이라는 물리적 공간을 매개로 선조들의 풍류문화와 선비문화를 활용하여 누정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누정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풍류와 선비문화의 주요 소재인 바둑을 이용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누정의 운치를 더해주는 프로그램을 기획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바둑이라는 소재를 누정이라는 공간으로 옮겨 옴으로써 풍류와 선비문화의 체험은 물론이고 지역 홍보 및 경제적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하였으며, 정적인 공간인 누정에서 풍류 선비문화의 소재를 '달'이라는 매개체와 접목하여 야간 프로그램, 1박 2일 프로그램, 맞춤형 프로그램 등을 기획하여 시행하는 방안이다. 이상의 방안은 전국에 산재한 누정에 대부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그만큼 우리나라에 누정이 많다는 말이 되고, 동시에 문화재 활용을 위한 콘텐츠가 풍부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제는 이러한 콘텐츠를 다양한 학문분야와의 연계를 통해 어떻게 개발하여 활용할 것인가가 문화재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단순히 문화재를 이용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문화원형에 대한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보다 수준 높은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제간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문화재 보존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공공문화예술기관에 대한 공공기관 및 문화예술 분야 성과평가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Analysis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for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 백영기;윤미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5-33
    • /
    • 2020
  •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공공 기관적인 성격과 문화예술적인 성격의 결합 차원에서 공공문화예술기관을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이에 부합하는 차원에서 성과 평가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HP 공리에 의한 우선순위 분석결과,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지표에 대한 우선순위는 예술성, 전문성, 마케팅, 조직관리, 경영효율성, 교류협력, 운영체계, 공공성, 편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나타난 예술성의 항목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객과 대중이 이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애초의 기획에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AHP공리에서 권장하는 10항목을 초과하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 평가항목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wives adapting to Korean cuisine and dietary patterns

  • Park, Young-Il;Jeong, Hee-Sun;Joo, Na-M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5호
    • /
    • pp.405-413
    • /
    • 2010
  • With the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 is seeing a rapid increase in immigrated housewives, who are closely related to food culture. However, studies for the diet of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is most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have not been sufficiently researched.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for immigrated women nationwide about food cultures to provide the possibility which Korean food culture would be developed harmoniously with various foreign food cultures. In this study, the immigrated women seemed to have adapted to Korean food culture quickly, but the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some conditions like countries they are from and the time they have been in Korea. To achieve this, we need to conduct consistent and in depth studies for food cultures in multi-cultural families so that we can make healthy development in food culture, harmonious with traditional Korean culture.

European Experience in Implementing Innovative Educational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the Arts: Current Problems and Vectors of Development

  • Kdyrova, I.O.;Grynyshyna, M.O.;Yur, M.V.;Osadcha, O.A.;Varyvonchyk,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39-48
    • /
    • 2022
  • The main purpose of the work is to analyze modern innovative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nd their effectiveness in the context of the spread of digitalization trends. The study used general scientific theoretical methods of analysis, synthesis, analogy, comparative, induction, deduction, reductionism, and a number of others, allowing you to fully understand the pattern of modern modernization processes in a long historical development and demonstrate how the rejection of the negativity of progress allows talented artists to realize their own potential. The study establish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volving innovative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on the example of European experience and outlined possible ways of implementing digitalization processes in Ukrainia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formulated the main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us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pandemic.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sphere of culture and art, both visual, scenic, and musical in all processes: creation, reproduction, perception, learning, etc.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ere is a synthesis of creative practices with digital technologies. In terms of music education, these processes at the present stage are provided with digital tools of specially developed software (music programs for composition and typing of musical text, recording, and correction of sound, for quality listening to the whole work or its fragments) for training programs used in institutional education and non-institutional learning as a means of independent mastering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music-making, as well as other programs and technical tools without which contemporary art cannot be imagined. In modern stage education, the involvement of video technologies, means of remote communication, allowing realtime adjust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is actualized. In the sphere of fine arts, there is a transformation of communicative forms of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which in the conditions of the pandemic ar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t this stage, there is an intensification of transformation processes in the educational industry in the areas of culture and art.

The Role of Motivation and Appraisal Emotion in Repurchase Intention in the Performing Arts

  • Qian, Zhichen;Choi, Myeonggil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4호
    • /
    • pp.35-50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between the antecedents of repurchase intention, with special interest in the role of appraisal emotion and recreation motivation for arts attendance. Appraisal emotion i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while recreation motivation is found to directly influence appraisal emotion and perceived value. In a addition to customer satisfaction, peripheral service quality is the only factor that directly affectsrepurchase intention. Arts managers ought to focus on improving the whol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s.

The Concept of the Formation of the Teacher's Innovative Competence in the Space of Lifelong Education

  • Boiko, Olha;Oborska, Svitlana;Kyrylenko, Kateryna;Cherevko, Svitlana;Lebid, Olha;Kulko, Viktor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4호
    • /
    • pp.59-64
    • /
    • 2021
  • The article proposes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teacher's innovative competence in the space of lifelong education the foundations of the formation of the teacher's innovative competence in the space of continuous education. The concept of the formation of the teacher's innovative competence in the space of lifelong education is proposed; it includes initial ideas, goals, objectives, patterns, principles, stages, content and technologies implementation of this process.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연구 -C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for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for the innov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 박종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85-290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21세기는 산업화 시대에서 요구하던 것과는 다른 '역량'을 새로운 교육적 개념으로 요구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사회의 이러한 변화와 요구에 따라 교양 및 전공 교육에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핵심역량 기반교육과 이를 통한 교육의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학들은 다양한 재정지원사업을 위해 교양교육을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에 대해 C 대학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각 대학들은 대학의 설립이념에 따라 다양한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교양교육 측면에서 핵심역량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있다. C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을 위해 부족한 핵심역량 과목을 개발하여 제안하였고, 교양교육 특성화를 위해 다양한 마이크로디그리를 제안하였으며, 학생들의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메타학습 관련 교양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Multimedia Technologies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It Education In Ukraine

  • Seiko, Nataliia;Yershov, Mykola-Oleg;Sakhnenko, Anna;Shevchenko, Marina;Bezsmertnyi, Roman;Kostyrya, In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1호
    • /
    • pp.363-367
    • /
    • 2021
  • This article analyzes the state and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The reasons for the emergence of multimedia educational technologies are shown.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multimedia education" is give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eaching using multimedia technologies are presented. The article, based on multimedia technologies, provides one of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classroom time for the presentation of all educational material in the process of teaching engineering students. The creation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videos in education is discussed, an example of teaching electrical engineering is given; the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video lessons, their advantages and importance in the educational process are indicated.

문화예술 통계자료의 체계적 생산에 관한 연구 (The Systematic production of Culture and Arts Statistics in Korea)

  • 안인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5-132
    • /
    • 2002
  • 유네스코의 문화지표체계(Framework for the Culture Statistics)는 문화영역 구분과 문화활동구분을 제시함으로써 문화통계의 근간이 되고, 평가 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국내 문화통계의 지표체계와 통계 항목간의 균형도를 검토하였다. 문화정책개발원의 $\ulcorner$문화예술통계$\lrcorner$는 지표체계연구, 지표생산, 통계생산 및 지표개선의 순환적 과정을 거쳐 합리적인 생산을 거치고 있다. 반면 $\ulcorner$주요국가의 문화예술통계$\lrcorner$는 국가선정, 해당국가의 독창성이 반영된 지표체계와 통계항목 연구가 필요한 단계에 있다.

  • PDF